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위험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MFICU) 간호사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mpowering Education Program for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MFICU) Nurse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3, 2019년, pp.345 - 358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미경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신기수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조인숙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전은미 (배제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mpowering education program for Maternal-Fetal Intensive Care Unit (MFICU) nurses who provide intensive care to high-risk mother and fetus at hospitals, to test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care confidence and nursing knowledge, an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FICU 간호사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MFICU 간호사의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고 직무역량 간 차이가 큰 교육주제를 중심으로 간호사의 실무역량을 강화하는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MFICU 간호사에게 적용하여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과 만족도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MFICU 간호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MFICU 간호사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을 받은 간호사는 사전 대비 사후 수행 자신감과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됨을 보고하였다.
  • 과거 정상분만 중심의 분만실 간호 역할이 체계적 고위험 임산부 관리와 합병증 예방 간호로 변화해가는 변화에 부응하여, 보건복지부는 2014년부터 고위험산모와 태아 및 신생아가 체계적, 전문적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권역별로 고위험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도입하고[4] 현재 11개 권역, 12개 의료기관에 설치해 운영, 지원하고 있다[5].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적,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의료기관 여성건강간호 부서에 종사하는 여성건강간호사의 직무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교육적 역량강화 목적의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을 기획,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병원 산부인과 의사와 간호사 및 학계 여성건강간호 전문가로 구성된 그룹 합의과정을 통해 내용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팀은 고위험 산모-신생아 간호 수행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의 세부 주제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수행 자신감 설문지는 연구팀원의 논의를 거쳐 수정, 보완한 총 35문항으로 이루어졌다.
  • 본 연구팀은 고위험 산모-신생아 간호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교육프로그램의 세부 주제를 기반으로 MFICU 간호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문항을 개발하였다. 지식 설문지는 연구팀원의 논의를 거쳐 수정, 보완한 총 26문항으로 이루어졌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MFICU 간호사의 교육요구도를 충족시키고 직무역량 간 차이가 큰 교육주제를 중심으로 간호사의 실무역량을 강화하는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MFICU 간호사에게 적용하여 임파워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과 만족도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FICU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MFICU는 분만 전의 고위험 산모-태아와 분만 후의 고위험 신생아의 치료의 모든 단계를 체계적으로 연계하여 관리하고, 응급상황의 고위험 산모, 태아 및 신생아에 대해서 항시 진료와 응급수술이 가능한 응급 의료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4,5]. 그 외에도 고위험 산모-태아 집중치료실과 장비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응급 이송 업무를 관리하고 고위험 임신 관련자료수집과 진료표준화 작업, 교육과 홍보를 통한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예방관리 사업 등의 부가적인 업무를 수행한다[5].
MFICU 간호사는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 따라서 MFICU 간호사는 고위험 산모의 증가에 따라 고위험 산모 및 신생아 관리능력을 갖추고 간호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실무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기법을 이용한 MF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직무분석 연구[9]에서는 이들이 가장 중요한 업무라 인식하고, 자주 수행하고 있으며, 전문적 난이도가 높게 나타난 직무가 ‘전자태아심음 감시장치로 태아심음 확인하기’로 나타났다.
DACUM 기법을 이용한 MF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직무분석 연구[9]에서 자주 일어나지는 않지만 중요하면서도 난이도가 높은 업무로 인식한 직무는 무엇인가? 하지만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기법을 이용한 MFICU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직무분석 연구[9]에서는 이들이 가장 중요한 업무라 인식하고, 자주 수행하고 있으며, 전문적 난이도가 높게 나타난 직무가 ‘전자태아심음 감시장치로 태아심음 확인하기’로 나타났다. 반면 자주 일어나지는 않지만 중요하면서도 난이도가 높은 업무로 인식한 직무에는 ‘양수천자 준비 및 보조하기’, ‘양수주입 시술 준비 및 보조하기,’ ‘파막검사 시술 간호하기,’ ‘고위험 신생아 간호하기,’ ‘산모 인공호흡기 관리하기’가 있었다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tatistics Korea. 2009-2011 infant mortality-complementary report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2. cited 2015 May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269012 

  2.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elivery room and delivery of high-risk pregnancy Korean Society of Maternal Fetal Medicine 1 2012 

  3.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Kim 25 3 140 2014 10.14734/kjp.2014.25.3.140 

  4. Establishment of health care delivery system between the integrated center for neonates and the maternity care in the underserved area Lee 1 2015 

  5. High-risk maternal neonatal care center. Uiyank News [Internet]. Seoul. Uiyank News. 2018. cited 2019 May 6. Available from: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89255 

  6. Statistics Korea. E-government indicator. 2009-2017 infant and maternal mortalit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2. cited 2015 May 1. Available from: http://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9 

  7. Obstetrics and Gynecology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130 4 e187 2017 10.1097/AOG.0000000000002352 

  8.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Ahn 21 1 14 2017 10.21896/jksmch.2017.21.1.14 

  9.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Kim 24 1 10 2018 

  10.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im 25 2 194 2019 10.4069/kjwhn.2019.25.2.194 

  1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Kim 22 1 35 2015 10.7739/jkafn.2015.22.1.35 

  12.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im 14 6 2945 2013 10.5762/KAIS.2013.14.6.2945 

  13.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Choi 24 3 193 2018 10.11111/jkana.2018.24.3.193 

  14.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Kim 21 3 31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