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저장장치용 폐리튬이온배터리 성능 진단 및 복원 기술동향
Research Trend on Performance Diagnosis and Restoration Technology of Waste Lithium Ion Battery for Energy Storage System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3, 2019년, pp.290 - 296  

이기영 (경북대학교 나노소재공학부) ,  최진섭 (인하대학교 화학.화학공학융합학과) ,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공학부, Ertl 탄소비움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튬이온배터리는 여러 에너지저장시스템 중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장치이다. 특히, 분산형 전력공급원으로서의 신재생에너지 수요의 증가, 안정적인 전력의 수급, 전기자동차의 보급의 확대에 따라 에너지저장장치의 사용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에너지저장장치로서 리튬이온배터리의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폐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복원 기술은 사회, 경제적으로 중요한 연구분야이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폐리튬이온배터리 성능진단, 재활용 또는 복원 기술과 발전가능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thium-ion batteries are one of the most interesting devices in a number of energy storage systems. In particular, the usage of energy storage devices is increasing due to an increase in demand for renewable energy as a distributed power supply source, stable supply of electric power, and expansio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후속연구

  • 반면, 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 재생 및 재사용율은 5%에 지나지 않고 있고 이마저도 미국과 유럽의 리튬이온배터리 환경 규제에 따른 재활용 정책에 따른 결과이다. 앞으로 소재의 가격은 더욱 상승할 것이며, 리튬이온배터리에 있는 여러 물질들은 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사회적 경제적 문제로 발전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 수요의 상승으로 인해 어떤 문제점을 유발하는가? 더욱이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으로 대표하는 4차 산업 혁명은 더욱 가파른 에너지 수요의 상승을 예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에너지 소비량 증가는 화석연료 고갈의 문제를 넘어서 지구온난화, 미세먼지 등과 같은 환경 문제와도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풍력, 소수력, 태양광 등과 같은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그에 대한 기술 개발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의 특징은 무엇인가? 에너지저장장치는 신재생에너지의 잉여 에너지저장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 예로써 우리나라의 정격 주파수 및 유지범위는 60 ± 0.
리튬이온배터리는 주로 어디에서 사용되는가? 열화된 리튬이온배터리의 성능 진단 및 복원에 대한 관심은 전력계통의 에너지저장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근,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대표로 하는 휴대용 통신장비, 전자 기기, 전기 자동차 등 다양한 영역에서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요 증가는 양극재인 코발트 가격의 급격한 인상을 초래하게 되었으며, 폐리튬이온배터리의 재활용 및 복원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Power system reliability and electricity quality maintenance standard, Notification No. 2018-104 (2018). 

  2. H. Lee, Y. Park, C. Kim, H. Lee, N. Ha, and M. Kim, Energy storage system, Mirrae Asset Daewoo Research, Korea (2017). 

  3. J. Vetter, P. Novak, M. R. Wagner, C. Veit, K. C. Moller, J. O. Besenhard, M. Winter, M. Wohlfahrt-Mehrens, C. Vogler, and A. Hammouche, Ageing mechanisms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47, 269-281 (2005). 

  4. H. Wang, Y. I. Jang, B. Huang, D. R. Sadoway, and Y. M. Chiang, TEM study of electrochemical cycling-Induced damage and disorder in $LiCoO_{2}$ cathode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46, 473-480 (1999). 

  5. P. Patel, T. Ellis, and J. Howes, How green is your electric vehicle?, MRS Bull., 42, 416-417 (2017). 

  6. S. Chen, T. He, Y. Lu, Y. Su, J. Tian, N. Li, G. Chen, L. Bao, and F. Wu, Renovation of $LiCoO_{2}$ with outstanding cycling stability by thermal treatment with $Li_{2}CO_{3}$ from spent Li-ion batteries, J. Energy Storage, 8, 262-273 (2016). 

  7. D. P. Mantuano, G. Dorella, R. C. A. Elias, and M. B. Mansur, Analysis of a hydrometallurgical route to recover base metals from spent rechargeable batteries by liquid-liquid extraction with Cyanex 272, J. Power Sources, 159, 1510-1518 (2006). 

  8. V. H. Nguyen and Y. H. Kim, Recent advances in cathode and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Appl. Chem. Eng., 29, 635-644 (2018). 

  9. M. D. Bhatt and J. Y. Lee, High capacity conversion anodes in Li-ion batteries: A review, Int. J. Hydrogen Energy, 44, 10852-10905 (2019). 

  10. V. Etacheri, R. Marom, R. Elazari, G. Salitra, and D. Aurbach,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advanced Li-ion batteries: A review, Energy Environ. Sci., 4, 3243-3262 (2011). 

  11.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Law concerning the promotion of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ycling, Enforcement Decree Article 16 Paragraph 3 (2016). 

  12. D. Hwang, N. Cho, H. Lee, M. Choi, N. Um, G. Oh, K. Kim, and S. Shin, Study on Recycling Management of Waste Lithium Ion Battery, NIER-RP2016-340,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7). 

  13. J. Sohn, A Preliminary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Smart Grid Implementation Plan (2017-202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2017). 

