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에서의 주사기 오사용으로 발생한 파상풍 증례
Tetanus occurred by misuse of syringe in Korean native cattle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42 no.1, 2019년, pp.39 - 42  

이경현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진단과) ,  김하영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진단과) ,  정병열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 ,  김종완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진단과) ,  이기찬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 ,  소병재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진단과) ,  엄재구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송재찬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최은진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진단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tanus is an acute, often fatal, and infectious disease of all species of domestic animals caused by the neurotoxin of Clostridium tetani (C. tetani). This disease is usually known to develop after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deep or penetrating wound sites. In February 2017, a farmer who was r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많은 축종에서 파상풍균 감염이 일어나고 있으 나, 일침 다두 적용 같은 잘못된 주사방법에 의해 파 상풍이 짧은 기간 내에 많은 폐사를 일으킨 증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사기 오사용으로 다두 폐사 피해가 발생한 농가의 한우에서 육안 및 조직학적 병리소견뿐만 아니라 원인체 검사를 통해 파상풍으로 진단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행성 파상풍에서 유발되는 증상의 특징은? 파상풍 관련 증상은 감염된 상처부위에서 시작되지만 이후 모든 신체부위로 퍼져 나간다. 독소가 사지의 국소 운동뉴런으로 유입되면 해당 부위의 근육에서 초기 파상풍 증상이 나타나지만 독소가 척수로 이동하면 반대쪽 부위의 근육에서도 파상풍 증상이 나타나며 결국 모든 신체 근육으로 파급된다. 이것을상행성 파상풍이라고 한다.
동물에서 나타나는 파상풍으로 인한 치사율은? 이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사람의 경우 의료기술이 부족한 시기에는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항독소 투여나 백신이 가능한 현대에서도 5∼10%에 이른다(Anonymous, 1979). 동물에서는 강직성 마비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난 후에는 치사율이 10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n 등, 2003; Guilfoile, 2008; Nakano 등, 2012). 파상풍 관련 증상은 감염된 상처부위에서 시작되지만 이후 모든 신체부위로 퍼져 나간다.
파상풍이란? 파상풍은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Clostridium tetani)라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매우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Adamantos와 Boag, 2007). 이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사람의 경우 의료기술이 부족한 시기에는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항독소 투여나 백신이 가능한 현대에서도 5∼10%에 이른다(Anonymous, 19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정병열, 이기찬, 황미혜, 손영민, 최광호, 서진성, 변재원, 김하영. 2017. 파상풍. 농림축산검역본부. 

  2. Adamantos S and Boag A. 2007. Thirteen cases of tetanus in dogs. Vet Rec 161: 298-302. 

  3.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APQA). 2017. Standard guidelines for animal diagnosis. 

  4. Anonymous. 1979. Manual for the production and control of vaccines, Tetanus toxoid. WHO. 

  5. Bizzini B. 1979. Tetanus toxin. Microbiol Rev 43: 224-240. 

  6. Driemeier D, Schild AL, Fernandes JC, Colodel EM, Correa AM, Cruz CE, Barros CS. 2007. Outbreaks of tetanus in beef cattle and sheep in Brazil associated with disophenol injection. J Vet Med 54: 333-335. 

  7. Fawcett A and Irwin P. 2014. Diagnosis and treatment of generalised tetanus in dog. Vet Rec 36: 482-493. 

  8. Finn CW, Silver RP, Habig WH, Hardegree MC, Zon G, Garon CF. 1984. The structural gene for tetanus neurotoxin is on a plasmid. Science 224: 881-884. 

  9. Guilfoile P. 2008. Deadly Diseases and Epidemics: Tetanus. Chelsea House Publishers. 

  10. Langner KFA, Schenk HC, Leithaeuser C, Tholen H, Simon D. 2011. Localised tetanus in a cat. Vet Med 169: 126. 

  11. Nakano T, Nakamura S, Yamamoto A, Takahashi M, Une Y. 2012. Tetanus as cause of mass die-off of captive japanese Macaques, japan, 2008. Emerg Infect Dis 18:1633-1635. 

  12. Rossetto O, Scorzeto M, Megighaian A, Montecucco C. 2013. Tetanus neurotoxin Toxicon 66: 59-63. 

  13. Sanada I, Nishida S. 1965. Isolation of Clostridium tetani from soil. J Bacteriol 89: 626-629. 

  14. Shin DH, Yu HS, Park JH, Kim SJ. 2003. Recently occurring adult tetanus in Korea: emphasis on immunization and awareness of Tetanus. J Korean Med Sci 18: 11-16. 

  15. Udwadia FE. Tetanus. 1994. 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