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산 세척과 키토산 첨가에 의한 간장게장의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Quality of Ganjang-gejang by Acetic Acid Washing and Addition of Chito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3, 2019년, pp.296 - 302  

이석규 (한국교통대학교) ,  이보람 ((주)다담은) ,  육현균 (한국교통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장게장은 우리나라 전통 식품 중의 하나로 생 꽃게를 세척한 후 간장소스를 첨가하고 저온에서 숙성시켜 포장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간장게장 제조특성 상 열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간장게장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물 꽃게의 초기 미생물 저감화를 위해 여러 살균세척제의 효능을 비교하고 저장 중 간장게장 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키토산의 항균 효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상온에서 생 꽃게를 염소수(50 mg/L), 과초산(40 mg/L), acetic acid (5%), lactic acid(5%)에 각각 10분간 침지시켜 일반세균수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여러 살균세척제 중 5% acetic acid 세척이 생 꽃게에 존재하는 일반세균수를 약 1.5 log CFU/g까지 감소시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키토산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상업적으로 제조되고 있는 간장게장(방법 1; 전해수 세척), 5% acetic acid로만 세척된 꽃게(방법 2), 5% acetic acid로 세척된 꽃게에 0.5%(방법 3)와 1%(방법 4)의 수용성 키토산이 첨가된 간장으로 제조된 간장게장을 각각 $4^{\circ}C$$12^{\circ}C$에서 최대 30일까지 저장하면서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및 대장균수를 측정하였다. $12^{\circ}C$에서 저장된 간장게장의 일반세균 수는 7일이 지났을 때 약 8 log CFU/g까지 증가하였다. $4^{\circ}C$의 경우, 1% 키토산이 첨가된 군(방법 4)에서 20일 동안 약 2.9 log CFU/g까지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키토산 무첨가군(방법 1과2)과 0.5% 첨가군(방법 3)(4.2~4.5 log CFU/g)에 비하여 훨씬 효과적이었다. 본 결과에 따라, 생 꽃게를 5% acetic acid로 세척한 후 간장게장에 1% 키토산을 첨가하여 냉장온도에서 저장한다면 간장게장 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anjang-gejang (soy sauce-marinated crab) is a ready-to-eat (RTE) seafood and is also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dishes in Korea. It is generally prepared by washing raw blue crabs and then preserving them in soy sauce. Since this process does not involve cooking or any treatment with h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유기산 세척과 키토산을 이용하여 간장게장의 미생물 저감화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 적이 없기 때문에,본 연구에서는 간장게장의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유통기한연장을 위해 원물 꽃게에 유기산을 포함한 여러 살균제에 의한 세척과 간장게장에 대한 키토산 첨가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행 식품위생법에 따르면 간장게장은 어디에 속하는가? 현행 식품위생법의 식품별 기준 및 규격에 따르면, 간장게장은 ‘절임류’에 속하며, 살균 또는 멸균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품은 세균수 및 대장균군수에 대한 특별한 규제를 받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종소비자가 그대로 섭취할 수 있도록 유통판매를 목적으로 위생 처리하여 용기·포장에 넣은 냉동 간장게장의 경우에는 세균수 (105 CFU/g 이하) 및 대장균수 (10 CFU/g 이하)기준의 규제를 받는다1).
간장게장의 원료인 꽃게에 어떤 미생물이 식중독을 야기하는가? 간장게장은 주재료인 꽃게를 세척 후 날것 그대로 사용하며 최종제품 또한 가열살균과정이 없기 때문에 보관 및 유통과정 중에 미생물학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은 식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원료인 꽃게가 Vibrioparahaemolyticus와 같이 해수에서 유래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가공 과정 중에 완벽하게 제거하기 불가능하기 때문에 냉장보관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않으면 보관 시 균수가 급증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4년간 한국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 시스템에 접수된 젓갈 및 게장 관련 위해사례는 총 305건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2,3).
간장게장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이유는? 간장게장은 우리나라 전통 식품 중의 하나로 생 꽃게를 세척한 후 간장소스를 첨가하고 저온에서 숙성시켜 포장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간장게장 제조특성 상 열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간장게장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물 꽃게의 초기 미생물 저감화를 위해 여러 살균세척제의 효능을 비교하고 저장 중 간장게장 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키토산의 항균 효능을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trieved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foodRvlv/foodRvlv.do on May 30, (2019). 

