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내 공공 환경조형물 색채 감성이미지 분석 연구 -공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Image of Environment Shape Objects in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se of Kongju Univers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349 - 354  

김혜진 (공주대학교 세라믹디자인학과) ,  정지복 (공주대학교 산업유통학과) ,  최정인 (공주대학교 미디어정책학과)

초록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내 설치된 공공환경조형물과 설치환경, 학내 이용자가 조형물을 관람하고 느끼는 감성이미지, 색채 계획 시 선호하는 색상과 감성이미지를 측정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는 학내 설치된 조형물 분석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학내 환경조형물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및 조형물 제작 시 고려되어야 할 지향점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내 설치된 공공 환경 조형물의 색채에 대하여 학술적으로 접근하고, 향후 색채계획단계에서 유의해야할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학내 조형물을 설치 기획할 때에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제시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color image scale when viewing the public objects installed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preferred colors and color image scale in the color plann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nalysis of the sculp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이는 환경조형물의 색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적절한 대학 내 공공 환경조형물 색채 계획을 위해, 공주대학교 내 공공 환경조형물의 색채현황을 분석하고 학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형물에 대한 감성 이미지 평가 및 색채 기호 평가를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내 공공 환경 조형물의 색채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용자의 색채인식 및 선호를 측정 및 분석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내 공공조형물에 대한 색채감성 이미지 평가 및 색채계획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우선 공주대학교 학내에 설치된 환경조형물을 조사하고 색채를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색채이미지 스케일에서 형용사는 무엇을 뜻하는가? 색채이미지는 인간이 색을 인지하고 느끼는 공통된 감각이며 물리적 자극으로서 색채에 대한 인간의 감정적· 정서적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12]. 색채이미지 스케일에서 형용사는 색채 이미지 공간을 통해 색채가 가진 주관적·추상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언어적 수단이다. 색채이미지 스케일은 색채이미지 스케일 평면 위에 있는 형용사 이미지로 통해 색채의 분위기를 표현한다[13].
공공환경조형물이 가지는 기능은 무엇인가? 다시 말해 단순한 심미적 조형물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보편적으로 잘 디자인된 공공환경조형물은 공공 상징조형물로써 설치된 도시와 조화되어 심미적, 심리적 안정과 같은 기능을 한다[4].
환경시설물 설치를 위해 충족해야할 사항은 무엇인가? 환경조형물은 다양한 목적을 두고 제작, 설치되지만 실제적인 평가는 생활 속에서 시설물을 마주치는 사람들의 심미적 만족감을 충족해야한다. 따라서 효과적이면서도 적절한 공공 환경시설물 설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공공 환경조형물의 색채와 감성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J. Ryu & T. M. Ahn. (2013). Evaluating Public Sculptures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1), 43-52. 

  2. I. S. Seol. (2005). Study On Effect and Role Of Symbol In Environment Design. KSDS Conference Proceeding, 2005.10.74-75 

  3. S. J. Lee, J. E. Seo & J. H. Lee. (2006).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eference Degree about Form Harmony with Environmental Moulding and Surrounding in Rousing Complex - Focused on a Housing Complex at Buk-gu, Daegu Metropolita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6), 27-35. 

  4. J. G. Kwon. (2010). Exploratory Research about Strategic Planning Access Example of Public Symbolic Sculpture Design in Urban Image Dimen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6(2), 45-56. 

  5. H. S. Moon. (2010). A Study on Apartment in Landscape Effect of Environmental Sculp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3), 169-182. 

  6. C. Juan, B. L. Xu. & W. S. Kim. (2018). A Study on Convergence of Color Characteristi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421-426. 

  7. E. B. Moon. (2007). A study on Digital color standardization for culture contents cre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1(1), 21-33. 

  8. Y. S. Kim. (2012). Color Expression in Produce Design applying PCCS Color System-Focusing on Male Bike Helmet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0), 82-92. 

  9. K. H. Yoon & J. S. Kim. (2005). A study on evaluation framework of environmental formative works in urban space.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8(2), 315-324. 

  10. H. J. Kim. (2010). New Trend on the Types of Public Art. Projects Since 2000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 189-208. 

  11. J. Y. Gang. (2001). A Study on Environmental Sculptures. Dept. of Ar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Art Chung-Ang University 

  12. S. H. Cho (1993). Color Image for Color Usage. Jou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9(9), 21-28. 

  13. Y S. Park. (1999). A Study of Language on the Korean's Color-Image.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2(1), 75-82. 

  14. S. Shige. nobu. (1992). Color Image Scale. Tokyo : Kodansha International. 

  15. I.R.I Design. I.R.I Image scale. I.R.I Design Inc. http://www.iricolor.com/index3.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