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종 성별 분리 및 숙련 특성이 임금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
Occupational Segregation, Occupational Skills, and Gender Gaps in Wag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apital Region, Korea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5 no.4, 2019년, pp.47 - 60  

송창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임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종 성별 분리 및 숙련 특성이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개인 수준에만 국한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그쳤다는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개인과 직종 두 층위의 변수를 포괄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20차년도 자료와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직종별 업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수준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인지적 숙련, 기술적 숙련, 신체적 숙련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여성 임금근로자는 임금과 직무만족도 양쪽 측면에서 남성 임금근로자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성별 격차는 인지적 숙련을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는 직종에서는 보다 완화되는 한편, 직종 성별 분리의 정도가 높은 직종에서는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종 성별 분리와 숙련 특성에 따른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성별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하는 수도권 노동시장 내 정책의제에 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 gaps in wag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ll characteristics and gender composition in occupation typ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gender gaps in wage and job satisfaction have limitations in using a model at a single level. To ov...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할 경우, 개인특성의 변수를 통제 한 상태에서 직종 수준에서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강상진, 1995).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로자 개인특성만이 아니라,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는 직종이라는 구조적 층위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논의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개인 수준의 변수만을 모형에 포함하여 분석을 수행한 연구들은 모든 직종에서의 성별 간 격차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 본 연구는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에 미치는 개인 및 직종 수준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단일 수준만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해왔다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개인 수준과 직종 수준이라는 두 개의 층위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숙련을 교육년수로만 측정하는 방식이 가지는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직종에서 요구되는 업무수행능력 변수를 토대로 직종 숙련을 도출하여 분석에 반영하였다.
  • 본 연구는 수도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에 미치는 개인 및 직종 수준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단일 수준만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해왔다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개인 수준과 직종 수준이라는 두 개의 층위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임금근로자의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근로자가 보유한 업무수행 역량을 의미하는 숙련(skill)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업무 특성별로 요구되는 숙련 유형이 다변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숙련은 노동시장 내 존재하는 성별 격차를 설명하는 핵심 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크다(Bacolod et al.
  • 기존의 개인 수준의 변수만을 모형에 포함하여 분석을 수행한 연구들은 모든 직종에서의 성별 간 격차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직종의 숙련 특성에 따라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격차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다양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고 관련 논의의 틀을 확장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에서는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를 분석하는 데 있어 숙련(skill)에 집중하고자 한다. 숙련 (skill) 개념은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하며, 개인의 성격과 같은 개인적 요소, 교육·학습·훈련과 같은 제도적 조건, 동료의 구성, 거주지역과 같은 환경적 조건의 총체적인 상호작용으로 근로자에게 습득 및 체화될 수 있다(Bacolod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종 성별 분리 및 숙련 특성에 따른 수도권 임금근로자의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 지역노동시장권이라 할 수 있는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한편, Ingram and Neumann(2006)은 미국의 직업 사전(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 DOT)에서 제공하고 있는 53개의 직종별 업무 특성 변수들을 토대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수행해 직종 숙련을 도출한 바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업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수준 변수를 바탕으로 직종 숙련에 대한 지표를 구성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근로자 개인특성만이 아니라,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는 직종이라는 구조적 층위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논의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개인 수준의 변수만을 모형에 포함하여 분석을 수행한 연구들은 모든 직종에서의 성별 간 격차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직종의 숙련 특성에 따라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격차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다양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고 관련 논의의 틀을 확장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숙련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임금 및 직무만족도의 성별 격차를 분석하는 데 있어 숙련(skill)에 집중하고자 한다. 숙련 (skill) 개념은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하며, 개인의 성격과 같은 개인적 요소, 교육·학습·훈련과 같은 제도적 조건, 동료의 구성, 거주지역 과 같은 환경적 조건의 총체적인 상호작용으로 근로 자에게 습득 및 체화될 수 있다(Bacolod et al., 2010; Tittenbrun, 2017).
구조적 장벽과 여성에 대한 차별으로 발생하는 직종 성별 분리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 2009; Reskin and Maroto, 2011). 결국, 이는 여성지배적(female dominated)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경제적 보상의 측 면만이 아니라 업무환경의 만족도에 대한 측면에서 도 다른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와 비교했을 때 낮을 수밖에 없다는 결론으로 귀결된다(Reskin and Roos, 1990).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 이슈가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유는? 과거부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의 증가가 지속적으로 관측되어 왔으며, 노동시장 내에서 여성이 차지하 고 있는 비중 또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남녀 간 교육수준의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고 말할 수 있는 현재에도 남녀의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격차는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에(OECD, 2018), 노동시장 내 성별 격차 이슈는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상진, 1995, 다층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활용방법. 교육평가연구, 8(2), pp.63-94. 

  2. 장지연.오선영, 2018, 성별임금격차 해소의 철학과 정책, 이화젠더법학, 9(1), pp.167-194. 

  3. 조혜선, 2002, 성별 분리와 가치 차별에 대한 다층분석, 노동정책연구, 2(3), pp.1-29. 

  4. 허식, 2003, 산업과 직종에서의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원인 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지, 5(3), pp.1-29. 

  5. Arrazola, M., Hevia, J., and Carlos, J. 2007., An aggregated index of human capital, Economics Bulletin, 10(1), pp.1-11. 

  6. Autor, D., Levy, F., and Murnane, R., 2003, The skill content of recent technological change: an empirical explor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8(4), pp.1279-1333. 

