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위험 산모 신생아 통합치료센터(MFICU) 간호사의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Educational Needs and Competence of Nurses in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2, 2019년, pp.194 - 206  

김윤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정금희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  강희선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김미종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  문소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미옥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MFICU), which provides intensive care to high-risk mothers with increasing maternal age and high-risk newborns, has become a new field of nursing work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and self-assessing c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MFICU 간호 관련 총 13개 주제에 대해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MFICU 간호사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이 지각하는 교육 요구에 비해 직무역량 인식 정도가 다소 낮았다.
  • 본 연구는 MFICU 간호사의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 인식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MFICU 간호사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환자중심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MFICU에 입원한 고위험 임부의 간호 요구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 본 연구는 고위험 임산부와 신생아들의 통합적인 관리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MFICU 간호사의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기초자료로 MFICU 간호사가 필요로 하는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MFICU간호사의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 인식 간의 차이를 파악하여 교육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또한 수집된 개인 정보 등은 코드화하여 익명처리 되며 절대 비밀이 보장됨을 설명하였다. 이후 자발적으로 동의한 대상자에게 설명서 및 동의서에 서명 후 설문지에 응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생명윤리안전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3년간 연구자의 개인 연구실의 잠금 장치가 있는 캐비닛에 보관될 것이며, 이후 분쇄 방법으로 폐기할 것을 알렸다.
  • 본 연구는 G 대학교의 기관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1044396-201810-HR-195-01)을 받아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 전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언제라도 철회 가능하며, 익명 보장 및 순수 연구 목적으로만 설문지를 사용할 것을 설명하였다. 또한 수집된 개인 정보 등은 코드화하여 익명처리 되며 절대 비밀이 보장됨을 설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 임신이 위험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지난 수 십년에 걸쳐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는 추세로 결혼 연령이 늦어짐에 따라 출산율 저하와 고령 임신의 증가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1,2]. 고령 임신은 임신 여성 자신 뿐만 아니라 태어난 신생아들도 위험한 상황에 처하는 원인이 되었다[2]. 즉, 저출산으로 케어 대상자는 줄었지만 중증도는 높아졌기 때문에 고위험 임신 여성부터 고위험 신생아에 이르기까지 보다 집중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영국의 간호사 체계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우리나라와는 달리 먼저 준비 기간을 두고 체계를 확립한 영국은 2018년 출산 전/중/후 중증 질환이 있는 여성의 간호의 필요성을 알고 중증간호를 받을 수 있는 접근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즉, 여성의 상태 악화를 판단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최상위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갖춘 향상된 모성간호(enhanced maternal care) 인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산사, 산과 의사, 마취과 의사가 포함된 팀 체제로 일하도록 하고 있다[6]. 또한 미국에서는 패혈증, 급성 호흡 증후군을 보이는 임부를 집중 관리하는 실무 지침이 마련되어 있다[7].
MFICU의 역할은? MFICU는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심장 질환을 가진 임부와 같이 질환을 동반하거나 조기진통으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임산부와 태아, 그리고 산후 출혈 및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을 가진 산모와 신생아를 대상으로 태아모니터링을 포함한 집중관리를 하며 응급으로 수술과 처치를 하게 된다[4]. 그러므로 MFICU 간호사는 응급상황에서 문제를 파악하고 즉각적인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간호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 Results of statistics on birth and death in 2018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May 20]. Available from: http://m.kostat.go.kr/board/board_view.action?bmoderead&ano373361. 

  2. Korean Society of Maternal Fetal Medicine.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elivery room and delivery of high-risk pregnanc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3. National Medical Center. Support for high-risk mothers and newborns [Internet]. Seoul: National Medical Center; 2019 [cited 2019 May 6]. Available from: https://www.ppm.or.kr/contents/contentsView.do;jsessionidC6B0CDD50C7D2B3F0831C9CD81C92C2B?MENUIDA01020203. 

  4. Kim HY, Moon CS. Integrated care center for high risk pregnancy and neonate: an analysis of process and problems in obstetric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4;25(3):140-152. 

  5. Lee EJ, Yoo EK. The experience of unwanted department relocation of the nur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7;12(2):37-48. 

  6. Royal College of Anesthetists. Care of the critically ill woman in childbirth; enhanced maternal care 2018 [Internet]. London: Royal College of Anesthetists; 2018 [cited 2019 May 20]. Available from: https://www.rcoa.ac.uk/news-and-bulletin/rcoa-news-and-statements/enhanced-maternal-care-guidelines-2018. 

  7. ACOG practice bulletin No. 211: critical care in pregnancy.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9;133(5):e303-e319. 

  8. Kim HJ, Kim JI, Ahn S, Kim MH, Kim Y, Cho KS, et al. Job analysis of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using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8;24(1):10-22. 

  9. Study Group of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Women's health nursing I. 9th ed. Paju: Soomoonsa; 2018. 

  10. Study Group of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Women's health nursing II. 9th ed. Paju: Soomoonsa; 2018. 

  11.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Seoul: Koonja Publisher; 2015. 

  12. Cunningham FG, Leveno KJ, Bloom SL, Dashe JS, Hoffman BL, Casey BM, et al. Williams obstetrics. 25th ed.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2018. 

  13. Gilbert ES. Manual of high-risk pregnancy and delivery. 5th ed. St. Louis: Mosby Elsevier; 2010. 

  14. Queenan JT, Spong CY, Lockwood CJ. Protocols for high-risk pregnancies: an evidence-based approach. 6th ed. Hoboken: John Wiley & Sons; 2015. 

  15. Campbell B, Mackay G. Continuing competence: an Ontario nursing regulatory program that supports nurses and employer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01;25(2):22-30. 

  16.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Society for Maternal-Fetal Medicine. Obstetric care consensus No. 6: periviable birth.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7;130(4):e187-e199. 

  17. Oh SY. Obstetrical management of periviable birth.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5;26(1):1. 

  18. Green M, Rider C, Ratcliff D, Woodring BC. Developing a systematic approach to obstetric emergenci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15;44(5):677-682. 

  19. Jang KS, Kim H, Kim NY. A study for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depending on nurses clinical ladd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8;18(12):503-515. 

  20. Kim H, Park H. Health-care needs of high-risk pregnant women hospitalized in maternal-fetal intensive care units: a mixed-methods desig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8;24(2):196-208. 

  21. Waldron JA, Asayama VH. Stress, adaptation and coping in a maternal-fetal intensive care unit. Social Work in Health Care. 1985;10(3):75-89. 

  22. Matsumoto Y, Nakai A, Nishijima Y, Kishita E, Hakuno H, Sakoi M, et al. Absence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secondary medical care zones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high perinatal mortality in Japan. Th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2016;42(10):1304-1309. 

  23. Zuckerwise LC, Lipkind HS. Maternal early warning systems-towards reducing preventable maternal mortality and severe maternal morbidity through improved clinical surveillance and responsiveness. Seminars in Perinatology. 2017;41(3):161-165. 

  24. Go JH. Core competencies of nurse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4. 212 p. 

  25. Kim MS, Jung HK, Kim SM, Kim MH.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use of smart-based continuing nurse education among nurse education managers and staff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6;41(3):307-3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