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의 근무조건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Occupational Stress of Women Workers in Service Industries depending on Their Working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2, 2014년, pp.89 - 96  

곽수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the working conditions on women workers' occupational stress. Methods: Descriptive method is used to identify women's stress depending on their general working features and condit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m in women-domin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여성 근로자의 근무조건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근무조건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를 탐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의 근무조건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 이처럼 여성근로자의 근무조건이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있고, 특히 남성 근로자에 비해 여성 근로자가 직무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무조건에 따른 차이를 집중적으로 파악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업 여성 근로자의 근무조건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 주요국가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그러나 여전히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선진외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OECD 주요국가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살펴보면, 덴마크 76.1%, 미국 67.8%, 프랑스 66.1%, 일본 63.0%를 나타내고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여성 근로자가 남성 근로자보다 정신적 건강문제를 더 크게 겪는다는 연구는? 뿐만 아니라 직장 여성의 역할부담 증가는 직장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데 (Kim, 2003), 그 중에서도 특히 정신적 건강문제는 남성 근로자보다 여성 근로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Lidwall과 Marklund (2006)의 보고에서는 여성 근로자가 남성 근로자보다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다고 하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로 인한 소모, 우울, 두통, 극도의 통증, 호흡문제, 어지럼증 등을 더 많이 호소한다고 하였다(von Scheele I, von Scheele B, Hansson, Winman, & Theorell, 2005).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1970년대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11년 54.9%, 2012년 55.2%(Statistics Korea, 2012)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나라 여성 근로자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선진외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 Lee, C. G., et al.(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7(4), 297-317. 

  2. Cheng, Y., Guo, Y .L., & Yeh, W. Y.(2001). A national survey of psychosocial job stressors and their implications for health among working people in Taiwan.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74, 495-504. 

  3. Dilworth, J., & Kingsbury, N.(2005) Home-to-job spillover for generation X, boomers, and matures: A comparison.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6(2), 267-281. 

  4. Ha, M. N., Kim, J. Y., Park, J. S., & Chung, H. K.(2001). Influence of shiftwork duration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short rotating 8-hour shift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3(2), 180-189. 

  5. Hwang, E. H., & Kang, J. S.(2011). A study on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7(2), 81-86. 

  6. Jung, H. S., Kim, H, Y., Lee, H. K., Yi, Y. J., & Kwon, Y. S.(2001).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factor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0(1), 93-109. 

  7. Kim, B. S., An, Y. J., & Lee, B. B.(2009). Gender difference analysis of job stressors and reactions of male and female workers. Korea Women's Studies Institute, 9(2), 157-196. 

  8. Kim, G. S.(2003). Stress and health status in married working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Kim, S. Y.(1999). A study on health behaviors and problems of female retail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Kossek, E. E., Colquitt, J. A., & Noe, R. A.(2001). Caregiving decisions, well-being, and performance: The effects of place and provider as a function of dependent type and workfamily climat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 29-44. 

  11. Lee, B. I.(2009). Gender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232-241. 

  12. Lee, H. S.(2001). Family stress, work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employed men and women.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2), 143-152. 

  13. Lee, S. H., Koo, J. W., Kim, I. A., Kim, J. W., Kim, H. J., & Kim, H. C., et al.(2012). Study of a development of the contents and diagnostic methods of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for night-shift workers.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14. Lee, Y. J.(2010).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Lidwall, U., & Marklund, S.(2006) What is healthy work for women and men?-A case-control study of gender and sector specific effects of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on long term sickness absence. Work, 27(2), 153-163. 

  1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1). Women and Work. Seoul: Author. 

  17. NIOSH.(1999). Stress at Work. Atlanta: NIOSH Publication. 

  18. Seto, M., Morimoto, K., & Maruyama, S.(2006). Work and family life of child rearing women workers in Japan: Comparison of non-regular employees with short working hours, nonregular employees with long working hours, and regular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8(3), 183-191. 

  19. Statistics Korea.(2012). E-National Index. Daejeon: Author. 

  20. Steptoe, A., & Willemsen, G.(2004). The influence of low job control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Journal of Hypertension, 22(5), 915-920. 

  21. von Scheele, I., von Scheele, B., Hansson, G, Winman, A., & Theorell, T.(2005). Psychosocial factors and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parameters during psychophysiological stress profiling in working men and women. Applied Psychophysiol and Biofeedback, 30(2), 125-136. 

  22. Yi, Y. J., & Jung, H. S.(2009). Analysis on female workers' job stress in sales and retail industr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1), 22-32. 

  23. Yun, S. N., June, K. A., & Kim, C. M.(1997). Job stress of the workers at the small and medium-sized plan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6(2), 7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