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관리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aid Cas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2, 2019년, pp.195 - 205  

임승주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s of Medicaid Cas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s: The current work is descriptive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were 154 medicaid case manager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and July, 2017 th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사소통능력과 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관련성이 있는 변인임을 고려할 때 의료급여관리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스트레스는 의료급여관리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급여관리사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의료급여관리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실무 및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료급여관리사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나 다른 지역사회간호사와 비교하여 신설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의료급여관리사를 대상으로 한 번도 시도되지 않은 의사소통능력을 변수로 하여 연구를 실시한 점이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연구가 의료급여관리사의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과 스트레스 변인 외의 독립변수에서 개인적 특성만을 고려하였고 연구대상자가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조직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 2003년에 시작된 의료급여사례관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실시되어 오는 가운데 사례관리의 주요인력인 의료급여관리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의 성과는 물론 조직구성원의 건강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핵심 개념인 직무만족과 관련이 있는 의사소통능력과 스트레스가 의료급여관리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요인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의사소통능력에서 ‘주장력’이 가장 낮았고, 스트레스에서 ‘피로’가 가장 높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급여관리사의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직무만족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은 무엇인가? 의사소통은 모든 인간관계의 역동을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특히 의료급여사례관리 대상자와의 소통에 있어서 수급자들의 특성이 이전 직장인 병원에서 만났던 환자들과는 확연히 다른데서 기인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의료급여사례관리의 목표는 무엇인가? 의료급여사례관리의 목표는 수급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합리적 의료이용을 도모하는 것이다[3]. 의료급여관리사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건강에 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수급권자가 의료이용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의료급여제도에 대한 교육, 합리적인 의료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상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6].
의료 급여 수급자들의 특성은 무엇인가? 특히 의료급여사례관리 대상자와의 소통에 있어서 수급자들의 특성이 이전 직장인 병원에서 만났던 환자들과는 확연히 다른데서 기인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의료급여수급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대부분 노인이며, 학력수준이 낮아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는 능력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결핍되어 있다[2,6]. 또한 수급자들은 자신들이 처한 상황을 절망적으로 느끼는 가운데 사회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는 경향이 있고[6], 의료급여관리사와의 상담으로 인해 수급권이 박탈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에서 방어적이거나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7]. 더욱이 사례관리의 속성 상 불가피하게 의료이용을 제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수급자들은 의료급여관리사가 자신들의 의료이용을 통제하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선입견을 가지고 의료급여관리사의 사례관리에 저항을 하기도 한다[2,7]. 이런 경우 의료급여관리사는 자신이 수급자의 의료이용을 제한하는 사람이 아니라 수급자 당사자로 하여금 의료이용에 있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력자라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JS, Lee KJ. Effectiveness analysis on medicaid case management and its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2;191:50-59. 

  2. Oh JJ. On-the-Job experiences of medical aid manag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9;18(1):84-97.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Guideline of medicaid managemen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8. August 4]. Available from: http://library.mohw.go.kr/Users/bogun/K/Go/PdfViewer.aspx?mastid87443&pdf_urlK0044717.pdf 

  4. Ahn YH. Effects of medicaid case management program and its policy direction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2010;5:67-84. 

  5. Kim SO, Cho JH. Trends of research on the case management of medicaid beneficiar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3):412-425. https://doi.org/10.5932/JKPHN.2015.29.3.412 

  6. Park EJ, Kim CM. Case management process identified from experience of nurse case manag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6):789-801. https://doi.org/10.4040/jkan.2008.38.6.789 

  7. Park EJ, Kim CM, Lim SJ. Role Transition from clinical nurse to case manager for medical-aid beneficiaries: Taking root in a barren lan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2):149-160. https://doi.org/10.4040/jkan.2012.42.2.149 

  8. Choi JM, Oh JJ, Lee HJ. A study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medical aid client manag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08;17(2):146-154. 

  9. Song MK, Yoo EK. Influencing factors on the work performance competence of medicaid case manage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5;35(1):211-242. https://doi.org/10.15709/hswr.2015.35.1.211 

  10. Jang MR, Min SY.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edicaid case management of burnout. The Kyonggi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012;23:113-140. 

  11. Choi JM. Job analysis of medical care client managers based on DACU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299-307.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299 

  12. Jaegal D, Kim 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 employe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07;11(3):7-34. 

  13. Jeong GS, Jung MS. Job satisfaction among Korean nurses: A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3;20(3):235-246. https://doi.org/10.5953/JMJH.2013.20.3.235 

  14. Song MK. Experiences of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medical aid excessive users in Korea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15. 152 p. 

  15. Lee AK, Yeo JY, Jung SW, Byun SS.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Journal of Korea Contents Society. 2013;13(12):299-30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16. Lim SJ. Self-esteem,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6;18(2):1065-1078. 

  17. Park SH, Yon MH.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corporate environ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9;10(2):887-910. 

  18. Sveinsdottir H, Biering P, Ramel A. Occupation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orking environment among Icelandic nurse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7):875-889.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5.11.002 

  19. Jung YM, Jang HK. Research on job stress of hospital workers in Busan.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0;10(5):241-251. 

  20. Hur K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3;47(6):380-408. 

  21. Koh KB, Park JK, Kim CH.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4):707-719. 

  22. Lee SH, Shin JH, Han JH, Jang SC, Shin HS. Effect of belly button meditation (BBM) on stress response, physical symptoms, work flow of the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7;25(1):8-16. 

  23. Kang GS. Relationship between mindful attention awareness, coping, stress responses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8;12(7):289-297. https://doi.org/10.21184/jkeia.2018.10.12.7.289 

  24. Jeong JY, Gu MO. The influence of stress response, physical activity, and sleep hygiene on sleep quality of shift work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6):546-559. https://doi.org/10.5762/KAIS.2016.17.6.546 

  25. Park SA, Yun SN.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health workers in health centers.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9;22(3):316-324. 

  26. EMBRAIN. Macromill group company [Internet]. Seoul: EMB RAIN. 2019 [cited 2019. March 4]. Available from: http://www.embrain.com/ 

  27. Im SB, Kim EK.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difficult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precept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4):471-480. 

  28. Kim SY, Kim SM. MBTI personality types, ways of coping with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working at a public health care center. Korean Academy of Basic Medicine & Health Science. 2016;9(2):51-59. 

  29. Yi HJ,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6(8):5314-5324.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3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