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3가지 품종인 갑주백목, 상주둥시, 고동시의 수확시기(7, 8, 9, 10월)에 따른 유리당, 지방산, 무기성분, 구성 아미노산, 비타민 C와 같은 영양성분 분석 및 $UPLC/Q-TOF/MS^2$를 통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하였고, 총 페놀성 화합물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유리당 분석 결과는 미숙과에서 수확과로 갈수록 포도당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과당은 숙기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 분석 결과는 포화 지방산에서 팔미트산(palmitic acid), 불포화 지방산에서 올레산(oleic acid)과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숙기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무기성분 분석은 갑주백목, 상주둥시의 7월 시기와 고동시의 10월 시기에 칼륨의 함량이 상당히 높았으며, 구성 아미노산 분석은 갑주백목의 7월 시기에서 글루탐산(glutamic acid), 상주둥시의 8월 시기에서 라이신(lysine), 고동시의 10월 시기에서 트레오닌(threo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 C 분석 결과는 떫은감의 숙성기간에 따라서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고동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을 통해서 갑주백목이 다른 품종들에 비해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7월 시기의 미숙과에서 가장 많은 페놀성 화합물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대사체 분석PLS-DA 분석을 통한 통해서 3가지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평가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주요 물질은 시트르산(citric acid) 및 gallic acid로 동정되었으며 이들의 상대적인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떫은감의 주요 세 가지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영양성분 분석을 통해 품종별 영양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성분의 비교 분석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nents of different cultivars (Gabjubaekmok, Sangjudungsi, and Godongsi)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and the effects of maturity. The detected free sugars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glucose levels tended to increase with maturity. Palmitic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떫은감에 대한 연구는 대봉감을 이용한 가공품의 영양성분 분석(Jeong 등, 2010, You와 Chung, 2014), 곶감의 제조과정에 따른 품질특성의 변화(Kang 등, 2004), 탈삽조건에 따른 품질 변화(No 등, 2014), 청도반시의 항산화 활성과 면역반응에 대한 효과(Heo 등, 2008) 등에 관한 품질 특성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떫은감의 품종 및 수확시기에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영양학적 분석과 생리활성 물질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식품자원으로서의 소비 확대 및 다양한 가공품 개발을 위한 산업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llic acid란 무엇인가?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모든 품종의 7월 시기에 gallic acid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완숙과로 갈수록 gallic acid의 함량이 적어지는 것은 타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표적인 페놀성 화합물인 gallic acid는 인체 내의 활성산소를 무독화 시켜주는 항산화 물질로서 활성산소에 의해 손상되는 단백질, 효소 및 DNA 등을 보호하여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위험성을 낮춰준다(Rice-Evans et al., 1997).
떫은감의 유리당 분석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3가지 품종인 갑주백목, 상주둥시, 고동시의 수확시기(7, 8, 9, 10월)에 따른 유리당, 지방산, 무기성분, 구성 아미노산, 비타민 C와 같은 영양성분 분석 및 $UPLC/Q-TOF/MS^2$를 통한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하였고,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유리당 분석 결과는 미숙과에서 수확과로 갈수록 포도당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과당은 숙기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 분석 결과는 포화 지방산에서 팔미트산(palmitic acid), 불포화 지방산에서 올레산(oleic acid)과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숙기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감에 포함된 영양소는? )는 동양이 원산지인 과수이며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주로 재배되고, 아열대부터 온대 기후까지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다(Kang 등, 2004). 감은 영양학적 가치가 뛰어난 과실로서 포도당과 과당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비타민 A, B1, C, 엽산, 엽록소, 판토텐산 등이 풍부한 과일로 알려져 있다(Joo 등, 2011). 또한 감에는 갈산(gallic acid), 카테킨(catechin), 에피칼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등과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고, 특히 떫은맛을 나타내는 타닌(tannin)은 조직의 노화방지,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Achiwa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chiwa Y, Hibasami H, Katsuzaki H, Imai K, Komiya T. Inhibitory effe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extract and related polyphenol compounds on growth of human lymphoid leukemia cells. Biosci. Biotech. Biochem. 61: 1099-1101 (1997) 

  2. Bousquet E, Marrazzo A, Puglisi G, Spadaro A, Tirendi S. Synthesis, physical properties, toxicological studies and bioavailability of Lpyroglutamic and L-glutamic acid esters of paracetamol as potentially useful prodrugs. J. Pharm. Pharmacol. 48: 479-485 (1996) 

  3. Byun GI, Kwon YJ, Park ML. Development of granular tea by using astringent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Korean J. Culi. Sci. Hos. Res. 14: 273-285 (2008) 

