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CS기반 절삭가공 실무과목 수업에 대한 특성화고 기계계열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e Subject of NCS-based Metal Machining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5 no.1, 2020년, pp.42 - 62  

박수한 (서울공업고등학교) ,  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육부에서는 산업현장의 실무와 직업교육 및 훈련, 자격 내용의 불일치 해소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산업현장과 교육·훈련기관 등으로 빠르게 적용해 나가고 있으며, 2018년도부터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교육에 NCS기반 교육과정을 전면 도입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특성과고의 기계계열인 '기계' 및 '기계·금속'전공 교사를 대상으로 350명을 지역별로 유층 표집하여 절삭가공 실무과목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관련 학과에서 선반가공, 밀링가공, 컴퓨터활용생산, 측정과목의 적용률은 전체 응답자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둘째, 실무과목 및 능력단위 선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교사 인식은 산업체 요구능력이 가장 높다. 셋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학생의 실무 능력 향상과 산업체 요구 충족이 가장 높으며 넷째, 실무과목 도입으로 인한 학교 교육에서의 부정적인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은 실무과목 수업에 활용되는 학습모듈의 수준이 학생의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다는 것과 학습모듈에 집필되어 있는 산업체 장비와 학교 장비가 차이가 있어 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다섯째, 실무과목 수업 및 제반 여건에 대한 교사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며 실무과목의 수준, 재구성된 실무과목 교재를 제본 또는 구매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하이다. 따라서 기계관련 학과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가장 대표성을 띠는 위 4개 실무과목의 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quick to apply National Competency Standars (NCS) to industrial sites and educational·training institutions in order to resolve discrepancies between practical affairs in industrial sites an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 requirements. Full implement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기계 절삭가공분야의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무과목 적용 현황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NCS기반 교육 과정 편성 및 교육 환경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앞선 연구를 고찰해본 결과 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와 학습모듈의 활용과 수업적용에 대한 개선방법에 대해 연구가 있었으며, NCS 기반 교육과정의 실무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가 ‘전기’ 분야에 있었지만 특성화고등학교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계’ 분야의 실무과목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 의미가 있다.
  • 이 연구는 NCS기반 기계 절삭가공 분야 실무과목의 적용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점검하고 능력단위에 대해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와 실제 학교에서의 실행의 정도를 분석하여 기계 절삭가공 분야의 NCS기반 교육 과정 편성 및 교육 환경 개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NCS기반 절삭가공 실무과목에 대한 특성화고 기계계열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가설 설정

