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설-연역적 추론 관점에서 본 중학생의 과학적 정보 평가 양상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4, 2014년, pp.375 - 383  

이은미 (수락중학교) ,  강남화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중매체에서 보고되는 과학 관련 정보에 관한 중학생들의 평가 양상을 가설-연역적 추론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과학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중학생 66명을 대상으로 정보평가 능력 검사지를 사용한 지필 검사와 개인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보평가능력 검사지는 6개의 주제에 관해 각 주제별 질문을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제시하였다.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정보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고, 실측한 자료를 식별하여, 정보에서 설명하는 내용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각 단계에 나타난 학생들의 응답 유형과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정보를 평가하는지 여부 및 정보의 타당성 판단에 사용하는 근거에 대한 신념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평가 과정에서 중학생들은 주어진 정보와 개인의 사전 경험 및 지식의 조합에 따른 여러가지 유형을 보였고,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에 따라 정보를 평가한 사례는 적게 나타났다. 가설-연역적 추론을 한 학생의 경우 정보 판단에서 과학적 증거를 우선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가설-연역적 추론을 하지 않은 학생은 개인적 경험을 우선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과학적 소양을 위한 과학 수업 및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며 추후 연구에서 자료의 타당성에 관한 판단을 포함한 학생들의 평가 능력 측정 및 가설-연역적 추론 외 다른 형태의 추론 능력 역시 측정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e scientific information in terms of hypothetico-deductive reasoning. A total of 66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a paper-and-pencil test on scientific information evaluation and 14 of them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은 현대사회의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과학적 소양의 한 측면이다. 이 연구는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정보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과학적 소양의 일부로서 대중매체의 과학 관련 정보에 관한 중학생들의 정보평가 능력을 가설-연역적 추론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은 평가 과정에서 주어진 정보와 사전 지식의 조합에 따른 여러 가지 유형을 보였다.
  • 이 연구에서 보인 학생들의 가설-연역적 추론 능력의 부족과 판단에 우선시 하는 근거에 대한 학생들의 신념은 과학적 소양을 위한 과학 수업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정보 평가의 부분적인 요소, 가령 자료의 식별에는 대체로 우수한 능력을 보였으나 이들 요소들을 조합하여 가설-연역적 추론을 통해 정보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능력은 많이 보이지 않았다.
  • 이러한 정보평가 능력은 과학적 소양의 일면으로서 학교 현장에서 계획된 활동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에 따라 학생들의 정보 평가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 설계를 위해 현재 학생들이 대중 매체의 정보내용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능력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 중학생들이 과학관련 정보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과학적 소양의 일면을 진단하고 과학적 소양을 위한 수업 및 평가 방식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학생들의 정보평가 양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대중매체의 과학 관련 정보를 소재로 하였고, 가설-연역적 추론 과정을 정보평가 과정의 기초로 하였다.

가설 설정

  • 학생 G: 하이브리드자동차가 친환경적인지는 결정할 수 없다. 아직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았고 사용예가 없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현대 사회는 과학과 기술의 진보가 인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식 기반 사회이다. 지식 기반 사회에서 과학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현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과학 기술에 관한 지식과 기능의 소양을 가진 사회인으로 육성하는 데 있다(AAAS, 1993).
지식 기반 사회에서 과학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는 과학과 기술의 진보가 인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식 기반 사회이다. 지식 기반 사회에서 과학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현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과학 기술에 관한 지식과 기능의 소양을 가진 사회인으로 육성하는 데 있다(AAAS, 1993). 따라서 과학적 소양은 과학 기술과 지식이 일상생활과 점점 밀접해지는 사회에서 필요한 것으로서 현대 사회의 과학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기본 목표라 할 수 있다.
미국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과학적 소양 능력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처럼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일반 시민들에게 일상생활과 관련된 쟁점들과 대중매체의 과학 정보에 관한 토론에 비판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이 과학적 소양 능력의 의미(DeBoer, 2000; Elliot, 2006; McClune & Jarman, 2010; Norriss & Phillips, 2003)로 여겨짐에 따라 과학 교육과정에서도 이와 같은 의미로 과학적 소양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소양의 의미가 대중매체의 과학에 관한 기사 내용을 이해하면서 읽을 수 있는 능력과 결론의 타당성에 관한 사회적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하였고(NRC, 1996), 영국의 교육과정 지침에 관한 보고서에서 Millar & Osborn(1998)은 과학에 관한 간단한 신문 기사 내용을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서 안내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으며, 과학 교육의 역사를 고찰한 DeBoer(2000)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쟁점들과 대중매체에서 보고되는 과학에 관한 정보와 토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시민을 기르는 것이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하나의 과학 교육의 목표라 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과학적 소양의 의미를 밝히고 있다.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해서 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과 관련된 쟁점들에 대한 논의 기회가 요구된다(Millar, 2006)는 주장 또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이해가 과학적 소양의 모습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AA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 Bell, R. L.,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ation, 87(3), 352-377. 