  4. Cho KH, Park YM. Cardiovascular disease and health functional foods. Korean J. Fam. Med. 31: 587-594 (2010) 

  5. Gorinstein S, Zachwieja Z, Folta M, Barton H, Piotrowicz J, Zemser M, Weisz M, Trakhtenberg S, Mrtn-Belloso O. Comparative contents of dietary fiber, total phenolics, and minerals in persimmons and apples. J. Agric. Food Chem. 49: 952-957 (2001) 

  6. Heo JC, Chae JH, Lee SH, Lee YR, Moon KD, Chung SK, Lee SH.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exhibited by an aqueous extract of Diospyros kaki Thunb. fruit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5: 749-753 (2008) 

  7. Jeon JH, Lee SY, Lee JM, Ji DH, Oh CJ.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ndard diagnostic table for astringent persimmon management. J. Korean For. Soc. 104: 488-494 (2015) 

  8. Jeong HR, Jo YN, Jeong JH, Jin DE, Song BG, Jin YR, Kim MJ, Lee U, Heo HJ. Change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estnuts (Castanea crenata) from different peri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93-400 (2012) 

  9. Jeong CH, Kwak JH, Kim JH, Choi GN, Jeong HR, Kim DO, Heo HJ.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Daebong-gam (Diospyros kaki) during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7: 526-532 (2010) 

  10. Joo OS, Kang ST, Jeong CH, Lim JW, Park YG, Cho KM.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er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 126-134 (2011) 

  11. Kang WW, Kim JK, Oh SL, Kim JH, Han JH, Yang JM, Choi JU.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ngju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during dry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86-391 (2004) 

  12. Kim DO, Jeong SW, Lee CY.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2003) 

  13. Kim JE, Ji MS. Studies of the grael as medicated diet for the RegimenYangSaeng of the elderly. J. Korean Med. Class. 26: 99-129 (2013) 

  14. Kim HY, Lee JY, Hwang IG, Han HM, Park BR, Han GJ, Park JT. Analysis of functional constituents of mulberries (Morus alba L.) cultivated in a greenhouse and open field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1588-1593 (2015) 

  15. Kim SK, Lim JH, Kim YC, Kim MY, Lee BW, Chung SK.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70-76 (2005) 

  16. Kim JM, Park SK, Kang JY, Park SH, Park SB, Yoo SK, Han HJ, Lee SG, Lee U, Heo HJ. Nutritional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brain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cultivars of dried persimmon (Diospyros kaki). Korean J. Food Sci. Tech. 50: 225-237 (2018) 

  17. Lee SH, Ryu SY, Choi SU, Lee CO, No Z, Kim SK, Ahn JW. Hydrolysable tannins and related compound having cytotoxic activity from the fruits of Terminalia chebula. Arch. Pharm. Res. 18: 118-120 (1995) 

  18. Moon KD, Kim JK, Kim JH, Oh SL. Studies on valuable components and processing of persimmon flesh and peel. J. Korean Soc. Food Cult. 10: 321-326 (1995) 

  19. Moon SH, Assefa AD, Ko EY, Park SW. Comparison of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uzu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ased on harvest time. Korean J. Hort. Sci. Technol. 33: 283-291 (2015) 

  20. No JH, Kim JY, Zhang C, Kim HJ, Shin MS. Effect of astringency removal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Daebong persimmon. Korean J. Food Cook. Sci. 30: 351-359 (2014) 

  21. Oh HJ, Jeon SB, Kang HY, Yang YJ, Kim SC, Lim SB.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iwi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43-310 (2011) 

  22. Padayatty SJ, Katz A, Wang Y, Eck P, Kwon O, Lee JH, Chen S, Corpe C, Dutta A, Dutta SK, Levine M. Vitamin C as an antioxidant: evaluation of its role in disease prevention. J. Am. Coll. Nutr. 22: 18-35 (2003) 

  23. Paik IY, Chang WR, Kwak YS, Cho SY, Jin HE.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energy substrate levels and fatigue induction factors. J. Life Sci. 20: 49-54 (2010) 

  24. Prez-Enciso M, Tenenhaus M. Prediction of clinical outcome with microarray data: a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PLS-DA) approach. Hum. Genet. 112: 581-592 (2003) 

  25. Rice-Evans C, Nicholas M, George P.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1997) 

  26. Seong JH, Han JP.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persimmon tannin and the natural removal of astringenc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66-70 (1999) 

  27. Son ES, Oh SS, Han DS, Lee JM.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Cult. 16: 504-514 (2001) 

  28. You SY, Chung HJ. Characteristic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processed products from yeongam daebong persimmon. J. Hum. Ecoi. 24: 11-21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