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과 역량의 다면적 이해와 쟁점의 탐색: 일반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Exploring Multi-faceted Understandings and Issues Regarding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General Core Competency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1, 2019년, pp.94 - 118  

이경건 (서울대학교) ,  박정우 (서울대학교) ,  이선경 (서울대학교) ,  홍훈기 (서울대학교) ,  심한수 (계원예술대학교)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담론의 동향으로부터 과학과 핵심역량의 다면적 이해를 위한 쟁점을 탐색하고, 일반적 핵심역량과 과학 교과역량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는 행동주의, 인문주의, 그 포괄적 종합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후 OECD의 역량 관련 프로젝트(DeSeCo; OECD Education 2030),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GSS),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에 관하여 작성된 주요 문헌 15건이 제시하는 105개의 일반역량 및 45개의 과학역량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량의 정의 및 범주화를 위한 쟁점에 관하여, 일관된 체계 내에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일종의 포괄성을 지닌다고 할 때, 역량의 적절한 개수의 문제, 역량의 적절한 층위 문제, 개별 역량들이 얼마나 고유하고 독립적이어야 하는가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째, 문헌별 역량 요소들의 경향성으로서 역량 항목들이 개인적-미시적 차원, 공동체적-중시적 차원, 사회적-거시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제시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역량과 교과역량 모두에서 중시적 차원이 강조되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일반역량과 교과역량간 관계에 있어서 일반역량은 거시적 차원을 강조하고 교과역량은 미시적 차원을 강조하는 경향에서 간극이 발생함을 밝힘으로써, 양자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은 중시적 차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이해 및 추후 개발을 위하여 적지 않은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lti-faceted understanding and issues of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ies from the trend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iscours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ore competencies and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ies. First, we ex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의 성격에 관한 연구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과 유사한 검토내용은 무엇인가? Lee, Baek & Lee (2017)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핵심역량이 교육의 방향 및 목표적 성격을 지닌다고 하며, 핵심역량이 어떠한 성격을 견지하느냐에 따라 인간상, 핵심역량, 교육 목표간 진술의 연계와 수준이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제안함으로써 역량의 성격에 관한 연구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Han et al. (2018)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일반역량과 교과역량의 의미 및 관계가 불분명하거나 불투명하다고 지적하였으며, 역량의 구체적인 요소들 및 역량과 교과교육의 관계라는 이론적 질문에 천착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핵심역량의 도입의 기반은 무엇인가?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6가지 일반 역량과 5가지 과학 역량을 설정함으로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고자 하였다(MOE, 2015a, b). 이러한 핵심역량의 도입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것으로서, 학생들이 맞닥뜨리게 될 문제 상황이 간단치 않고 복잡하다는 상황 인식에 기반하는 것이다(MOE, 2015b; OECD, 2018) 그러나 교육으로 미래 사회의 요구에 대비한다는 아이디어가 새롭지 않듯이, 역량기반 교육과정 혹은 역량이라는 아이디어 자체는 21세기에 들어 새롭게 제안된 것이 아니다. So (2017)에 따르면, 21세기의 사회변화 및 그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는 학교교육의 현실이 고려되면서 역량이 다시금 교육과정 담론의 전면에 부상하기 시작한 것이다.
역량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이는 실제 맥락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존 교과의 벽을 넘어서는 초학문적인(transdisciplinary) 성격을 띨 가능성까지도 내포하고 있다. 이를 과학교육의 언어로 풀어보자면, 역량은 과학교육의 궁극적 목적과도 같이 여겨지는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과정적 요소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Song et al., 2018; cf.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hae, H. I., & Noh, S. G. (2015). Analysis of the conceptual definition in crosscurricular and science core competen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7), 23-40. 

  2. Dysthe, O., & Engelsen, K. S. (2011). Portfolio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in Norway i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Macro-, meso-and micro-level influences.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6(1), 63-79. 

  3. Dopfer, K., Foster, J., & Potts, J. (2004). Micro-meso-macro. Journal of Evolutionary Economics, 14(3), 263-279. 

  4. Ewens, T. (1979). Analyzing the impact of competence-based approaches on liberal education. In G. grant, et al. (Eds.), On competence: A critical anlalysis of competence-based reforms in higher education (pp. 160-198).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 Han, G., Ahn, D., Son, J., & Lee, J. (2017).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support strategies for science gifted students in intelligent information age (Research report of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eoul: KOFAC. 

  6. Han, H., Kim, K.-C., Lee, J.-Y., & Chang, K. -S. (2018). Exploring issu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1(3), 1-24. 

