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리드믹 운동과제 평가 연구 메타분석
Rhythmic Tapping Task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Meta-Analysi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6 no.1, 2019년, pp.47 - 72  

유가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윤예은 (이화여자대학교 예술교육치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운동조절을 평가하기 위해 리드믹 운동과제를 포함한 국외 실험연구를 고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SD로 진단받은 아동과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대조군(TD)을 대상으로 하고 리드믹 탭핑, 리드믹 운동, 동기화 등 운동조절 관련 변인을 포함하고 있는 국외 실험연구를 선정하였다. 총 10개의 연구가 최종 선정되었고, 해당 연구에 포함된 운동조절 관련 변인과 사용된 청각 자극, 측정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ASD 아동과 TD 아동의 리드믹 운동과제 수행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리드믹 운동과제를 통해 운동조절을 평가할 때 목표된 변인은 다섯 가지로 운동 타이밍 조절, 타이밍 재산출, 양손 협응, 동기화, 대인 간 동기화가 포함되었고, 각 과제는 움직임의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의 측면에서 분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리드믹 운동과제 수행력과 사회기술 지표의 상관관계가 보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타분석 결과, ASD 그룹은 청각 자극에 맞추어 움직이다가 자극이 소거된 후에도 동일한 움직임을 지속하는 타이밍 재산출 지표에 있어서는 TD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외부 자극(청각적 큐나타인)에 동기화하고 움직임을 일관적으로 조절하는 데 있어서는 유의하게 낮은 수행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리드믹 운동과제가 음악치료 임상 현장에서 ASD 아동의 운동조절뿐만 아니라 사회기술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English-written studies using a rhythmic tapping task for motor control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clusion criteria for the participants were children with ASD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The keywords used for the outcome variable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드믹 운동과제를 통해 ASD 아동의 운동조절을 평가하는 실험연구가 지금까지 어떻게 시도되어 왔는지 고찰하고, 관련 연구에 포함된 리드믹 운동과제의 유형과 세부 내용, 관련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메타분석을 통해 해당 대상군이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typically developing, 이하 TD) 유사한 연령의 일반 아동의 수행 수준 간 차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리드믹 운동과제를 통해 ASD 아동의 운동조절 양상을 이해하고 평가할 때 어떠한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또한 이러한 점이 음악치료 임상, 특히 다각화된 음악치료 평가 방안의 확대와 관련해 어떤 점을 시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각 측정 변인은 외부 청각 자극의 유무(자가 운동조절 대 동기화), 타인의 유무(동기화 대 대인간 동기화) 등의 측면에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하였고,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적용된 지표 역시 분석하였다. 또한 각 문헌에 리드믹 운동과제와 사회성을 포함해 타 발달 영역과 관련성이 분석되었는지, 분석되었다면 어떠한 관련성이 보고되었는지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드믹 운동과제를 통해 ASD 아동의 운동조절을 평가하는 실험연구가 지금까지 어떻게 시도되어 왔는지 고찰하고, 관련 연구에 포함된 리드믹 운동과제의 유형과 세부 내용, 관련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메타분석을 통해 해당 대상군이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typically developing, 이하 TD) 유사한 연령의 일반 아동의 수행 수준 간 차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리드믹 운동과제를 통해 ASD 아동의 운동조절 양상을 이해하고 평가할 때 어떠한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는지, 또한 이러한 점이 음악치료 임상, 특히 다각화된 음악치료 평가 방안의 확대와 관련해 어떤 점을 시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이 TD 대조군과 비교해 운동조절의 측면에서 어떠한 양상을 보였는지 선정된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거기에서 나아가 사회기술과의 관련성까지 분석된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리드믹 운동과제가 ASD 아동을 위한 중재에서 운동조절의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기술의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ASD 대상군이 TD 대조군과 어떠한 지표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리드믹 운동과제와 관련된 평가가 다른 발달 영역의 지표, 특히 사회성 지표와의 관련성 측면에서도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 타 발달 영역과의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는 총 5개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연구에서 목표 변인을 어떠한 지표를 통해 측정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운동 타이밍 조절을 목표한 연구 중 3개의 연구(Fitzpatrick et al.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리드믹 운동과제에 있어 ASD 아동이 같은 연령의 TD 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지표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손 협응의 경우, 움직임이 실행되는 동안의 시점별 운동 각도의 변화에 대한 지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단일 수치로 그룹을 비교분석하는 데 제한이 있어 메타분석 과정에서는 제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을 대상으로 리드믹 운동과제를 실시하여 그 수행 수준을 TD 아동과 비교 평가한 국외 실험연구를 고찰하고자 하였고, 선정 기준에 부합한 총 10편의 연구를 최종 선정해 분석하였다. 선정 연구에 포함된 ASD 아동은 총 233명, TD 아동은 총 267명으로, 7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편(20%), 학령기 아동 대상 연구가 3편(30%), 청소년 대상 연구가 3편(30%),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모두 포함한 연구가 2편(20%)이었다.
  • I 2 값이25% 이하이면 이질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50% 이상이면 중등도의 이질성, 75% 이상이면 이질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출판 비뚤림(publication bias)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깔때기 그림(funnel plot)을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려진 산점도의 대칭성을 확인해 출판 비뚤림의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스펙트럼장애란 무엇인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결함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을 보이는 신경발달장애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2013). 지금까지는 ASD 아동이 보이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결함에 대한 문헌이 주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점차적으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즉 이상(atypical) 운동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Bhat, Landa, & Galloway, 2011; Donnellan, Hill, & Leary, 2013; Fournier, Hass, Naik, Lodha, & Cauraugh, 2010).
리드믹한 움직임의 조율에 관심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4). 사회기술과 관련하여 이러한 리드믹한 움직임의 조율에 관심이 증가하게 된 것은 합주나 댄스 등 실제 환경에서 외부 청각 자극에 맞추어 움직임을 조절하는 행동이 주로 사회적 맥락에서 나타나기도 하고, 타인과 동시에 동일한 움직임을 시도한 경험이 실제로 타인에 대해 지각하는 바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타인과 타이밍을 맞추어 동일한 움직임을 시도한 대상자들은 그 경험을 공유한 타인에게 느끼는 호감(Hove & Risen, 2009)이나 타인과 함께한 것 같다는 느낌(Valdesolo, Ouyang, & DeSteno, 2010)을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조절의 어려움의 사회적 요인은 무엇인가? 지각-운동 연합의 이상으로 인한 운동조절의 어려움은 사회기술 발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회기술이 타인의 의도나 상황적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해당 맥락에서 적절한 행동을 시도하고 또한 그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Schmidt, Fitzpatrick, Caron, & Mergeche, 2011). 대화를 위해 차례를 지키며 언어 행동을 번갈아가며 시도하기, 타인과 악수하기 위해 타이밍을 맞추고 움직임의 범위나 지속시간을 조절하기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많은 기본 사회기술에는 운동조절이 요구되고(Whyatt, 2018), 이에 운동조절 기능의 발달이나 장애가 사회기술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 Anagnostou, E., Jones, N., Huerta, M., Halladay, A. K., Wang, P., Scahill, L., ... Dawson, G. (2015). Measuring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as a treatment endpoint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ism, 19(5), 622-636. 

