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Worker's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307 - 314  

고진경 (숭실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노인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54명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질문지,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시행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 정신건강 간의 직접 효과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 중 전략적 접근 제한과 명료성의 부족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요양보호사들이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다룰 수 있는 조절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worker's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The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Questionnair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and The Symptom Check-List-90-R were administered to 154 care work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신건강이 돌봄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조절이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매개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 정서 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직접으로 다루기보다는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를 다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한명선 등이 개발한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한다[2].
  •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서 정서조절곤 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을 구체화함으로써 요양 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을 다루는데 있어 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심리적 지원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가 정서조 절에 의해 매개된다는 점은 요양보호사가 노인돌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관리 하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있는 프로그램을 보수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이에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밝히고 또한 정서조절곤란이 두 변인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가를 밝히고자 한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직접으로 다루기보다는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를 다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이루 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한다.
  • 그러나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요양보호사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으로 요양보호사의 정서조절곤란이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밝히고 또한 정서조절곤란이 두 변인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가를 밝히고자 한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직접으로 다루기보다는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를 다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이루 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한다.
  • 정서조절은 돌봄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요양보호사의 정서조절에 관한 연구는 바람직한 돌봄 실행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의 파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정신건강이 돌봄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조절이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매개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 정서 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직접으로 다루기보다는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스트레스를 다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한명선 등이 개발한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 질문지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고자 한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략접근제한과 명료성부족은 정신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들 모두 정신건강과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특히, 전략접근제한과 명료성부족이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이 사용가능한 정서 조절전략이 무엇인지 기억하고 이는 사용하는 것의 어려 움을 겪는 전략적 접근제한,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의 어려움과 연관이 있는 명료성의 부족은 정신건강에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신이 경험하는 감정을 명확하게 명명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것의 어려움이 요양보호사의 정신건 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요양보호사란? 이에 정부는 노인환자의 생활을 보호하면서 전문적으로 간병하는 인력을 요양보호사라 칭하고 교육 및 자격제도를 시행하고 있다[1]. 요양보호사는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 으로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 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일상적이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기본적인 활동을 보조하며 돌보는 활동을 한다. 다른 의료관련 자격증에 비해 비교적 쉽게 자격증을 취득할 수있는 이점이 있으나, 한편으로 이런 이점이 충분한 교육의 부족을 초래하고, 요양보호사의 역할 및 직무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충분한 준비 없이 현장에 투입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에 취약할 가능성이 높다.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 정신건강 간의 직접 효과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 중 전략적 접근 제한과 명료성의 부족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요양보호사들이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다룰 수 있는 조절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D. L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Geriatric care Help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netents Association, 11(1), 225-235. 

  2. M. S. Han, I. Choi & K .H. Suh. (2012).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Geriatric Caregiver's Job Stress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7(1), 287-298. 

  3. H .L. Ro, S. H. Kim & M. H. Lee. (2009).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Caretak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sts Associations, 9(11), 297-308. 

  4. M. R. Lee.(2012).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Fitness of Care Provid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sts Associations, 12(8), 215-223. 

  5. E. H. Kim & Y. K. Kim. (2010). Factors related to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3), 281-290. 

  6. J. W. Chang, & J. S. Lee. (2013). The work satisfaction's mediated effect analysis that emotional labor of eldly care providers affet depress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9, 31-54. 

  7. B. Hwang, E. K. Yoo & J. H. Kang. (2014). Exploring Influence Factors on Mental Health of Care Workers for the Elderly: Focused on Long term Care Settings. Social Science Research, 25(3), 351-383. 

  8. S. Y. Kim. (2012). A Study on the Labor Experiences of Care Service Workers: Focused on emotional labor and relation-based labor. The Women's Studies, 82(1), 103-136. 

  9. L. W. Hunter & S. M. B. Thatcher. (2007). Feeling the heat: Effects of stress, commitment and job experiences on job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4), 953-968. 

  10. D. F. Parker & T. A. DeCotiis. (1983). Organization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2), 160-177. 

  11. F. E. Williams. (1925). Papers by Officiers of the National Committee for mental Hygiene. Journal of Nervous & Mental Disease, 62(2), 162-168. 

  12. World Health Organizaiton. (1961). Teaching of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Geneva. 

  13. R. G. Fania, N. Karen, J. H. Frank, Van Dijk & K. S. Judith. (2010). The impact of common mental disorders on the work functioning of nurs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 A systematic re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7, 1047-1061. 

  14. M. H. Woo & K. H. Suh. (2008).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Hardines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Nursing Home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2), 91-109. 

  15. O .K. Ju & S .Y. Mun. (2014). The Mediation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appiness of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Facilitie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43(1), 114-143. 

  16. K. L. Gratz & l. Roemer.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logy &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17. C. Bassal, J. Czellar, S. Kaiser & E. S. Dan-Glauser. (2015).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emotion regulation and well-being of professional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Research on Aging, 1-27. 

  18. N. Jane, M, Fox, M. Lowe, K. McGillton & l. Schindel-Martin. (2009). Facilitating best practice in aged care: Exploring influential factors through critical incident technique.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4, 166-176. 

  19. A. A. Grandy. (2000). Emotional regulation in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20. J. Mearns & J. E. Cain. (2003).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and their burnout and distress: Roles of coping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riences. Anxiety, Stress & Coping, 16(1), 71-82. 

  21. Y. Cho. (2007). Assessing Emotion Dysregulati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 Korean Vers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4), 1015-1038. 

  22. J. H. Kim, K. I. Kim & H. T. Won. (1984). The manual of symptoms checklist-90-R. Seoul: Joongang aptitude Institute. 

  23. R. B. Kline. (2005).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Y: The Guilford Press. 

  24. A. F. Hayes.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51(3), 335-337. 

  25. H .S. Choe.(2015).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burnout of day care center teacher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9(5), 193-212. 

  26. K. S. Lee, J. Y. Chae, M. S. Kim, J. A. Park & J. M. Lee. (2016).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Korean Hournal of Child Study, 37(4), 145-158. 

  27. H. Moon, M. J. Chung & J. Kim. (2011).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9(3), 253-260. 

  28. G. J. Lee & S. Y. Mun. (2015).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mental health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The mediation effect of difficulty In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91(3), 63-89. 

  29. Y. M. Sohn, C. Y. Park & E. Yang. (2017). Psychological symptom to worklife balance: An examination of negative belief in emotion expression and emotion clarity among working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3(3), 333-359. 

  30. J. H. Park & K. J. Oh. (2016). The effects of harm avoidance and novelty seeking temperament on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2), 221-2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