$\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결혼만족도 변화 유형에 따른 자녀의 문제행동 차이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 Relatedness to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375 - 384  

연은모 (영남대학교 교양학부) ,  최효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 출생 이후 5년 동안의 부모의 결혼만족도 변화 궤적에 기초한 잠재계층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의 문제행동(만 5세, 만 6세, 초1, 초3 시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2008년)~8차(2015년), 10차(2017)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 BCH 방법(BCH method)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변화 양상은 '최저수준 유지형 집단', '중간수준 유지형 집단', '일시 증가-지속 감소형 집단', '상수준 유지형 집단', '최상수준 유지형 집단',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변화 양상은 '상승형 집단', '중간 수준-소폭 감소형 집단', '상 수준-소폭 감소형 집단' '최상수준 유지형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잠재계층에 따라 만 5세-만 6세, 초1에서 최저수준 유지형, 중간수준 유지형 집단이 최상수준 유지형 집단보다 내재화 문제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경향성이 확인되었으며, 만 5세-만 6세, 초1, 초3에서 대체로 최저수준 유지형, 중간수준 유지형, 일시 증가-지속 감소형 집단이 최상수준 유지형 집단보다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은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잠재계층에 따라 만 5세-만 6세, 초1, 초3에서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중간 수준-소폭 감소형 집단이 상 수준-소폭 감소형, 최상수준 유지형 집단보다 자녀의 문제행동 수준이 높은 경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 출생 이후 5년 동안의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자녀의 문제행동(만 5세, 만 6세, 초1, 초3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trajectorie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to classify its latent classes and how marital satisfaction influences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ir children between the identified latent classes. The 1st to 8th and 10th data from the Korea Child-Adolescent Panel Surv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녀 출생 이후 5년 동안의 부모의 결혼만족도 변화 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의 문제행동(만 5세, 만 6세, 초1, 초3 시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자녀 출생 이후 5년 동안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변화 궤적에 따른 잠재계층이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의 문제행동(만 5세, 만 6세, 초1, 초3 시기)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둘째,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자녀의 문제행동 간 관계를 살펴본 많은 연구가 횡단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4, 7-11],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종단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을 활용하여 어머니 및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변화 궤적에 기초한 잠재계층을 확인하고, 자녀의 문제행동 수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어머니 및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각각 변화 궤적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유형화할 수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J. Cox, B. Paley, "Understanding families as system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2, No.5, pp.193-196, 2003. DOI: https://doi.org/10.1111/1467-8721.01259 

  2. C. M. Proulx, H. M. Helms, C. Buehler, "Marital quality and personal well-be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9, No.3, pp.576-593, 2007. DOI: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7.00393.x 

  3. P. D. Ki, "The mediating role of valuing children betwee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in the longitudinal dyadic approach",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2, No.4, pp.31-52, 2018. DOI: http://dx.doi.org/10.21321/jfr.22.4.31 

  4. G. W. Suh,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s peer-play behavior and problem behavior: The mediated effects of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8, No.6, pp.79-91, 2017. DOI: https://doi.org/10.5723/kjcs.2017.38.6.79 

  5. Y. H. Kim,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couples from childbirth to 5 years postpartum: The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2008-2012",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37, No.4, pp.47-56, 2016. DOI: http://dx.doi.org/10.5723/kjcs.2016.37.4.47 

  6. M. J. Seo, "Trajectories in and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fter the first baby arrive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Vol.12, No.3, pp.31-53, 2018. DOI: https://doi.org/10.5718/kcep.2018.12.3.31 

  7. C. K. Kim, M. K. Cho, "Affect of mother's adult attachment, marital satisfaction and nurturing attitude on individu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5, No.6, pp.171-195, 2015. 

  8. S. J. Woo,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Life-span Studies, Vol.6 No.2, pp.27-40, 2016. DOI: https://doi.org/10.30528/jolss.2016.6.2.002 

  9. J. G. Choi, "Mediating effect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26, No.2, pp.367-386, 2017. DOI: https://doi.org/10.17643/KJCE.2017.26.2.18 

  10. J. O. Jo, H. G. Jang, H. Y. Le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mental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25, No.2, pp.382-400, 2016. DOI: https://doi.org/10.17643/KJCE.2016.25.2.08 

  11. H. R. Kim, S. M. Ryu,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s behavior problem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19, No.2, pp.193-209, 2015. 

  12. Y. J. Lee, "Childbirth and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The mediating effects of changes in leisure with husbands and in their housework",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24, No.4, pp.519-538, 2019. 

  13. J. M. Twenge, W. K. Campbell, C. A. Foster, "Parenthood and marital satisfaction: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5, No.3, pp.574-583, 2003. DOI: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574.x 

  14. R. B. Sherrill, J. E. Lochman, J. DeCoster, S. L. Stromeyer, "Spillover between interparental and parent-child conflict within and across day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31, No.7, pp.900-909, 2017. DOI: https://doi.org/10.1037/fam0000332 

  15. O. Erel, B. Burman, "Interrelatedness of marital relation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18, No.1, pp.108-132, 1995. DOI: https://doi.org/10.1037/0033-2909.118.1.108 

  16. K. Y. Cho, S. K. Kim, H. J. Jeon, "The effect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coparenting on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Actor effects and partner effects", Journal of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Vol.10, No.1, pp.67-83, 2019. DOI: http://dx.doi.org/10.21197/JCEI.10.1.4 

  17. B. K. Park, S. H. Rhee, J. U. Noh,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Vol.14, No.1, pp.109-128, 2018. DOI: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1.109 

  18. E. M. Cummings, C. E. Merrilees, M. W. George, Fathers, marriages, and families: Revisiting and updating the framework for fathering in family context,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pp.154-176)", Hoboken, NJ: John Wiley, 2010. 

  19. P. M. Schacht, E. M. Cummings, P. T. Davies, "Fathering in family context and child adjustment: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23, No.6, pp.790-797, 2009. DOI: https://doi.org/10.1037/a0016741 

  20. http://panel.kicce.re.kr 

  21. T. Asparouhov, B. Muthen,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21, No.3, pp.329-341, 2014. DOI: https://doi.org/10.1080/10705511.2014.915181 

  22. E. A. Fishman, S. A. Mey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adjustment: Direct and mediated pathway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2, pp.437-452, 2000. DOI: https://doi.org/10.1023/A:1007848901640 

  23. S. Y. C. L. Kwok, C. C. Y. Ling, C. L. K. Leung, J. C. M. Li, "Fathering self-efficacy, marital satisfaction and father involvement in Hong Kong",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22, No.8, pp.1051-1060, 2013. DOI: https://doi.org/10.1007/s10826-012-966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