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하수처리시설 사례 별 강우발생 유무에 따른 유입수 분석 평가
Analytical Evaluation of Influent Depending on the Occurrence of Rainfall by Case Study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2 no.3, 2019년, pp.35 - 49  

최랑규 ((주)에코베이스) ,  정진도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한국 내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18년 현재 600개 이상 운영 되고 있으며 하수종말처리시설은 법적으로 유입수량이 일일 500톤 이상 설계되어 운영되는 처리시설을 말한다. 마을 하수도는 50톤 이상 500톤 미만 유입되는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을 의미한다. 그러나 설계유입수량과 수질이 유사한 처리시설은 거의 없다. 이러한 현실은 하수관로의 노후화로 인한 빗물의 유입, 지하수의 침입과 하수관로에 폐수의 무단 투입 등으로 설계유입수량과 수질이 실제 현실과 많이 다른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많은 지역 하수관로 기술진단을 실시한 것 중 대표적 사례 2개소의 하수관로를 선정하여 청천시와 강우시 시간대별 유량 및 BOD 수질분석, 침입수 유량 및 비율 산정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적절한 운영과 하수관로와 그 부속 시설의 노후화 진단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일일 500톤 이상 공공하수처리시설 유입수 분석을 청천시 주1회 24시간 동안 시간대별 채수 및 분석, 우천시 강우영향일 고려하여 동일시간대 채수 및 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in 2018, Korea has over 600 operating sewage disposal facilities. The law requires a sewage treatment plant to treat 500 tons or more of water per day, and a small-decentralized sewage treatment facility in a community to treat 50 tons or more to less than 500 tons of water per day. Howeve...

주제어

표/그림 (2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많은 지역 하수관로 기술진단을 실시한 것 중 대표적 사례 2개소의 하수관거(AA시 : 전형적인 지방 중규모 도시지역, BB시 : 공장지대 하수처리구역)를 선정하여 청천시와 강우시 시간대별 유량 및 BOD수질 변화, 침입수 유량 및 비율을 산정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적절한 운영과 하수관로와 그 부속 시설의 노후화 진단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많은 지역 하수관로 기술진단을 실시한 것 중 대표적 사례 2개소의 하수관거(AA시 : 전형적인 지방 중규모 도시지역, BB시 : 공장지대 하수처리구역)를 선정하여 청천시와 강우시 시간대별 유량 및 BOD수질 변화, 침입수 유량 및 비율을 산정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적절한 운영과 하수관로와 그 부속 시설의 노후화 진단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강우일의 전일과 강우 영향일의 후일의 유량 자료와 해당 요일의 청천일 자료를 비교하여 잔차(±)값이 최소가 되도록 청천일 자료에 가감한다. 가감한 양은 기존 청천일 유량의 5%가 넘지 않아야 한다. 강우일 및 강우영향일의 자료와 보정된 청천일 자료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유입수로 산정한다.
  • 공공하수도는 하수처리시설과 하수관로, 배수설비, 간이 공공하수처리시설, 개인 하수처리시설 등 하수와 분뇨를 처리하기 위한 공작물 전체를 의미한다.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설계된 수질과 유량은 실제 유입되는 수질과 유량이 대부분의 하수처리시설에서 상이 하고 우천시에 유입되는 유량과 수질은 강우량과 강도에 따라 동일 하수처리시설내에서 조차 매우 다른 것이 현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 하수도란 무엇인가? 현재 한국 내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18년 현재 600개 이상 운영 되고 있으며 하수종말처리시설은 법적으로 유입수량이 일일 500톤 이상 설계되어 운영되는 처리시설을 말한다. 마을 하수도는 50톤 이상 500톤 미만 유입되는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을 의미한다. 그러나 설계유입수량과 수질이 유사한 처리시설은 거의 없다.
설계시의 설계유입수량과 수질은 왜 현실과 일치하지 않는가? 그러나 설계유입수량과 수질이 유사한 처리시설은 거의 없다. 이러한 현실은 하수관로의 노후화로 인한 빗물의 유입, 지하수의 침입과 하수관로에 폐수의 무단 투입 등으로 설계유입수량과 수질이 실제 현실과 많이 다른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많은 지역 하수관로 기술진단을 실시한 것 중 대표적 사례 2개소의 하수관로를 선정하여 청천시와 강우시 시간대별 유량 및 BOD 수질분석, 침입수 유량 및 비율 산정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적절한 운영과 하수관로와 그 부속 시설의 노후화 진단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일일 500톤 이상 공공하수처리시설 유입수 분석을 청천시 주1회 24시간 동안 시간대별 채수 및 분석, 우천시 강우영향일 고려하여 동일시간대 채수 및 분석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하수처리시설 유입수 채수 방법으로 진단을 내리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환경부 공공하수도시설 운영 관리 업무지침에 따르면 “시료 채취시기는 강우시 우수가 유입되거나, 하수 및 폐수발생이 적은 시간대(야간)의 하수가 유입 처리되어 방류되는 시간은 배제하고, 정상적으로 유입 또는 처리되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채취하여야 한다.” 또한 일일 500톤 이상 공공하수처리시설은 매일 1회 BOD, COD, SS, TN, TP를 수질검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질비교를 설계수질과 비교하는 것으로 하수관로와 그 부속시설 상태 정밀조사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삼고 있으나 이러한 판단은 고도의 기술과 경험을 지닌 엔지니어나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hoi, C. S., Bang, K. W., and Lee, J. H. (2018). An Investigation Analysis of Inflow and Infiltration into Combines Sewer System in Daej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8(2): 13-21. 

  2. Choi, J. S., Lee, Y. S., Lee, Y. J., and Lee, J. M. (2015). Evaluation of Infiltration/inflow on Separate Sewer System in Residential Complex. J.Korean Soc. Hazard Mitig. 15(3): 357-362 

  3. Kim, H. J. and Park, K. h. (2010). Statistical Methods for the Use of Infiltration and Inflow as Performance Index in Sewer Rehabilitation Wo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4(5): 617-628 

  4. Lim, Y. S., Son, B. C., and Choi, Y. Y. (2015.04). Classification Expression Sewer Rehabilitation Regional infiltration/ Inflow Investigation Analysis. KSWST Jour. Wat. Treat. 23(2): 67-79 

  5. Park, M. G., Kim, D. S., Ahn, W. S., and Oh, J. M. (2006). A Quantitative/Qualitative Study of Infiltration/Inflow for Order Decision of Sewer pipe Mainten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0(1): 53-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