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물성에 대한 연속반응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의 영향
Effect of Acrylic Acid-modified Polyethylene Wax Using Sequential Reaction on Properties of Polyamide/Glass Fiber Composit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2, 2019년, pp.198 - 204  

김효철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김형일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한원희 ((주)라이온켐텍) ,  홍민혁 ((주)라이온켐텍) ,  이현우 ((주)라이온켐텍)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 복합재료는 높은 기계적 물성을 요구하는 산업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나 무기충전제는 불균일한 분산 및 고분자와 충전제 간의 계면 접착력 저하에 의해 강도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상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 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비극성 폴리에틸렌 왁스에 대해 열분해 반응과 함께 연속적으로 극성 아크릴산 단량체를 그래프트 반응시켜 극성개질의 효율을 향상시킨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를 합성하여, 이를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와 무기충전제인 유리섬유의 고분자 복합재료에 적용하여 폴리아미드 기반 고분자 복합재료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mer composites are widely used as industrial materials requiring high mechanical properties. Glass fibers and fillers, which are used as a reinforcement in composites, usually have some problems such as nonuniform dispersion and poor interfacial adhesion. In this study, an acrylic acid-modified ...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 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비극성 폴리에틸렌 왁스에 대해 열분해 반응과 함께 연속적으로 극성 아크릴산 단량체를 그래프트 반응시켜 극성개질의 효율을 향상시킨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를 합성하여, 이를 폴리아미드 매트릭스와 무기충전제인 유리섬유의 고분자 복합재료에 적용하여 폴리아미드 기반 고분자 복합재료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합성된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에 의한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특히 폴리에틸렌 주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극성기를 측쇄에 도입한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가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합성된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에 의한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특히 폴리에틸렌 주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극성기를 측쇄에 도입한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가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에틸렌 단량체와 아크릴산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기존의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는 주쇄에 에틸렌 및 아크릴산의 구조를 불규칙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왁스를 사용한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물성변화와 비교하여 다양한 복합재료의 물성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특히 폴리에틸렌 주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극성기를 측쇄에 도입한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가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에틸렌 단량체와 아크릴산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한 기존의 아크릴산 변성 폴리에틸렌 왁스는 주쇄에 에틸렌 및 아크릴산의 구조를 불규칙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왁스를 사용한 폴리아미드/유리섬유 복합재료의 물성변화와 비교하여 다양한 복합재료의 물성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래프트 중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비극성 폴리에틸렌 왁스를 극성으로 변성하는 것이 필요한데, 일반적인 변성방법으로는 에틸렌 중합단계에서 극성 단량체를 공중합시키거나, 제조된 폴리에틸렌 왁스에 대해 극성 단량체를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그래프트 중합법은 기본 중합체의 주사슬 골격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아 소량 다품종의 첨가제를 제조하는 공업적 방법으로 장점이 있다[27]. 그래프트 중합방법은 크게 용액법 및 용융법으로 구분된다[22].
고분자 복합재료란 무엇인가? 고분자 복합재료는 고분자 수지 연속상(matrix)에 유리섬유 또는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 무기충전제 등의 분산상(filler) 소재를 혼합한 재료를 통칭한다. 이러한 고분자 복합재료는 순수한 고분자 물성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비교적 낮은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 등의 한계를 나타내는 플라스틱을 대신하여 높은 기계적 물성을 요구하는 산업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고분자 복합재료의 단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고분자 복합재료는 순수한 고분자 물성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비교적 낮은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 등의 한계를 나타내는 플라스틱을 대신하여 높은 기계적 물성을 요구하는 산업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불균일한 분산 및 고분자와 충전제간의 계면 간 접착력 저하에 의한 강도 저하와 같은 단점을 지니고 있다[1-3].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분자 재료 본연의 고유물성을 향상시키거나 충전제를 적용하여 기계적, 열적, 광학적, 자기적 성질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의 향상을 도출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J. Kim, S. Hwang, Y. S. Hong, W. Huh, and S. Lee, Real-time XRD analysis of polystyrene/clay nanocomposites by in-situ polymerization, Polymer (Korea), 29, 87-90 (2005). 

