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신도시에 대한 주민의 인식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New Towns of Seoul Metropolitan Area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5 no.3, 2019년, pp.45 - 58  

윤정중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윤정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최근 서울 근교에 5개의 대규모 공공택지지구, 소위 3기 신도시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신도시를 계획함에 있어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수요자인 주민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1기 및 2기 신도시와 건설예정인 3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환경적 쾌적성, 일자리 등 자족성, 교통접근성과 편리성 등 8개 지표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별, 연령, 가구원수, 가구소득, 직업, 거주지역 등 주민의 특성을 설명변수로 하여 빈도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1기 신도시를 2기 신도시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일자리 등 자족성 항목에 대하여는 1기와 2기 신도시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1기 신도시는 8개 지표에 대하여 성별, 가구원수, 가구소득에 따른 응답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기 신도시는 가구원수, 가구소득, 직업, 거주지역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3기 신도시의 경우 연령, 가구원수, 가구소득 및 직업에 따른 각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3기 신도시에 대한 다중비교분석 결과를 보면, 환경적 쾌적성에 대하여 청년층, 1인 또는 5인 이상 가구, 관리/전문/사무직이, 교통의 접근성과 편리성의 경우 청년층, 소득이 많은 계층, 관리/전문/사무직에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3기 신도시 계획 시에 각 계획지표들에 대한 다양한 개인적 특성과 수요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is recently pushing for five large-scale public housing sites near Seoul, the so-called third wave of new towns.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key considerations in planning new tow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idents who are the consumers, using survey data. Fo...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주민들이 기존 신도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항목들이 무엇인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항목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향후 개선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3기 신도시 계획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항목들이 무엇인지도 파악하려 한다. 이러한 분석은 응답자 전체의 평가값으로 분석함과 아울러 성별, 연령, 소득, 직업, 가구원수, 거주지역 등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평가결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연구내용은 1, 2, 3기 신도시에 대한 조사항목별 응답자의 평가가 어느 수준인지, 신도시 간의 응답결과에 유의적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평가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주민들이 기존 신도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항목들이 무엇인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항목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향후 개선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3기 신도시 계획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항목들이 무엇인지도 파악하려 한다.
  • 본 논문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대규모 택지(3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주민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개발전략과 계획기준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진 연구로 1·2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한 상기 선행연구들과는 대상에서부터 명확히 차별된다.
  • 본 연구는 개발예정인 신도시에 대하여 잠재적 수요자가 될 수 있는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도시계획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신도시 입지 예정지역 및 주변도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함에 따라 기존 1, 2기 신도시에 대한 거주경험과 요구를 충분히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신도시를 계획 및 개발함에 있어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 수요자인 주민들의 관점에서 평가, 분석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개발이 완료될 때까지는 도시 내 거주자가 없기 때문에 잠재적 수요자가 될 수 있는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도시개발 방향에 대해 요구하기 어렵다.
  •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를 계획함에 있어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수요자인 주민들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본 연구 역시 3기 신도시 초기단계에 수행되는 특성에 맞춰 전자의 연구방식을 채택해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초기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3기 신도시의 개발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3기 신도시가 도시성장기에 추진된 1·2기 신도시 때와는 달리 인구감소·저성장 시기라는 사회적 여건과 1·2기 신도시 사이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새로운 도시개념이나 계획기법의 도입보다는 3기 신도시 개발을 통해 기존 1·2기 신도시에서 발생된 도시문제를 보완하고 지역적 특성과 주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도시개발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 또한 3기 신도시 계획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항목들이 무엇인지도 파악하려 한다. 이러한 분석은 응답자 전체의 평가값으로 분석함과 아울러 성별, 연령, 소득, 직업, 가구원수, 거주지역 등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평가결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잠재 수요자가 될 주민들의 연령대나 소득수준, 가구구성 등 개별특성에 맞춰 신도시의 개발방향 및 전략수립과 주거·산업·문화 등지구계획 수립에 참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리고 환경범위가 넓을수록, 주택규모가 커질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의 평가법을 보완하는 신도시 주거환경을 주택규모별로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새로운 평가분석법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3기 신도시가 지향하는 도시개발의 방향에 대해 신도시가 위치한 수도권의 주민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도시개발에 앞서 기본적이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도시가 지향해야 할 개발방향에 대하여 수도권 주민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환경적 쾌적성, 일자리 등 자족성, 교통접근성과 편리성 등 8개의 주요 개발방향들에 대하여 먼저 기존 1, 2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주민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그리고 3기 신도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개발방향은 무엇인지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3기 신도시 개발방향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먼저, 수도권 신도시에 대한 평가 연구는 주로 1기 신도시에서의 거주(1992년 입주완료)가 정착기로 접어든 1990년대 후반부터 2기 신도시 건설이 발표(2003년)된 후인 2000년대 중반까지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1기 신도시에 대한 평가는 정책적 효과에 대한 평가가 다수를 이루었는데, 2기 신도시가 발표되면서는 1기 신도시에 대한 비교 평가를 통해 2기 신도시의 개선과제를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도시개발 방향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도시개발이 완료될 때까지는 도시 내 거주자가 없기 때문에 잠재적 수요자가 될 수 있는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도시개발 방향에 대해 요구하기 어렵다. 도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전문가가 주민설명회, 주민공람 등의 의견들을 고려하는 수준이 대부분이다. 특히 3기 신도시는 정부가 입지 및 개략적 구상안을 발표한 단계로서 아직 사업을 위한 지구지정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3기 신도시란? 제3차 신규택지 추진계획이 발표되면서 고양 창릉과 부천 대장지구가 신도시에 추가되었다. 이로써 서울과 30분 이내의 근거리에 모두 5개의 대규모 공공택지지구, 소위 ‘3기 신도시’를 개발하여 총 17.3만 호의 주택건설 및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신규 개발지구가 갖춰야할 기능은 무엇인가? 3기 신도시 발표가 수도권 집값 안정을 위해 급박하게 추진되었으나 정부는 신규 개발지구들이 신도시로서 가져야할 핵심적 기능과 개발방향으로 접근성,일자리, 육아와 교육, 지역과의 협력을 함께 강조하였다. 이는 특히 대규모 개발이 서울과 가까운 입지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 신도시 개발 초기에 논란이 되어왔던 불편한 교통, 일자리 없는 베드타운, 학교 수급의 불균형, 정부주도의 하향식 추진방식 등의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하려는 의도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국토교통부, 2019, 제3차 신규택지 추진계획. 

  2. 김용성, 2006,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분당신도시계획 평가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현수, 2007, 2기 신도시의 평가에 관한 연구: 1기 신도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4). 

  4. 양승우.백인길, 1997,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국토계획, 32(6). 

  5. 이외희.이지은, 2007, 수도권 제2기 신도시지역의 인구유입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6. 이춘호, 2001,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 만족도 비교 분석, 국토계획 36(6). 

  7. 장용훈, 2010,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신도시계획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장한두, 2012, 신도시 주민의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2). 

  9. 하혜경.김한배, 2016,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한국경관학회지, 8(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