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수술 전 유발전위검사
Evoked Potentials before the Intractable Epilepsy Surger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2, 2019년, pp.198 - 204  

임성혁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박상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백재승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김갑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  김기업 (고려대학교병원 신경과) ,  이유지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러가지 약물에도 발작의 증세가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다양한 치료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중 수술적인 방법이 필요한 환자에서는 수술 전 검사를 통해 발작부위의 절제부분을 결정한다. 정확한 병변의 측정과 안전한 수술을 위해 뇌 피질에 전극 삽입술을 시행한다. 피질에 삽입된 전극으로 단순히 뇌파만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검사를 시도해 그 부위가 갖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고 그런 검사법 중 하나로 유발전위 검사법이 있다.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파형의 경향이 의미하는 바를 분석하였다. 뇌 피질에 삽입된 전극에서 기록된 체성감각유발전위는 중심고랑의 주행경로를 찾아 일차운동영역 및 일차감각영역을 피해 수술 할 수 있다. 또한 청각유발전위와 시각유발전위를 이용해 청각피질과 시각피질에서 기능적 피질의 확인과 뇌파검사상 나타난 발작초점부위와의 관계를 비교해 절제부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기능적 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treatments can be attempted in patients with intractable epilepsy, in whom the symptoms of seizures are not controlled by various drugs. On the other hand, in patients requiring a surgical method, a preoperative examination is needed to determine the portion of seizure site to be resecte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대학병원이거나 뇌전증 수술을 하는 대형병원이 아닌 이상 현실적으로 검사장비와 시간, 환자를 위한 입원실과 인력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실시하기 어려운 검사이다. 이러한 제한적 상황 때문에 중요도가 높은 검사임에도 불구하고 이 검사를 시행하려는 검사자들이 숙지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기본적인 중요 사항들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의 기능은 무엇인가?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수술 전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는 운동피질영역과 감각피질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구분하는 지도화(mapping)에 그 의미가 있다. 중심구(central sulcus)를 기준으로 나타나는 상역전(phase reversal) 현상으로 전극의 위치에 따라 운동피질영역과 감각피질영역의 상역전파형을 통해 중심구의 주행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 체성감각유발전위 외에도 뇌영상검사를 통해 중심구의 진행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나 전극삽입 이후 피질 전극의 위치이동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위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지도화로 주행경로를 파악해야 한다[13-15].
언어중추가 존재하는 뇌 부위는 어디인가? 중심구를 기준으로 운동영역과 체성감각영역이 존재해 사람의 움직임이나 감각기능을 담당한다. 측두엽 부분은 청각영역과 인지하고 말하는 언어중추가 존재하고 후두엽에는 시각영역이 존재하며 사람의 시각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그 기능들은 각각 전기자극, 소리자극, 섬광자극에 의해 유발되어 최대로 전위를 나타내는 부분이 있고 어떤 자극에 의해 최대로 전위를 갖는 부분이 기록이 된다면 그 부분은 해당영역의 기능이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뇌전증(epilepsy)이란? 뇌전증(epilepsy)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가 비정상적이며 동시다발적인 과도한 신경 활동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작(seizure)이 나타나는 증상 및 징후를 뜻한다[1]. 그 중에서도 여러 가지 약물로도 조절이 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intractable epilepsy)은 전체의 약 37%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2,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isher RS, van Emde Boas W, Blume W, Elger C, Genton P, Lee P, et al.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Epilepsia. 2005;46:470-472. 

  2. Kwan P, Brodie MJ. Early identification of refractory epilepsy. N Engl J Med. 2000;342:314-319. 

  3. Shorvon SD. The epidemiology and treatment of chronic and refractory epilepsy. Epilepsia. 1996;37(Suppl 2):1-3. 

  4. Mayer SA, Claassen J, Lokin J, Mendelsohn F, Dennis LJ, Fitzsimmons BF.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frequency, risk factors, and impact on outcome. Arch Neurol. 2002;59:205-210. 

  5. Holtkamp M, Othman J, Buchheim K, Meierkord H. Predictors and prognosis of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treated in a neurological intensive care uni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5;76:534-539. 

