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육론 교재에서 나타나는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의 의미 혼선
Confusion in the Meaning of Induction, Deduction, Hypothetical Deductive Method, and Abduction in Science Instruction Textbook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1, 2019년, pp.79 - 93  

정용욱 (경상대학교)

초록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는 과학의 방법, 혹은 그것의 토대를 이루는 논리로서 과학교육에서 주목받아왔다. 그런데 가설연역과 귀추가 갖는 논리적 유사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들 용어들의 구분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에 대한 과학교육론 교재들의 서술을 조사하여 과학의 방법으로서, 혹은 과학 탐구의 맥락에서 이들 용어들이 사용되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7종의 과학교육학 교재들에서 관련된 서술을 추출하였고, 용어의 정의, 사용된 예시, 다른 용어들과의 관계를 검토하여 용어가 갖는 의미의 일관성과 용어간의 구별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교재의 서술에서 용어가 갖는 의미가 일관성을 갖지 못하며, 관련 용어사이의 의미구별을 어렵게 하는 여러 논의들이 발견된다는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혼선의 원인, 그리고 과학교육의 맥락에서 본 연구가 갖는 교육적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great concerns on induction, deduction, abduction, and hypothetical deductive method as scientific method and logic behind the method. However, as seen from the similar logic structure of abduction and hypothetical deductive method logic, distinction of those four terms could be un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석 대상이 되는 진술문을 추출하기 위해 과학의 방법, 과학탐구, 탐구교육과 관련된 단원들을 조사하여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의 표현을 포함하는 구문들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구문들에서 해당 용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했다. 각 용어들의 의미를 원활하게 추출하기 위해, 미리 문헌 검토를 통해 각 용어들의 가능한 쓰임을 탐색하여, 각 용어가 가질 수 있는 복수의 의미를 조사하였다.
  • 이러한 용법에 의하면 귀추는 목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유사한 상황의 성공적 설명을 차용하는 것으로 국한된다. 둘째는 귀추를 유추에 국한하지 않고 주어진 현상에 대해 최선의 설명을 도출하기 위한 폭넓은 시도로 규정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Table 6의 교재 A3, B2의 사례로 제시된 인용문들은 유추로 보기 어려운 귀추의 사례를 담고 있다.
  • 본 연구는 과학교육론 교재라는 텍스트에 대한 내용 분석이다. 이러한 연구는 먼저 연구주제 및 목적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을 확정한다.
  •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과학교육론 교재의 서술에서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가 각각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각각의 용어가 갖는 의미의 다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진행하였고, 다중의 의미가 교재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도 조사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가 과학교육에 던지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특히 용어의 의미충돌이 연구논문을 넘어서 교재에서도 나타난다면, 학습자에게 큰 혼선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과학교육론 교재의 서술에서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가 각각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각각의 용어가 갖는 의미의 다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진행하였고, 다중의 의미가 교재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도 조사하였다.
  •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각각의 용어가 갖는 복수의 의미들은 사전 문헌 검토를 통해 추출된 경우도 있고, 과학교재의 구문들에 대한 귀납적 범주화 과정에서 추출된 경우도 있다. 이렇게 복수의 의미를 추출한 후에 각각의 용어가 가지는 다중의 의미가 교재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도 조사하였다.
  • 둘째는 유추와 연결하지 않고 귀추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교재분석을 통해 드러난 각 용어들이 갖는 복수의 의미를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논의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won et al. (2003)의 구분한 내용은 무엇인가? (2003)은 탐구를 귀납적 과정, 귀추적 과정, 연역적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에 의하면 귀납은 관찰로부터 공통성을 발견하여 분류, 경향성 발견을 거쳐 위계를 만드는 과정, 귀추는 의문생성에서 시작하여 다른 경험과의 유사성 판단을 통해 가설적 설명을 고안하는 과정, 연역은 검증과 평가 방법을 고안하고 결과를 수집하여 가설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Lee et al.
귀납은 어떤 과정인가? (2003)은 탐구를 귀납적 과정, 귀추적 과정, 연역적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에 의하면 귀납은 관찰로부터 공통성을 발견하여 분류, 경향성 발견을 거쳐 위계를 만드는 과정, 귀추는 의문생성에서 시작하여 다른 경험과의 유사성 판단을 통해 가설적 설명을 고안하는 과정, 연역은 검증과 평가 방법을 고안하고 결과를 수집하여 가설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Lee et al.
과학교육 관련 교재들의 탐구관련 논의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는가? 과학탐구 혹은 탐구기반의 과학교육에 대한 기존의 여러 문헌들은 탐구에 대해 여러 방식으로 논의하여 왔다. 특히 과학교육 관련 교재들의 탐구관련 논의들에서는 과학탐구에 대해 탐구기능 요소 접근, 탐구모형 접근, 논리기반 접근이라는 세 가지 유형의 접근법이 두드러진다. 첫째는 과학탐구에 대한 탐구기능 요소 접근으로, 여기서는 과학 탐구를 수행할 때 필요한 기능요소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과학탐구를 묘사한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raaten, M., & Windschitl, M. (2011). Working toward a stronger 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5, 939-969. 

  2. Bricker, L. A., & Bell, P. (2008). Conceptualizations of argumentation from science studies and the learning scienc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2, 473-498. 