  2. Korea Consumer Agency, Retrieved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2221&itm_seq_13 on May 30, (2019). 

  3. Korea Consumer Agency, Retrieved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776&itm_seq_13 on May 30, (2019). 

  4. MBC News, Retrieved from http://imnews.imbc.com/replay/2016/nw1800/article/4149136_19830.html on May 30, (2019). 

  5. Moon, J.D., Jin, S.K., Park, T.S.: Studies on the sanitary treatment of the fresh pork and meat related apparatus, J. Agric. Tech. Res. Inst. 11, 133-140 (1998). 

  6. Chang, S.K., Lee, H.H., Hong, S.I., Han, Y.S.: Effect of organic acid treatment on the quality attributes of buckwheat spro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2(2), 190-197 (2009). 

  7. KISTI(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hitosan, Available from: http://www.itfind.or.kr/Report/200301/IITA/IITA-0743/IITA-0743.pdf (2002). 

  8. Youn, S.K., Choi, J.S., Park, S.M., Ahn, D.H.: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quality of vacuum-packaged seasoned pork meat by added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3), 445-450 (2002). 

  9. Yang, B.G, Lee, J., Kim, S.H., Jeon, Y.J.: Antimicrobial effect of chitosan and chitooligosaccharides against bacterial diseases of cultured floun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2), 236-243 (2004). 

  10. Simpson, B.K., Gagne, N., Ashie, I.N.A., Noroozi, E.: Utilization of chitosan for preservation of raw shrimp. Food Biotechnol., 11, 25-44 (1997). 

  11. Carpenter, C.E., Smith, J.V., Broadbent, J.R.: Efficacy of washing meat surfaces with 2% levulinic, acetic, or lactic acid for pathogen decontamination and residual growth inhibition, Meat Sci., 88, 256-260 (2011). 

  12. Mun, S.H., Yang, H.S., Cheon, S.M., Jeong, U.C., Yun, C.W., Park, G.B., Ju, S.T.: Effects of organic acid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Food Sci. Anim. Resour., 33, 254-257 (2004). 

  13. Seol, K.H., Kim, H.W., Jang, O.K., Oh, M.H., Park, B.Y., Ham, J.S.: Effect of organic acid and water washing on meat quality and surface population of E. coli of pork loin, CNU J. Agr. Sci., 39(4), 569-575 (2012). 

  14. Conner, D.E., Scott, V.N, Bernard, D.T.: Growth, inhibition, and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as affected by acidic conditions, J. Food Prot., 53(8), 652-655 (1990). 

  15. Yuk, H.G., Marshall, D.: Influence of acetic, citric, and lactic acids on Escherichia coli O157:H7 membrane lipid composition, verotoxin secretion, and acid resistance in simulated gastric fluid, J. Food Prot., 68(4), 673-679 (2005). 

  16. Park S.W.: Effects of natural preservatives, vacuum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on keeping qualities of herring fillet, M.S.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1998). 

  17. Chaiyakosa, S., Charernjiratragul, W., Umsakul, K., Vuddhakul, V.: Comparing the efficiency of chitosan with chlorine for reducing Vibrio parahaemolyticus in shrimp, Food Control, 18, 1031-1035 (2007). 

  18. Alfaro, L., Chotiko, A., Chouljenko, A., Janes, M., King, J.M.: Development of water-soluble chitosan powder and its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inoculated Listeria innocua NRRL B-33016 on shrimp, Food Control, 85, 453-458 (2018). 

  19. Youn, S.K., Choi, J.S., Park, S.M., Ahn, D.H.: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quality of vacuum-packaged seasoned pork meat by added chitosan during storage, J. Anim. Sci. Technol., 44(6), 1023-1030 (20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