  3. Cho, H., Kim, H., Yoon, H., & Lee, K. (2011). Theory and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Seoul: Kyoyookbook Publication Co. 

  4. Choe, I. (2005). A study on modelling readability formulas for reading instruc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3), 213-232. 

  5. Chung, Y., & Choi, J. (2007). An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1), 9-17. 

  6. Chung, Y., & Lee, J. (2010). The Scientific Litera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by TBSL(Test of Basic Scientific Literacy) and SLT(Scientific Literacy Test).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14(3), 669-680. 

  7. DeBoer, G. E. (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8. Elliott, P. (2006). Reviewing newspaper articles as a technique for enhancing the scientific literacy of student-teachers. International Jouran of Science Education, 28(11), 1245-1265. 

  9. Gao, L., Kim, E., Moon, G., Kim, S., & Krajcik, J. (2012).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Informal Mentoring Experience in their First Years an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16(2), 517-537. 

  10. Giere, R. N., Bickle, J., & Mauldin, R. F. (2006).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Belmont, CA: Wadsworth. 

  11. Hacking, I. (1983). Representing and Intervening.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Hogan, K., & Maglienti, M. (2001). Comparing the epistemological underpinning of students'and scientists' reasoning about conclus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6), 663-687. 

  13. Hong, S., & Woo, A. (2009). An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literacy and pseudoscience belief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3), 331-346. 

  14. Korpan, C. A., Bisanz, G. L., Bisanz, J., & Henderson, J. M. (1997). Assessing literacy in science: evaluation of scientific news briefs, Science Education, 81(5), 515-532. 

  15. Lee, M. (2009). Toward to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4), 487-494. 

  16. Lee, M., & Kim, J. (2004).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082-1093. 

  17. McClune, B., & Jarman, R. (2010). Critical reading of science-based news reports: Establishing a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6), 727-752. 

  18. Millar, R. (2006). Twenty first century science: Insights from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cientific literacy approach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3), 1499-1521. 

  19. Millar, R., & Osborne, J.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King's College London. 

  20. MES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EST Notification No. 2011-361, Supplement 9.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3.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1982). Science, technology, society: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s.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4. Norris, S., & Phillips, L. (1994). Interpreting pragmatic meaning when reading popular report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947-967. 

  25. Norris, S., & Phillips, L. (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2), 224-240. 

  26.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9). PISA 2009 assessment framework-Key competencies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Paris: Author. 

  27. Park, J. (1998). The role of deductive reasoning in scientific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1), 1-17. 

  28. Phillips, L. M., & Norris, S. P. (1999). Interpreting popular reports of science. What happens when the reader's world meets the world on pap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3), 317-327. 

  29. Ratcliffe, M. (1999). Evaluation of abilities in interpreting media reports of scientific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0), 1085-1099. 

  30. Ryu, H., & Choi, K. (2010). Perception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literacy for global science-technolodgy-societ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6), 850-869. 

  31. Shin, D., & Ro, K. (2002). Korea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1), 76-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