  3.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4. Cho, H. Y., Kim, H. K., Yoon, H., & Lee, K. Y. (2014). Theories of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kbook. 

  5.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6. Giere, R., Bickle, J., & Mauldin, R. F. (2006).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Belmont, Calif(et al.): Thomson Wadsworth 

  7. Giere, R. (2010). An agent-based conception of models and scientific representation. Synthese, 172, 269-281. 

  8. Grandy, R., & Duschl, R. A. (2007). Reconsidering the character and role of inquiry in school science: Analysis of a conference. Science & Education, 16, 141-166. 

  9. Hanson, N. R. (1965). Patterns of discovery: An inquiry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science. CUP Archive. 

  10. Hempel, C. G. (1961). Aspects of scientific explanation, New York, NY: The Free Press. 

  11. Hodson, D. (2008). Towards scientific literacy: A teachers' guide to the history, philosophy and sociology of science. Rotterdam: Sense Publishers. 

  12. Hur, M. (1984). Development of science inquiry evaluation li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2), 57-63. 

  13. Joung, Y. J., & Song, J. W. (2006).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peirce's abduction in science education by theoret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6), 703-722. 

  14. Kang, N. H., & Lee, E. K. (2013). Argument and argumentation: A review of literature for clarification of translated wor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6), 1119-1138. 

  15. Kelly, G. J. (2008). Inquiry, activity, and epistemic practice. In R. Duschl & R. Grandy(Eds.),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pp. 99-117; 288-291). Rotterdam: Sense Publishers. 

  16. Kim, Y. M., Park, Y. B., Park, H. J., Shin, D., Jeong, J. S., & Song, S. (2014). World of Science Education. Seoul: Bookshill. 

  17. Kim, Y. S., Kwon, Y. J., Kim, Y. J., Kim, H, Seo, H., Son, Y., Jeong, E. Y., Jeong, J. S., & Cha, H. (2012). Theory of life science education. Paju: Freeacademy. 

  18. Kim, H. K., & Song, J. W. (2004).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216-1234. 

  19. Kim, H., & Park, E. J. (2008). Logic for critical thinking. Seoul: Acanet. 

  20. Krippendorff, K.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Thousand Oaks, CA: Sage. 

  21. Kuhn, T. S. (1977). Objectivity, value judgment, and theory choice. In T. S. Kuhn(Ed.), The Essential Tension(pp. 320-339).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Kwon, Y. J., Jeong, J. S., Park, Y. B., & Kang, M. J. (2003).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generating process of declarative scientific knowledge-focused on inductive, abductive, and deductive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3), 215-228. 

  23. Kwon, Y. J., Nam, J. H., Lee, K. Y., Lee, H. N., & Choi, K. H. (2013). Science education. Seoul: Bookshill. 

  24. Kwon, J., Kim, B. K., Kang, N. H., Choi, B., Kim, H. N., Paik, S. H., Yang, I. H, Kwon, Y. J., Cha, H., U, J. O., & Jeong, J. W. (2012). Theories of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kbook. 

  25.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26. Lee, S. K., Choi, C. I., Lee, G., Shin, M. K., & Song, H. (2013). Exploring Scientific Reaso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is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81-192. 

  27. Losee, J. (2001).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4th ed.). Englan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8. Magnani, L. (2009). Theoretical and manipulative abduction. In R. Dillmann, Y. Nakamura, S. Schaal, D. Vernon(Eds.), Abductive cognition (pp. 1-61). New York, NY: Springer. 

  29. Magnani, L., Nercessian, N., & Thagard, P. (1999), Model-based reasoning in scientific discovery.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30. Millar, R., & Driver, R. (1987). Beyond process. Studeis in Science Education, 14, 33-62. 

  31. National Research Council(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l. Acad. Press. 

  32. Park, J. W. (2000). Analysis of students' processes of generating scientific explanatory hypothesis -Focused on the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hypothe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4), 667-679. 

  33. Park, J. W., Choi, K. H., & Kim, Y. M. (2001). Theory of physics education 1. Seoul: Bookshill. 

  34. Park, B. H., Kim, H. K., & Lee, B. W. (2007). Analyses of the basic inquiry process in Korean 3-10 grade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observ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5), 421-431. 

  35. Reichenbach, H. (1938). Experience and prediction: An analysis of the foundations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Oh, J. Y., Kim, S. S., & Kang, Y. H. (2008). A suggestion for a crea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gifted science students using abductive inference strateg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8), 786-795. 

  37. Oh, P. S., & Kim, C. J. (2005). A theoretical study on abduction as an inquiry method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5), 610-623. 

  38. Oh, P. S., & Lee, J. S. (2014).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tific model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135-146. 

  39. Osborne, J., & Patterson, A. (2011). Scientific argument and explanation: A necessary distinction?. Science Education, 95, 627-638. 

  40. Popper, K. (1958).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41. Sandoval, W. 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 634-656. 

  42. Song, H. (2017). Logic training for leader. Seoul: Sapiens21. 

  43.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2009). Earth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kbook. 

  44. Wilson, R. A., & Keil, F. (1998). The shadows and shallows of explanation. Minds and Machines, 8, 137-159. 

  45.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 941-9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