  3. Bhat, A. N., Landa, R. J., & Galloway, J. C. (2011). Current perspectives on motor functioning in infants, children, and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hysical Therapy, 91(7), 1116-1129. 

  4. Cacioppo, S., Zhou, H., Monteleone, G., Majka, E. A., Quinn, K. A., Ball, A. B., ... Cacioppo, J. T. (2014). You are in sync with me: Neural correlates of interpersonal synchrony with a partner. Neuroscience, 277, 842-858. 

  5. Chong, H. J., Lim, J. H., & Hwang, S. Y. (2018).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the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5(1), 95-118. 

  6. Cook, J. L., Barbalat, G., & Blakemore, S. (2012). Top-down modulation of the perception of other people in schizophrenia and autism.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6, 175. 

  7. Donnellan, A. M., Hill, D. A., & Leary, M. R. (2013). Rethinking autism: Implications of sensory and movement differences for understanding and support.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6, 124. 

  8. Fitzpatrick, P., Diorio, R., Richardson, M. J., & Schmidt, R. C. (2013). Dynamical methods for evaluating the time-dependent unfolding of social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7, 21. 

  9. Fitzpatrick, P., Romero, V., Amaral, J. L., Duncan, A., Barnard, H., Richardson, M. J., & Schmidt, R. C. (2017).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motor synchronization and motor skill for understanding autism. Autism Research, 10(10), 1687-1699. 

  10. Fournier, K. A., Hass, C. J., Naik, S. K., Lodha, N. H., & Cauraugh, J. H. (2010). Motor coordina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nthesis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0(10), 1227-1240. 

  11. Hamilton, A. F. (2013). Reflecting o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autism: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theories.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3, 91-105. 

  12. Hove, M. J. (2008). Shared circuits, shared time, and interpersonal synchron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31(1), 29-30. 

  13. Hove, M. J., & Risen, J. L. (2009). It’s all in the timing: Interpersonal synchrony increases affiliation. Social Cognition, 27(6), 949-961. 

  14. Isenhower, R. W., Marsh, K. L., Richardson, M. J., Helt, M., Schmidt, R. C., & Fein, D. (2012). Rhythmic bimanual coordination is impaired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6(1), 25-31. 