  14. Ai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Korea, Article 58 Paragraph 5, Enforcement Rule Article 79-4 Paragraph 3. 

  15. C. Park and C. Lee, Waste battery management plan for electric vehicles,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Korea), Current Issue 2018-06 (2018). 

  16.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orea), Energy/Environment: Trends in electric car battery recycling (2018). 

  17. European Parliament and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Directive 2011/65/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8 June 2011 on 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Official Journal L, 174, pp. 88-110 (2011). 

  18.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und fur Verbaucherschutz, Gesetz uber das Inverkehrbringen, die Rucknahme und die umweltvertragliche Entsorgung von Batterien und Akkumulatoren (Batteriegesetz-BattG) (2009). 

  19. M. Morcrette, Y. Chabre, G. Vaughan, G. Amatucci, J.-B. Leriche, S. Patoux, C. Masquelier, and J.-M. Tarascon, In situ X-ray diffraction techniques as a powerful tool to study battery electrode materials, Electrochim. Acta, 47, 3137-3149 (2002). 

  20. T. Itoh, H. Sato, T. Nishina, T. Matue, and I. Uchida, In situ Raman spectroscopic study of $LixCoO_{2}$ electrodes in propylene carbonate solvent systems, J. Power Sources, 68, 333-337 (1997). 

  21. I. Park, S. Kong, and H. Cha, Aging process and SOH estimation of Li-ion battery, Power Electronics Annual Conference (KIPE), 7, 552-553 (2012). 

  22. H.-J. Lee, J.-H. Park, and J. Kim, Research of the advanced SOC estimation method for the efficient recycling of the retired Lithium-ion battery, Power Electronics Annual Conference (KIPE), 11, 54-55 (2015). 

  23. J. W. Nam, Method for checking deterioration of battery, Korean Patent 101865972B1 (2018). 

  24. J. H. Lim,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Korean Patent 20120134415A (2011). 

  25. K. Rhodes, N. Dudne, E. Lara-Curzio, and C. Daniel, Understanding the degradation of silicon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using acoustic emission, J. Electrochem. Soc., 157, 1354-1360 (2010). 

  26. S. Komagata, N. Kuwata, R. Baskaran, J. Kawamura, K. Sato, and J. Mizusaki, Detection of degradation of lithium-ion batteries with acoustic emission Technique, Electrochem. Soc. Trans., 25, 163-167 (2010). 

  27. J. W. Byeon,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degradation mechanism of Li-ion batt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 Appl. Reliab., 13, 129-140 (2013). 

  28. H. Hesse, R. Martins, P. Musilek, M. Naumann, C. Truong, and A. Jossen, Economic optimization of component sizing for residential battery storage systems, Energies, 10, 835:1-19 (2017). 

  29. P. Zhang, T. Yokoyama, O. Itabashi, T. M. Suzuki, and K. Inoue,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recovery of metal values from spent lithium-ion secondary batteries, Hydrometallurgy, 47, 259-271 (1998). 

  30. M. Contestabile, S. Panero, and B. Scrosati, A laboratory-scale lithium-ion battery recycling process, J. Power Sources, 92, 65-69 (2001). 

  31. S. Castillo, F. Ansart, C. Laberty-Robert, and J. Portal, Advances in the recovering of spent lithium battery compounds, J. Power Sources, 112, 247-254 (2002). 

  32. J. Myoung, Y. Jung, J. Lee, and Y. Tak, Cobalt oxide preparation from waste $LiCoO_{2}$ by electrochemical-hydrothermal method, J. Power Sources, 112, 639-642 (2002). 

  33. Y. Shi, G. Chen, and Z. Chen, Effective regeneration of $LiCoO_{2}$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A direct approach towards high-performance active particles, Green Chem., 20, 851-862 (2018). 

  34.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technology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waste batteries and manufacturing functional materials (2008). 

  35. H. S. Kim, B. W. Cho, H. Y. Lee, S. J. Kim, E. J. Shin, and K. Y. Jeong, Method of fabricating $LiFePO_{4}$ cathode electroactive material by recycling, and $LiFePO_{4}$ cathode electroactive material, $LiFePO_{4}$ cath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fabricated thereby, US Patent 9199850B2 (2015). 

  36. B. Kim, S. Ahn, H. Oh, and M. Lee, Pretreatment method for recycling of lithium ion batteries, Korea Patent 20120126946A (2011). 

  37. M. Z. Lim, Old phone batteries get recharged with NTU scientist's invention, The Straits Times (Singapore), 7th Jan. (2018). 

  38. N. Neubauer, K. Smith, E. Wood, and A. Pesaran, Identifying and Overcoming Critical Barriers to Widespread Second Use of PEV Batteries, National Rnewable Energy Laboratory, Technical Report NREL/TP-5400-63332, Golden, CO, USA (2015). 

  39. G. Reid and J. Julve, Second Life - Batteries as Flexible Storage for Renewable Energies, Bundesverband Erneuerbare Energie (BEE), Berin, Germany (2016). 

  40. C. S. Kim, Technology trend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recycling, Ceramist, 13, 40-4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