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ACUM을 이용한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Using DACUM Technique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10 - 22  

김희정 (건국대학교병원)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희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조경숙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황남숙 (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 ,  최정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박수혜 (세브란스병원) ,  이은희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role and to analyze the job of MFICU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using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s: A DACUM workshop was held to define MFICU nurses' role and identify their duties and tasks. A DACUM committee was con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MFICU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역할을 정립하기 위한 서술적 탐색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Developing A Curriculum]기법으로 MFICU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직무를 파악하고 바람직한 역할을 정립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FICU의 기능은? MFICU의 기능은 분만 전의 고위험 임부-고위험 산모-태아와 분만 후의 고위험 신생아의 치료의 모든 단계를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관리하고, 응급상황의 고위험 산모, 신생아에 대해서 항시 진료와 응급수술이 가능한 응급 의료센터로서의 역할이 포함된다. 그 외에도 산모-태아 집중치료실과 장비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응급이송 업무를 관리하고 고위험 임신 관련 자료수집과 진료표준화 작업, 교육과 홍보를 통한 고위험 산모, 신생아 예방관리 사업 등의 부가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어[3] 그 임무가 방대함을 알 수 있다.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의 출산문제는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가 지속되어 분만건수 자체는 감소되는 반면, 고령임신, 다태임신, 임신합병증을 동반한 고위험 임산부들이 증가되어왔다. 대한모체태아의학회가 2011년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전국 산부인과 병원 대상 조사결과, 전체 분만건수의 30.
MFICU 간호사의 역할 중 가장 전문적 난이도가 높은 직무는 무엇인가? 표면상 같은 업무로 보여질 수 있었던 MFICU 간호사가 지각한 작업과 DR 간호사들이 지각한 작업은 일의 중요성, 빈도, 전문적 난이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MFICU 간호사들이 하는 작업 가운데 중요도가 가장 높고, 수행 빈도가 가장 높으며, 전문적 난이도가 높게 나타난 직무는 ‘전자태아심음 감시장치로 태아심음 확인하기’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tatistics Korea. 2009-2011 Infant mortality complementary research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2 [cited 2015 May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 moderead&aSeq269012. 

  2. Kim YH, Ko HS, Kim MH, Kim JW, Park MH, Sim SS, et al.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elivery room and de- livery of high-risk pregnanc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ovember. Report No.: 11-1352000-000879-01. 

  3. Kim HY, Moon CS. Integrated care center high fisk pregnancy and neonate: an analysis of process and problems in obstetric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4;25(3):140-152. http://dx.doi.org/10.14734/kjp.2014.25.3.140 

  4. Lee GY, Kim JO, Oh KJ, Lee SM, Hong SC, Hwang JY. Establishment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 between the integrated center for high-risk pregnant women and neonates and the maternity care in the underserved area.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1577-01. 

  5. Kim KW, Lee KH. Womans experience of risk situation on the high-risk pregnanc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8;4(1):161-178. 

  6. Kim JH, Cho KS, Lee EH, Kang HS, Kwon SB, Kim DO, et al.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urse's role in Korean hospital II: A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clinical nurse's role.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0(2):157-171. 

  7. Lee CH, Sung YH, Yi YH, Cho YA, Kwon IG. The role of in- tensive care unit nurse and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93-108. 

  8. Kim HJ, Lim JS, Choi SM, Park SH, Park SH, An SE, et al. Analysis of activities and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based on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3):319-334. http://dx.doi.org/10.22650/JKCNR.2015.21.3.319 

  9. Oh ES, Song SD, Choi EJ, Chun HS, Han HS, Ryoo SS, et al. Job description of nurses in central supply department using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3):303-312. http://dx.doi.org/10.22650/JKCNR.2014.20.3.303 

  10. Cho KS, Son HM, Kang HS, Kim JH, Lim NY, Yoon KS, et al. Job description of the nurses who work in operating room using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08;15(4):566-577. 

  11. Lee ER, Kwak MK, Kim EJ, Kwon IG, Hwang MS. Job analysis of Korean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in clinical workplace: Using the DACUM method.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10;10(1):68-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