  15. Janata, P., Tomic, S. T., & Haberman, J. M. (2012). Sensorimotor coupling in music and the psychology of the groov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41(1), 54-75. 

  16. Kaur, M., Srinivasan, S. M., & Bhat, A. N. (2018). Comparing motor performance, praxis, coordination, and interpersonal synchrony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72, 79-95. 

  17. Koch, S. C., Mehl, L., Sobanski, E., Sieber, M., & Fuchs, T. (2014). Fixing the mirrors: A feasibility study of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on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ism, 19(3), 338-350. 

  18. Koehne, S., Hatri, A., Cacioppo, J. T., & Dziobek, I. (2016). Perceived interpersonal synchrony increases empathy: Insights from autism spectrum disorder. Cognition, 146, 8-15. 

  19. LaGasse, A. B. (2014). Effects of a music therapy group intervention on enhancing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Music Therapy, 51(3), 250-275. 

  20. LaGasse, A. B. (2017). Social outcom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review of music therapy outcomes. Patient Related Outcome Measures, 2017(8), 23-32. 

  21. LaGasse, A. B., & Hardy, M. W. (2013). Considering rhythm for sensorimotor regul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usic Therapy Perspectives, 31(1), 67-77. 

  22. Linkenauger, S. A., Lerner, M. D., Ramenzoni, V. C., & Proffitt, D. R. (2012). A perceptualmotor deficit predicts social and communicative impairments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ism Research, 5(5), 352-362. 

  23. Lord, C., & Bishop, S. L. (2015). Recent advances in autism research as reflected in DSM-5 criteria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11, 53-70. 

  24. Maister, L., & Plaisted-Grant, K. C. (2011). Time perception and its relationship to memory in autism spectrum conditions. Developmental Science, 14(6), 1311-1322. 

  25. Morimoto, C., Hida, E., Shima, K., & Okamura, H. (2018). Temporal processing instability with millisecond accuracy is a cardinal feature of sensorimotor impairmen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nalysis using the synchronized finger-tapping task.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8(2), 351-360. 

  26. Price, K. J., Edgell, D., & Kerns, K. A. (2012). Timing deficits are implicated in motor dysfunction in Asperger’s syndrome.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6(2), 857-860. 

  27. Ramachandran, V. S., & Oberman, L. M. (2006). Broken mirrors: A theory of autism. Scientific American, 295(5), 62-69. 

  28. Ravizza, S. M., Solomon, M., Ivry, R. B., & Carter, C. S. (2013).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r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lationship of attention and motor deficit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5(3), 773-784. 

  29. Repp, B. H., & Su, Y. H. (2013). Sensorimotor synchronization: A review of recent research (2006-2012).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20(3), 403-452. 

  30. Schmidt, R. C., Fitzpatrick, P., Caron, R., & Mergeche, J. (2011). Understanding social motor coordination. Human Movement Science, 30(5), 834-845. 

  31. Schmitz, C., Martineau, J., Barthelemy, C., & Assaiante, C. (2003). Motor control and children with autism: Deficit of anticipatory function? Neuroscience Letters, 348(1), 17-20. 

  32. Sheridan, J., & McAuley, J. D. (1997). Rhythm as a cognitive skill: Temporal processing deficits in autism. Paper presented at the 4th Australasian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Newcastle, NSW. Retrieved from https://pdfs.semanticscholar.org/9062/d01b8886a4a49989d55a010820f9be1bcecf.pdf 

  33. Thaut, M. H., McIntosh, G. C., & Hoemberg, V. (2014). Neurologic music therapy: From social science to neuroscience. In M. H. Thaut & V. Hoemberg (Eds.), Handbook of neurologic music therapy (pp. 1-6).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4. Thaut, M. H., McIntosh, G. C., & Hoemberg, V. (2015). Neurobiological foundations of neurologic music therapy: Rhythmic entrainment and the motor system. Frontiers in Psychology, 5, 1185. 

  35. Tryfon, A., Foster, N. E., Ouimet, T., Doyle-Thomas, K., Anagnostou, E., Sharda, M., & Hyde, K. L. (2017). Auditory-motor rhythm synchroniz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35, 51-61. 

  36. Valdesolo, P., Ouyang, J., & DeSteno, D. (2010). The rhythm of joint action: Synchrony promotes cooperative 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6(4), 693-695. 

  37. Whyatt, C. (2018). More than meets the eye: Redefining the role of sensory-motor control on social skill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E. B. Torres & C. Whyatt (Eds.), Autism: The movement-sensing perspective (pp. 73-88). Boca Raton, FL: CRC Press. 

  38. Yoo, G. E. (2016).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measurement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literatur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3(1), 61-87. 

  39. Yoo, G. E., & Kim, S. J. (2018). Dyadic drum playing and social skills: Implications for rhythm-mediat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Music Therapy, 55(3), 340-37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