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요구 분석
Analysis of ne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lip learning cla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231 - 240  

김민주 (해운대공업고등학교) ,  박수홍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  김효정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이 제시하고 있는 플립러닝이 활용되는데 필요한 요구를 조사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의 한 특성화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플립러닝의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A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는 교사 4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 수업을 실시할 의향은 높으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와 경험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플립러닝 사전학습자료 제작부터 수업, 평가까지 전 과정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동기와 흥미 유발 및 유지에 초점을 맞춘 내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를 운영한다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이해 정도에 따라 단계별 또는 교사들의 요구에 따른 맞춤식 실습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운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수업모형을 도입하고자 할 때 현장 교사들이 가진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플립러닝을 위한 지원체제와 교원연수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of flipped learning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teache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support flipped learning clas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We conducted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o solve these res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이 플립 러닝 수업을 실제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요구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실제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래피드 프로토타입(Rapid Prototyping)을 활용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특성화고 교사 대상의 포커그 그룹 인터뷰를 하면서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것은 교사들이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정도에 차이가 있어서 이를 구체화된 수업영상과 설계 자료로 구체화하여 표현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화된 플립러닝 수업설계 자료를 통해 수업의 설계부터 진행, 평가에 있어서까지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인터뷰하기 위해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이 제시하고 있는 플립러닝이 활용되는데 필요한 요구를 조사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로 선정하였다.
  • 교사들은 학생들의 참여와 활동위주로 진행되는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실제 본시 수업에서 많이 활용하는 모둠학습 시에 발생하는 무임승차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필요로 하였다.
  • 그리고 설문 조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활용할 플립러닝의 프로토타입과 질문문항을 개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면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것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연구주체에 대해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 안내 자료와 활용 수업의 지도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러닝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둘째, 플립러닝에서 교사는 지식을 전달하는 권위적인 존재가 아닌 학습 조력자, 촉진자, 협력자, 문제해결자로 서의 역할 전환이 일어난다. 교사는 수업 전에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학습 자료를 준비하여 제공하고 교실 수업 에서는 학습자가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파악하여 개별적 으로 지도하는 등 교사의 역할이 보다 적극적이고 창의 적으로 바뀌게 되면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교사의 영 향력이 보다 커지게 된다.
플립러닝에서 교사의 어떤 전문성이 필요한가? 마지막으 로 플립러닝에서 교사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전문성을 갖춘 교육가가 되어야 한다. 가르칠 내용적 전문성뿐만 아니라 수업 진행 시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피 드백과 테크놀로지에 대한 전문적 지식 등 학습 활동의 전 과정에서 잘 훈련되고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특성화고등학교란? 특성화고등학교란 적성과 소질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 들을 대상으로 특정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곳[1]이지만 실제 특성화고등 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적성보다는 인문계 고등학교 진학에 실패한 후 차선책으로 입학하는 경우가 많아 학 습동기가 낮고 무기력하여 수업에 몰입하지 못하는 것 [2],[3]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들은 수업을 받고자 하는 의욕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어 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 게 되면서 기존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난 학생중심 수업 방법으로의 변화가 필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 J. Meang. Comparative Analysis on Work Values and the Career Maturity of Meister School Students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Vol.18 No.3, pp.579-599. 2014 

  2. E. H. Jung, H. S. Kang. Analysi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4 No.1. pp.1-40. 2013 

  3. U. K. Beak, K. H. Lee. Recent Conditions & Development Tasks of Specialized Commerci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Vol.21, pp.39-61. 2008 

  4. K. L. Le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on social studies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2014 

  5. S. W. Kim, K. R. Lim. Relationships among Self-Regulation, Teaching Presence,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nteraction. Journal and article management system. Vol.28, No.4, pp. 743-766. 2016 DOI:https://dx.doi.org/10.17927/tkjems.2016.28.4.743 

  6. Bergman, J., Overmyer, J., & Wilie, B. The flipped class: What it is and what it is not. Retrieved December 6, 2014 from http://www.thedailyriff.com/ articles/the-fipped-classconversation-689.php. 

  7. M. H. Lee, S. B. Ham.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Convergenc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22 No.2, pp.213-222. 2018. 

  8. Hamdan, N. Mcknight, P. Mcknight, K. & Arfstrom, K. M.. The flipped learning model: A white pap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itled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2013. Retrieved from http://researchnetwork.pearson.com/wp-content/ uploads/WhitePaper_FlippedLearning.pdf. 

  9. M. A. Jeon, S. Y. Lim The study on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ol.37 No.2, pp. 77-98. 2012 

  10. K. W. Song, C.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Group and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he technology education, Vol.14 No.3. pp.125-148. 2014 

  11. D. H. Jo, K. S. Kim. Analysis of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o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of Admission Group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Graduates - Focusing on Admissions Officer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the technology education, Vol.13 No.3. pp.130-145. 2013 

  12. J. H. Kim, S. I. Na. The Hierarchical 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and Burnout of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50 No.1, pp97-124. 2018 

  13. D. Y. Park, Y. H. Park, H. J. Jeong, J. M.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6 

  14. S. W. Kim, M. W. Nam, J. S. Lee.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teacher-Efficacy on intention to participate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5 No.2, pp21-46. 2013 DOI : https://dx.doi.org/10.23840/agehrd.2013.45.2.21 

  15. J. S. Jeong. Analysis on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of Teachers : Focused on Needs of Teacher.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Vol.9 No.1, pp.115-137. 2010 

  16. S. K. Bea. The relationships of student academic engagement with learning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eacher instructional behavior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17. J. Y. Lee, S. H. Park, H. J. Kang, S. Y. Park.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nvironment of Flipped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9, pp.313-323. 2014 DOI : https://dx.doi.org/10.14400/JDC.2014.12.9.313 

  18. J. Y. Lee, Y. H. Kim, Y. B. Kim. A Study on Application of Learner-Centered Flipped Learning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30 No.2, pp163-191. 2014 

  19. J.I. Choi. Practical guide to needs assessment for HRD. Seoul, Hakjisa. 2017 

  20. T. J. Park, H. J. Cha. Investigation of Teachers' Awareness of Flipped Classroom to Explore its Educational Feasibil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8 No.1, pp81-97. 2015 

  21. K. C. Hong. A Critical Analysis on Implementing the 'Flipped Classroom'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28 No.1, pp. 125-149. 2016 DOI : https://dx.doi.org/10.17927/tkjems.2016.28.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