  2. A. Usuki, M. Kawasumi, Y. Kojima, A. Okada, T. Kurauchi, and O. Kamigaito, Mechanical properties of nylon 6-clay hybrid, J. Mater. Res., 8, 1185-1189 (1993). 

  3. K. Yano, A. Usuki, A. Okada, T. Kurauchi, and O. Kamigaito,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imide-clay hybrid, J. Polym. Sci. A, 31, 2493-2498 (1993). 

  4. C. Saujanya and S. Radhakrishnan, Structure development and crystallization behaviour of PP/nanoparticulate composite, Polymer, 42, 6723-6731 (2001). 

  5. Y. T. Lee, Preparation of specialty organic-inorganic materials by sol-gel process, Polym. Sci. Technol., 4, 444-451 (1993). 

  6. H. Zou, S. Wu, and J. Shen, Polymer/silica nanocomposit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Chem. Rev., 108, 3893-3957 (2008). 

  7. C. C. Park, C. K. Kim, E. Y. Kim, H. D. Kim, and B. K. Kim, Viscoelastic properties of SAN/PPTA, SAN/Kevlar, and SAN/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Polymer (Korea), 13, 76-82 (1989). 

  8. B. Shin, J. Jeun, H. Kim, and P. Kang, Thermal behavior and abrasion properties of glass fiber reinforced Nylon 12 crosslink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Polymer (Korea), 35, 30-34 (2011). 

  9. D. W. Chung and S. C. Kang, Study on the frictional properties of nylons synthesized by varying catalyst content, Polymer (Korea), 29, 14-18 (2005). 

  10. S. C. Kang and D. W. Chung,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riction properties of graphite/Nylon composite by oil-impregnation, J. Korean Soc. Precis. Eng., 19, 114-122 (2002). 

  11. C. Pinto and L. G. Andrade e Silva, Study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properties of polyamide 6 with fiberglass reinforcement, Radiat. Phys. Chem., 76, 1708-1710 (2007). 

  12. W. P. Ferro and L. G. Andrade e Silva, Ionizing radiation effect studies on polyamide 6.6 properties, Radiat. Phys. Chem., 71, 269-271 (2004). 

  13. O. Monticelli, Z. Musina, F. Ghigliotti, S. Russo, and V. Causin, On polyamide 6-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obtained by in-situ polymerization, e-Polymers, 7(1), 124 (2007). 

  14. A. Usuki, Y. Kojima, M. Kawasumi, A. Okada, Y. Fukushima, T. Kurauchi, and O. Kamigaito, Synthesis of nylon 6-clay hybrid, J. Mater. Res., 8, 1179-1184 (1993). 

  15. S. H. Wu, F. Y. Wang, C. C. M. Ma, W. C. Chang, C. T. Kuo, H. C. Kuan, and W. J. Chen, Mechanical therm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glass fiber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amide-6 and polyamide-6/clay nanocomposites, Mater. Lett., 49, 327-333 (2001). 

  16. P. Uribe-Arocha, C. Mehler, J. E. Puskas, and V. Altstadt, Effect of sample thicknes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injection-molded polyamide-6 and polyamide-6 clay nanocomposites, Polymer, 44, 2441-2446 (2003). 

  17. T. Kashiwagi, R. H. Harris Jr., X. Zhang, R. M. Briber, B. H. Cipriano, S. R. Raghavan, W. H. Awad, and J. R. Shields, Flame retardant mechanism of polyamide 6-clay nanocomposites, Polymer, 45, 881-891 (2004). 

  18. B. Mu, Q. Wang, T. Wang, H. Wang, and L. Jian, The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clay filled PA 66, Polym. Eng. Sci., 48, 203-209 (2008). 

  19. J. Y. Lee and K. J. Kim, Overview of polyamide resins and composites: A review, Elastomers Compos., 51, 317-341 (2016). 

  20. A. A. Marek, J. Zawadiak, T. Piotrowski, and B. Hefczyc, A new efficient method for the processing of post-consumer polypropylene and other polyolefin wastes into polar waxes, Waste Manag., 46, 62-67 (2015). 

  21. S. W. Yu, J. S. Choi, and J. S. Na, A study on synthesis and hydrolysis of the maleated polyethylene wax, Clean Technol., 19, 393-400 (2013). 