  7. Bacolod, M., Blum, B., and Strange, W., 2010, The skill content of recent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Urban Economics, 65(2), pp.136-153. 

  8. Bacolod, M., Blum, B. S., and Strange, W. C., 2010, Elements of skill: traits, intelligences, education, and agglomeratio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50, pp.245-280. 

  9. Blau, F., Brinston, M., and Grusky, D. 2006, The declining significance of gender?, New York, NY: Russel Sage Foundation, pp.3-34. 

  10. Blinder, A. S., 1973, Wage discrimination: reduced from and structural estimates. Journal of Human Resource, 8(4), pp.436-455. 

  11. Brown, C., 1980, Equalizing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pp.113-134. 

  12. Clark, A. E., 2005, Your money or your life: Changing job quality in the OECD countries, Brit. J. Indust. Relat, 43(3), pp.377-400. 

  13. Deming, D., 2017, The growing importance of social skills in the labor market,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2(4), pp.1593-1640. 

  14. Deming, D., and Kahn, L. B., 2018, Skill Requirements across firms and labor markets: Evidence from job posting for professionals, Journal of Labor Economics, 36(1), pp.337-369. 

  15. Diprete, T., 2005, Labor market, inequality, and change: a European perspective, Work and Occupations, 32(2), pp.119-139. 

  16. England, P.. 2010. The gender revolution: uneven and stalled, Gender and Society, 24(2), pp.149-166. 

  17. Esser, I., Olsen, K. M., 2011, Percieved job quality: autonomy and job security within a multilevel framework,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4(2), pp.183-197. 

  18. Fagan, C., Burchell, B., Gender, jobs and working conditions in the European Union, Eurofound.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pp.1-92. 

  19. Findley, P., Findley J., and Steward R. 2009, The consequences of caring: skills, regulation and reward among early years workers,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3(3), pp.422-441. 

  20. Gash, V., 2008, Preference or contraint? Part-time worker's transitions in Denmark,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Employment and Society, 22(4), pp.655-674. 

  21. Gallie, D., Falstead A., and Green F., 2012, Job preferences and the intrinsic quality of work: the changing attitudes of British employees 1992-2006,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6(5), pp.806-821. 

  22. Gesthuizen, M., Solga, H., and Kunster, R., 2011, Context matters: economic marginalisation of low-educated workers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2), pp.264-280. 

  23. Glass, J, 1990, The impact of occupational segregation on working conditions, Social Forces, 68(3), pp.779-796. 

  24. Green, F., 2006, Demanding Work: The paradox of job quality in the affluent ec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Hakim, C., 2002, Lifestyle Preferences as Determinants of Women's Differentiated Labor Market Careers. Work and Occupations, 29(4), pp.428-59. 

  26. Handel, M. J., 2005, Trends in perceived job quality, 1989 to 1998, Work and Occupations, 32(1), pp.66-94. 

  27. Huffman, M. L. and Cohen, P. N., 2004, Occupational segregation and the gender gap in workplace authority: national versus local labor markets, Sociological Forum, 19(1), pp.121-147 

  28. Ingram, Beth F., Neumann, George R. 2006, The Returns to Skill, Labour Economics, 13(1), pp.35-59. 

  29. Kanter, R. M., 1977,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New York, NY: Basic Books. 

  30. Kidd, M. P., and Shannon, M., 1996, Does the level of occupational aggregation affect estimates of the gender wage gap?, Industrial and Labor Review, 14(3), pp.693-709. 

  31. Mauno, S., Kinnunen, U., 2002, Perceived job insecurity among dual-earner couples: Do its antecedents vary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ector and the measure used?,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5(3), pp.295-314. 

  32. Mincer J. A., 1974, Schooling, experience, and earnings, New York, N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33. Muhlau, P., 2007, Perceived job insecurity among dual-earner couples: do its antecedents vary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ector and the measure used?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5(3), pp. 295-314. 

  34. OECD, 2018, Gender wage gap (indicator), doi: 10.1787/7cee77aa-en. 

  35. Oaxaca, R. L., 1973, Male-female wage differentials in urban labor markets,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14(3), pp.693-709. 

  36. Pavadic, I., and Reskin, B., 2002, Women and men at work,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37. Petersen, T., and Saporta I., 2004, The Opportunity Structure for Discrimin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9(4), pp.852-901. 

  38. Polachek, S., 1981, Occupational self-selection: a human capital approach to sex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uctur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58(1), pp.60-69. 

  39. Rubery, J. and Fagan, C., 1995, Gender segregation in societal context, Work, Employment and Society, 9(2), pp.213-240. 

  40. Reskin, B. F., and Roos, P., 1990, Job Queues, Gender Queues, Philadelphia, PA: Temple University Press. 

  41. Reskin, B. F., and Maroto, M. L., 2011, What trends? whose choices? comment on England, Gender and Society, 25(1), pp.81-87. 

  42. Smith, R. C., 1979, Compensating wage differentials and public policy: a review,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32(3), pp.339-352. 

  43. Solga, H., 2002, Stigmatisation by negative selection: explaining less-educated people's decreasing employment opportuniti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8, pp.159-178. 

  44. Stier, H., Yaish, M., 2014, Occupational segregation and gender inequality in job quality: a multilevel approach,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8(2), pp.225-246. 

  45. Stier, H., 2015, The skill-divided in job quality: A cross-national analysis of 28 countries, Social Science Research, 49, pp.70-80. 

  46. Tittenbrun, J., 2017, Human Capital. Theory and Evidence in Light of Socio-economic Structuralism, World Scientific News, 79, pp.1-16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