  7. Hodge, S. (2007). The origins of competency-Based training. Australian Journal of Adult Learning, 47(2), 179-209. 

  8. Humes, W. (2013).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excellence: Discourse, politics and control. In M. Priestley, G. Biesta (Eds.), Reinventing the Curriculum: 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pp. 13-34). London, UK: Bloomsbury Academic location. 

  9. Kang, H.-S., & Yi, J.-E. (2018). Integrative stud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backward desig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7), 207-216. 

  10.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KICE]. (2008). Seminar for exploring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 (Research material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ORM 2008-14). Seoul: Author. 

  11. Kim, D., Han, K., & Jang, D. (2016). 2030 future society image of talented person and core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y milestones (Research report of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BD15110002). Seoul: KOFAC. 

  12. Kim, H. -B., Kang, N., Kim, M., Maeng, S., Park, J., Baek, Y.,... Han, H. (2017). Final report of basic research project for developing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future generations (Research report of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eoul: KOFAC. 

  13. Koh, E. J., & Jeong, D. H. (2014).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35-547. 

  14. Ku, J.-O., & Shin, M.-K. (2018).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well-being based on PISA 2015 results. The Journal of Education, 38(1), 291-304. 

  15. Kwak, Y. S. (2013).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4), 378-387. 

  16. Kwak, Y., Son, J. W., Kim, M. Y., & Ku, J. O. (2014).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nd creative fus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21-330. 

  17. Lee, B., Kim, H., Jang, Y., & Park, J. (2018). Development of a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model for science gifted students to operate the MOOC-linked credit system (Research report of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eoul: KOFAC. 

  18. Lee, G.-G., & Hong, H.-G. (2017a). A comparison of Integrated Science and Converg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rough core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6), 981-992. 

  19. Lee, G.-G., & Hong, H.-G. (2017b). Analysis on the meaning change of the term 'core concep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0. 

  20. Lee, K., Beak, K., & Lee, S. J. (2017). Key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lationship with the idea of the educated person, educational goals, and subject competenci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2), 67-94. 

  21. Lee, K., Jeon, J., Heo, K., Hong, W., & Kim, M. (2009). A study on the design of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 -General Report-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RC 2009-10-1). Seoul: KICE. 

  22. Lee, K., Kim, K., Kim, S., Kim, H., Lee, M., Lee, S., Lee, I., & Lee, K. (2013). Exploratory research on curriculum for future core competency development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RC 2013-2). Seoul: KICE. 

  23. Lee, K., Kwak, Y. S., Lee, S., Choi, J., & Lee, K. (2012). Planning national curriculum to foster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RC 2012-4). Seoul: KICE. 

  24. Lee, K., Lee, K., Park, J., & Park, M. (2013).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focused on core competency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CRC 2013-17). Seoul: KICE. 

  25. Lee, K., Min, Y., Jeon, J., Kim, M., & Kim, H. (2008). A study on the 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 (I)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RC 2008-7-1). Seoul: KICE. 

  26. Lee, S.-E. (2018). Exploring an alternative direction for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an age of uncertainty: An "ontological approach".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6(1), 45-69. 

  27. Longbottom, J. E., & Butler, P. H. (1999). Why teach science? Setting rational goals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3(4), 473-492. 

  28.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General guideline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jong: Author. 

  29.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Science curriculum. Sejong: Author. 

  30.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France: Author. 

  3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aris, France: Author. 

  33. Park, H.-J. (2008). Test of group invariance for the structural model among motivation, self-concept and student achievement: Using PISA 2006 dat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3), 43-67. 

  34. So, K.-H. (2009). Curricular-historical base and its liberal nature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7(1), 1-20. 

  35. So, K. H. (2015). Issues in the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maining tasks for subject matter curriculum development.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3(1), 195-214. 

  36. So, K. H. (2017). Understanding of Curriculum. Paju: Kyoyookbook. 

  37. Son, M., & Jeong, D. (2018). A stud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5), 693-703. 

  38. Son, Y. A., Pottenger, F. M., King, A., Young, D. B., & Choi, D. H. (2001). Theory and practice of curriculum design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1(1), 231-254. 

  39. Song, J., Kang, S., Kwak, Y., Kim, D., Kim, S., Na, J.,... Kim, E. (2018).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standards for future generations (Research report of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eoul: KOFAC. 

  40. White, J. (2011). The Invention of the Secondary Curriculum. New York, NY: Springer. 

  41. Willbergh, I. (2015). The problems of 'competence' and alternatives from the Scandinavian perspective of Bildu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7(3), 334-354. 

  42. Williamson, B. (2013). The future of the curriculum - School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Cambridge, MA: MIT Press. 

  43. Yoon, H., Kim, Y., Lee, K., & Jeon, J. (2007). A study on the 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 (I)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RC 2007-1). Seoul: KIC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