  22. S. W. Yu, J. S. Choi, and J. S. Na, Effect of solvent on the grafting polymerization of polyethylene wax with maleic anhydride, J. Korean Inst. Resour. Recycl., 23, 48-57 (2014). 

  23. Y. Jia and L. Zhang, A process for preparing polyethylene wax microspheres and optimization of their dissolution precipit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Appl. Polym. Sci., 129, 1476-1483 (2013). 

  24. M. W. Jung, S. C. Kim, and E. Y. Yu, Pyrolysis and catalytic decomposition over HZSM-5 for recycle of the waste plastics, J. Korean Soc. Environ. Eng., 23, 1537-1545 (2001). 

  25. G. Liang, J. Xu, S. Bao, and W. Xu, Polyethylene/maleic anhydride grafted polyethylene/organic-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I. Preparati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J. Appl. Polym. Sci., 91, 3974-3980 (2004). 

  26. B. R. Choi and Y. J. Park, Studies on oxidation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wax, J. Korean Ind. Eng. Chem., 8, 837-843 (1997). 

  27. G. Moad, The synthesis of polyolefin graft copolymers by reactive extrusion, Prog. Polym. Sci., 24, 81-142 (1999). 

  28. J. Kim, J. Song, M. Im, J. Park, H. Kim, and H. I. Kim, Preparation of acrylic acid-modified polyethylene wax by sequential reaction of pyrolysis and grafting, Polymer (Korea), 42, 466-469 (2018). 

  29. N. G. Gaylord and R. Mehta, Role of homopolymerization in the peroxide catalyzed reaction of maleic anhydride and polyethylene in the absence of solvent, J. Polym. Sci. C (Polym. Lett.), 20, 481-486 (1982). 

  30. https://www.additives-honeywell.com/performance-additives/tds/?pid1409. 

  31. R. Snyder, M. Maroncelli, H. L. Strauss, and V. Hallmark, Temperature and phase behavior of infrared intensities: The poly(methylene) chain, J. Phys. Chem., 90, 5623-5630 (1986). 

  32. G. C. Kim,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 Sci. Technol., 4, 12-22 (1993). 

  33. R. Wolf and B. L. Kaul, Ullmann's Polymers and Plastics: Products and Processes. Volume 1, Plastics, Additives, 527-580, Wiley-VCH, Weinheim, Germany (2016). 

  34. C. De Rosa and F. Auriemma, Crystals and Crystallinity in Polymers: Diffraction Analysis of Ordered and Disordered Crystals, 185-295, John Wiley & Sons, NY, USA (2013). 

  35. H. Mitomo, Correspondence of lamellar thickness to melting point of nylon-6,6 single crystal, Polymer, 29, 1635-1642 (1988). 

  36. H. Mimoto, Estimation of lamellar thickness of nylon 66 single crystal by hydrolysis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J. Polym. Sci. B, 26, 467-472 (1988). 

  37. B. B. Burnett and W. F. McDevit, Kinetics of spherulite growth in high polymers, J. Appl. Phys., 28, 1101-1105 (1957). 

  38. S. M. Kim and K. J. Kim, Effects of moisture and temperature on recrystallization and mechanical property improvement of PA 66/GF composite, Polymer (Korea), 39, 880-888 (2015). 

  39. M. T. Hahn, R. W. Hertzberg, J. A. Manson, and L. H. Sperling,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absorbed water on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in nylon 66, Polymer, 27, 1885-1888 (1986). 

  40. J. L. Thomason, The influence of fibre length, diameter and concentration on the impact performance of long glass-fibre reinforced polyamide 6,6, Composites A, 40, 114-124 (2009). 

  41. N. M. M. Abd. Rahman, A. Hassan, and R. Yahya, Plasticisation effect on thermal, dynamic mechanical and tensile properties of injection-moulded glass-fibre/polyamide 6,6, J. Sci. Technol., 3, 47-66 (2011). 

  42. H. G. Jeoung, J. S. Park, D. S. Jang, and S. J. Lee, Effect of solvent content on morphology and rubb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high impact polystyrene, Polymer (Korea), 26, 307-31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