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Generating Process of Declarative Scientific Knowledge - Focused on Inductive, Abductive, and Deductive proce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3, 2003년, pp.215 - 228  

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  정진수 (한국교원대학교) ,  박윤복 (한국교원대학교) ,  강민정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철학에서 논의되어온 과학의 선언적 지식의 생성 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여 하나의 구조화된 과학적 지식의 생성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을 과학철학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헌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지식의 생성 모형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이를 통해 고안된 모형은 귀납적 과정, 귀추적 과정, 연역적 과정 등으로 구분되는 지식 생성 과정을 포함한다. 또, 각각의 과정은 다시 여러 단계의 하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 모형에 의하면, 먼저 귀납적 과정은 관찰과 규칙성 발견 과정으로 구분되며, 다시 관찰은 단순관찰과 조작관찰로 나뉘고, 규칙성발견은 공통점발견, 분류, 위계 발견 등으로 세분된다. 그리고 귀추적 과정은 의문 생성과 가설생성 과정으로 구분되며, 여기에서 가설생성과정은 다시 의문상황 표상, 경험상황 동정, 원인적설명자동정, 가설적설명자 동정 등의 과정으로 나뉘어 진다. 마지막으로 연역적 과정은 방법 기준의 고안 과정은 다시 가설의 검증방법 고안과 가설의 평가기준 고안으로, 가설평가 과정은 결과수집 과정과 가설평가 및 결론 진출 과정으로 세분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arguments about the generation of declarative scientific-knowledge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and invent a structured model of the process of scientific-knowledge generation with the types of the generated scientific-knowledge. The invented model shows that scie...

주제어

참고문헌 (46)

  1.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2000),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2.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최병순, 정진우(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3. 김영채(1996). 사고와 문제해결 심리학: 인지의 이론과 적용 서울: 박영사 

  4. 박연규(2000). '관'의 설명 가능성: 퍼스(C. S. Peirce)의 가추법 (abduction)에 의한 접근. 공자학, 7(1), 163-188 

  5. 박종원(1998). 과학활동에서 연역적 사고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1-17 

  6. 박종원, 최경희, 김영민(2001). 물리 교육학 총론I. 서울:북스힐 

  7. 성현란(1989) 학령전 아동에서의 자연범주와 귀납적 추론. 한국심리학회지, 2(1), 18-31 

  8. 소흥렬(1988). 인과적 설명과 비인과적 설명의 논리. 철학연구, 23(1), 73-87 

  9. 이봉재(1992). 과학적 실재론과 설명의 문제. 철학연구, 31(1), 184-203 

  10. 이정모(2001). 인지심리학: 형성사, 개념적 기초, 조망. 서울:아카넷 

  11. 정영기 (1997). 인지과학에서 설명의 문제. 동서 청학 연구, 14(1), 147-168. 

  12. 조희형, 최경희(2001). 과학교육 총론. 서울:교육과학사 

  13. 한국과학교육학회(1998). 과학교육용어집. 서울: 교육과학사 

  14. Anderson, J. R(1995).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4th ed.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5. Anderson, J. R(1995). 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4th ed. (이영애 역, 2000).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16. Carnap, R(1966)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science. (윤용택 역, 1993) New York: Basic Books 

  17. Chalmers, A. F.(1982).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An assessment of the nature and status of science and its method, 2nd ed, (신일철. 신중섭 역, 1985) St. Lucia Queensland: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18. Colberg, M., Nester, M. A., & Trattner, M. H. (1985). Convergence of the inductive and deductive models in the measurement of reasoning abilit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0, 681-694 

  19. Csapo B.(1997). The development of inductive reasoning: Cross-sectional assessments in an educational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 609-626 

  20. Darian, S.(1995). Hypotheses in introductory science texts.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33(2), 83-109 

  21. Fischer, H. R(2001).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making. Foundations of Science, 6, 361-383 

  22. Gagne, E. D., Yekovich, F. R, & Yekovich, C. W.(1997). The cognitive psychology of school learning, 2nd ed.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Inc. 

  23. Gagne, E. D.(1985). The cognitive psychology of school learning, (이용남. 박분희 외14인 역) 

  24. Hanson, N. R(1958). Patterns of discovery. (송진웅. 조숙경 역, 199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Hempel, C. G.(1966). Philosophy on natural sci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6. Holland, J. H., Holyoak, K. J., Nisbett, R E., & Thargard, P. R(1986). Induction: Processes of Inference, Learning, and Discovery. Cambridge, MA: MIT Press 

  27. Jeong, J. & Kwon, Y.(2001). Roles of abductive reasoning and prior knowledge in high school students' generating biological hypotheses. A paper presented at the 2001 NABT National Convention, Montreal, CA, November 10 

  28. Klauer, K. J., & Phye, G. D.(1994). Cognitive training for children: A developmental program of inductive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Seattle, WA: Hogrefe & Huber 

  29. Kuhn, T. S.(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0. Lawson, A. E.(1995). The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31. Lawson, A. E.(2000). How do humans acquire knowledge? and What does that imply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Science & Education, 9, 577-598 

  32. Lawson, A. E.(2002). What does Galileo's discovery of Jupiter's moons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scientific discovery? Science & Education, 11, 1-24 

  33. Lewis, R W.(1988). Biology: A hypothetico-deductive science.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0(5), 362-366 

  34. Losee, J.(2001).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philosophy of science, 4th ed.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5. Luger, G. F.(1994). Cognitive science: The science of intelligent system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Inc 

  36. Martindale, C.(1991). Cognitive psychology: A neural network approach. (신현정 역, 1994), Cole Publishing Co. 

  37. Millar, R(1989). What is scientific method and can it be taught? In J. Wellington(Ed.), Skills and Processes in Science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London: Routledge 44-58 

  38. Nagel, E.(1961). The structure of science: Problems in the logic of scientific explanation. (전영삼 역, 2001). Harcourt, Brace & World, Inc 

  39. Norris, S. P,(1985). The philosophical basis of observation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9), 817-833 

  40. Popper, K(1968),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41. Ross, W. D.(1949). Aristotle's prior an posterior analytic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2. Solso, R. L.(2001). Cognitive psychology, 6th ed. New York: Allyn & Bacon 

  43. Sternberg, R J.(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Sternberg, R J., & Gardner, M. K(1983), Unities in inductive reaso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2(1), 80-116 

  45. Thurston, L. L.(1938). Primary mental abilities. Psychometric Monographs (Serial No. 1).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6. Wessells, M. G.(1982). Cognitive psychology.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