  • 배경변인 별로 분석결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은 직위, 교육경력, 기계가공 분야 관련 연수이수시간이다. 직위에 따른 차이는 부장교사 (a)의 평균이 일반교사 (b)의 만족도보다 더 낮다. 사후 검정을 통한 집단 간 구체적인 차이는 교육경력에 5년 미만 (a)집단의 평균이 5년 이상 ~ 15년미만 (b)집단의 평균 보다 높아 실무과목 수업을 위한 교사의 수업 준비에 대한 교사 만족도가 저 경력 교사들에게서 더 높다.
  • 성별로 남(a)의 평균이 여(b)의 평균보다 더 높다. NCS 도입 후 기계가공 지도 경험에 따라 있음 (a)이 평균이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들 (b)의 평균보다 낮아 지도 경험이 없는 교사들의 만족도가 더 높다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사후 검정을 통한 집단 간 구체적인 차이는 기계가공분야 관련 산업체경력이 없는 (a)집단의 평균이 10년 미만의 산업체경력이 있는 집단 (b)의 평균보다 높다.
  • 사후 검정을 통한 집단 간 구체적인 차이는 교육경력에 5년 미만 (a)집단의 평균이 5년 이상 ~ 15년미만 (b)집단의 평균 보다 높아 실무과목 수업을 위한 교사의 수업 준비에 대한 교사 만족도가 저 경력 교사들에게서 더 높다. 기계가공 분야 관련 연수이수시간에 따른 집단 간 구체적인 차이는 31시간~60시간 (a)집단의 평균이 61시간~90시간 (b)집단의 평균보다 낮아 연수 시간이 많은 집단에게서 더 높다. 이는 교육경력이 적은 교사들보다는 고경력 교사에게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 이전과 차이를 느끼고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배경변인별로 분석결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은 교육경력, 기계가공분야 관련 산업체경력, 기계가공분야 관련 산업체 방문 수이다. 사후 검정을 통한 집단 간 구체적인 차이는 교육경력에 5년 미만 (a)집단의 평균과 15년 이상 (c)집단의 평균이 5년 이상 ~ 15년미만 (b)집단의 평균보다 높다. 기계가공분야 관련 산업체경력 (6)이 없는 (a)집단의 평균이 10년 미만의 산업체 경력이 있는 집단 (b)의 평균보다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왜 개발되었는가?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지난 정부부터 산업현장실무와 직업교육 및 훈련, 자격 내용의 불일치 해소를 위해 개발 되었으며(한국산업인력공단, 2016), 이후 NCS에 대한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산업인력공단, 교육부 등에서 계속 연구되어져 왔다(김동연, 김진수, 2013). 특히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교육에 NCS를 전면 활용하도록 2018학년도부터 의무화하고 있지만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이 공업교육에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전문교과 교사들이 보통교과 교사들보다 인식 수준이 낮았으며(김세중, 2016) 공업계 고등학교의 NCS기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이영민, 임유화, 2016)하면서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받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 기계 절삭가공 산업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제조업 분야에서 기계 절삭가공 산업은 전후방 산업을 연계시키는 가교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 뿌리기술 산업에 근간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국의 공업계고등학교는 237개이며, ‘기계’기준학과를 포함한 학교는 133개 학교로 56.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에서 어떤 문제점들이 발생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따라서 NCS 기반 교육과정은 수정·보완된 NCS를 기반하여 2018년까지 수정·보완이 이루어져 2019년 3월부터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되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학교에서는 학생이 졸업 후 산업현장에서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NCS기반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며 노력하고 있지만(김지영, 2017) 학습모듈이 학교 현장에 익숙하지 않은 산업현장의 전문가가 집필한 교재를 활용하고 있는 것과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 장비와 시설에 차이가 있다는 점, 대부분의 전문교과 교사가 산업체 근무경험이 없다는 점 등에서 학교 교육 현장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발생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김지영, 이민욱, 나현미, 2015; 김지영, 김인엽, 문한나,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 교육부(2016).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안내서. 

  3. 교육부(201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 김동연, 김진수(2013).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22-46. 

  5. 김성남 외(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 실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김세중(2016).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7. 김지영, 이민욱, 나현미(2015). NCS 학습모듈 활용 지원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김지영(2017). 특성화고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 현황과 개선 방향. The HRD Review 이슈분석 95호-0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김지영, 김인엽, 문한나(2017). NCS기반 교육과정 정책연구학교 운영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김진수(2012).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웅보출판사. 

  11. 배현술(2018). IPA 기법을 활용한 NCS기반 내선공사 실무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이병욱, 안재영, 강철민(2015).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 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11-129. 

  13. 이영민, 임유화(2016).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22-43. 

  14. 이재훈(2018). 실무과목 수업의 만족도 조사를 통한 NCS 학습모듈 활용 개선 방안 연구 : 충청도 소재 공립 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장명희, 전승환, 정동열(2014).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교원의 양성?임용?연수 개선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33(6), 159-182. 

  16. 최동선 외(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중?고등학교) 개발연구. 

  18. 한국산업인력공단(2016). 2016년 NCS 개발 매뉴얼. 

  19. 한국산업인력공단(2018). 2018년 NCS 개발 매뉴얼. 

  2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홈페이지. http://www.ncs.go.kr/. 

  21. Krejcie, R.V. & Morgan, D.W(1970). Determining sample size for research activit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0, pp. 607-610. 

  22.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pp. 563-5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