  6. Novy J, Logroscino G, Rossetti AO.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Epilepsia. 2010;51:251-256. 

  7. Rossetti AO, Logroscino G, Bromfield EB.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effect of treatment aggressiveness on prognosis. Arch Neurol. 2005;62:1698-1702. 

  8. Betjemann JP, Josephson SA, Lowenstein DH, Burke JF. Trends in status epilepticus-related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redefined in US practice over time. JAMA Neurol. 2015;72:650-655. 

  9. Engel J Jr, Shewmon DA. Overview: who should be considered a surgical candidate? In: Engel J Jr. Surgical treatment of the epilepsies. 2nd ed. New York: Raven Press; 1993. p23-34. 

  10. ILAE Commission Report. The epidemiology of the epilepsies: future directions. Epilepsia. 1997;38:614-618. 

  11. Luders H, Lesser RP, Dinner DS, Morris HH, Wyllie E, Godoy J. Localization of cortical function: new information from extraoperative monitoring of patients with epilepsy. Epilepsia. 1988;29(Suppl 2):56-65. 

  12. Woolsey CN, Erickson TC, Gilson WE. Localization in somatic sensory and motor areas of human cerebral cortex as determined by direct recording of evoked potentials and electrical stimulation. J Neurosurg. 1979;51:476-506. 

  13. Simon MV.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 sensorimotor mapping-a review. J Neurol Neurophysiol. 2013;30:571-590. http://doi.org/10.4172/2155-9562.S3-002. 

  14. Rowed DW, Houlden DA, Basavakumar DG.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identification of sensorimotor cortex in removal of intracranial neoplasms. Can J Neurol Sci. 1997;24:11-120. 

  15. Goldring S. A method for surgical management of focal epilepsy, especially as it relates to children. J Neurosurg. 1978;49:344-356. 

  16. Goldring S, Gregorie EM. Surgical management of epilepsy using epidural recordings to localize the seizure focus: review of 100 cases. J Neurosurg. 1984;60: 457-466. 

  17. Lim SH, Park SK, Kim DJ, Baek JS, Park CW. Usefulness of direct cortical stimulation during intraoperative monitoring in patients with brain tumor near motor cortex. Korean J Clin Lab Sci. 2018;50:211-215. 

  18. Kalkman CJ, Traast H, Zuurmond WW, Bovill JG. Differential effects of propofol and nitrous oxide on posterior tibial nerve somatosensory cortical evoked potentials during alfentanil anaesthesia. Br J Anaesth. 1991;66:483-489. 

  19. Kim LS, Boo SH. 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 Korean J Audiol. 2001;5:27-35. 

  20. Schwender D, Conzen P, Klasing S, Finsterer U, Poppel E, Peter K. The effects of anesthesia with increasing end-expiratory concentrations of sevoflurane on midlatency auditory evoked potentials. Anesth Analg. 1995;81:817-822. 

  21. Schwender D, Klasing S, Madler C, Poppel E, Peter K. Mid-latency auditory evoked potentials during ketamine anaesthesia in humans. Br J Anaesth. 1993;71:629-632. 

  22. Hayashi H, Kawaguchi M.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flash visual evoked potential under general anesthesia. Korean J Anesthesiol. 2017;70:127-135. 

  23. Vega-Zelaya L, Pastor J.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techniques for the resection of malignant brain tumors located in eloquent cortical areas. Austin J Neurosurg. 2015;2:1038. 

  24. Ota T, Kawai K, Kamada K, Kin T, Saito N.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cortically recorded visual response for posterior visual pathway. J Neurosurg. 2010;112:285-94. 

  25. Torres CV, Pastor J, Rocio E, Sola RG. Continuous monitoring of cortical visual evoked potentials by means of subdural electrodes in surgery on the posterior optic pathway.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Rev Neurol. 2012;55:343-348. 

  26. Shin IY, Lim HJ, Lee JK, Kang JK, Lee SA, Ko TS. Clinical experiences with vagus nerve stimulation for medically intractable epilepsy. J Korean Epilepsy Soc. 2005;9:80-85. 

  27. Shon YM. Deep brain sti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medically intractable epilepsy: a review on clinical application. J Korean Epilepsy Soc. 2012;16:9-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