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거리생활 경험과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Youth's Street Life Experience and Multifaceted Support Poli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417 - 426  

김웅수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배성찬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가출 후 청소년의 거리생활 경험에 관하여 조사하고, 거리생활로 인한 범죄의 영향력 등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융복합적 지원정책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본 연구조사는 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과 아웃리치 사업에서 만난 거리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5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가출 연령과 거리생활 연령을 비교해 볼 때에 가출 후에 적절한 서비스를 통한 개입과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에 가출청소년은 거리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거리청소년에 대한 정책은 청소년쉼터에 찾아온 아이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청소년 지원 정책이 청소년 삶의 현장을 찾아가는 서비스와 욕구를 기반으로 문제해결을 돕는 융복합적 정책의 필요하다. 셋째, 거리생활 후에 비행행동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거리청소년은 거리생활을 위해서는 비행에 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거리생활 청소년은 생활비, 주거시설, 일자리 소개, 취업기술 훈련 등의 자립지원에 관한 서비스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거리생활 경험 청소년의 개입은 주거, 노동, 교육, 복지 등의 융복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ed is an investigation about the youths runaways street life experienced, the crimes committed through the influenced living in the street by looking into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welfare and make an observation of their dire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young people who met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was conduction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youth’s street life experienced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explore possible implementation of support and services for runaway youth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yeonggi News Paper (2015). Poor time. Available from: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999708(website) 

  2. J. Y. Lee. (2018). Convergent Factors Affecting Problem Behaviors in Out-of-school Adolescents: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333-342. DOI:10.14400/JDC.2018.16.10.333 

  3. S. Y. Oh. (2018). A Study on Crime Victim Target Selections by Adolescents in Gachul-fam.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17(2), 177-200. 

  4. B. R. Suh & K. B. Kim. (2012). Study about Gachul-fam Experiences of Runaway Youth: to adolescent using youth shelter. Korean Juvenile Protection Review, 18, 1-26. 

  5. J. H. Kim (2005). A Study on the process of youth runaway to delinquency. Seoul National Univ. 

  6. H. W. Won (2001). Jugendkriminalitaet, die nach dem Fortlaufen aus Heimen begeht, und effektive Massnahmen. Korean Journal of Criminology, 13(2), 217-241. 

  7. S. J. Yeon & S. H. Min. (2004). Preventing Delinquency among Runaway Youths. Journal of Criminal Policy Institute. No. 11-19. Available from: http://kisseng.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964290 

  8. S. M. Lee. (2012). Analysis of the effects of ecological factors by the type of runaway : Analysis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2), 127-148. 

  9. S. S. Lee (2008). An Integrating Study for Considering both Causal and Control Factors across the Types of Youth Cyber Crimes. Journal of Criminal Policy Institute Korea Criminal Policy Institute. 3, 1-120. Available from: https://www.nkis.re.kr:4445/subject_view1.do?otpIdKIC00010143&otpSeq0&popupP 

  10. J. H. Ryu (2005). A Study of Adolescence Mental Health of the Away from home.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2, 1-19. 

  11. S. J. Choi (2011). Suggestion for a more useful policy concerning new features of youth runaway's refug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6), 247-270. 

  12. M. J. Jeong & S. J. Kim (2016). A Study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of Youth in Shelter. Journal of Social Science. 42(1), 177-207. DOI:10.15820/khjss.2016.42.1.008 

  1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sp/yth/sp_yth_f014.do(website) 

  14. H. R. Yuk (2017).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Recovery Process of the Sexual Exploitation of Teen Runaway Girl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9(1), 109-136. DOI:10.19034/KAYW.2017.19.1.05 

  15. S. Y. Lee (2018). Actual Condition and Measure of Youth "Runaway-Family". Journal of Region & Culture, 5(1), 85-101. DOI:10.26654/iagc.2018.5.1.085 

  16. G. M. Koo (2014). A Study on the sexual abuse to the adolescent. Chungnam Law Review. 25(3), 147-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