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과 미디어기업의 혁신
Internet of Things and Innovative Media Firm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6, 2019년, pp.157 - 164  

문상현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로서 사물인터넷이 미디어기업 혁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정책은 무엇인지 검토한다. 사물인터넷은 미디어기업의 상품/서비스, 생산공정과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도움으로써 새로운 수익창출과 경쟁력 제고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상호작용성과 몰입감을 높여 콘텐츠 완성도는 물론 소비경험을 제고시킴으로써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고, 데이터가 핵심경쟁력으로 부상하는 시장 환경에서 타깃광고 등을 통해 수익모델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미디어기업과 소비자 모두 사물인터넷을 통한 혁신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혁신친화적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물인터넷에 대한 미디어기업의 인식전환과 적극적 투자이다. 정부 역시 사물인터넷의 혁신적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 가장 시급한 정책이슈는 개인정보수집과 데이터 활용에 관한 경직된 규제를 개선하고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s how IoT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nnovation of media firms. The media firms will be able to find new reveue sources and strengthen firms' competence through innovating product, process and business model. While IoT increases the experience of interactivity an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즈니스모델이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 자에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수익을 얻을 것인가에 대한 계획인 것이다. 비즈니스모델은 고객가치 제안, 세분시장, 수익모델, 성장모델과 역량으로 구성된다.
  • 이어 본론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미디어기업의 비즈니스모델, 상품및 서비스, 생산공정 혁신 전략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한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사물인터넷이 미디어기 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책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디지털 기술로서 사물인터넷이 미디어기업 혁신과 경쟁력 강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정부 및 규제기구의 역할은 무엇 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미디어기업이란 정보나 엔터테인 먼트 콘텐츠의 기획, 제작, 유통 및 상영을 통해 직간접적 방식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기업을 가리킨다.
  •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안하여 이를 통해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수익을 얻는 것이라고 정의하면, 상품/서비스 혁신과 생산공정 혁신을 포괄하는 것이 된다. 이미 앞에서 상품/서비스 혁신과 생산공정 혁신에 사물인터넷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기술 했으므로 이 절에서는 수익모델에 국한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미디어기업의 수익모델은 크게 소비자로부터 직접 수익을 얻는 방법, 광고를 통한 방법, 그리고 보조금의 세가지 유형이 있다.
  •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혁신의 정의와 유형, 그리고 혁신기술 로서 사물인터넷의 특성에 대해 기술한다. 이어 본론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미디어기업의 비즈니스모델, 상품및 서비스, 생산공정 혁신 전략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한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사물인터넷이 미디어기 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책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 무엇보다 데이터가 핵심경쟁력으로 부상하는 미디어 시장 환경에서 사물인터넷 기술은 미디어기업의 수익모델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즉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해 개인 에게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작.공급함으로써 직접지불에 의한 구독형 수익모델로 전환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에는 어떤 형태가 있는가?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존속적 기술(sustaining technology)과 파괴적 기술 (disruptive technology)이다[6]. 존속적 기술에 의한 혁신은 기존 시장 안에서 일어나며 기존 제품에 새로운 혹은 강화된 기능을 더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사람의 개입 없이 사물이 스스로 정보와 데이터를 생산, 교환, 저장하고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생태계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사물인터넷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간 연결을 넘어서 모든 것이 연결된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 의 도래를 가능케 할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혁신친화적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미디어기업과 소비자 모두 사물인터넷을 통한 혁신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혁신친화적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물인터넷에 대한 미디어기업의 인식전환과 적극적 투자이다. 정부 역시 사물인터넷의 혁신적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T. McCraw. (2007). Prophet of destruction: Joseph Schumpeter and creative destruction. Harvard University. 

  2. G. Doyle. (2013). Understanding media economics. London : Sage. 

  3. S. Crainer & D. Dearlove. (2013). Thinkers 50 innovation: Breakthrough thinking to take your business to the next level. McGraw-Hill Education. 

  4. E. M. Rogers. (1995). Diffusion of innovation. Free Press. 

  5. H. Park, J. Oh, J. Lee & J. Park. (2013).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Seoul : Pearson. 

  6. R. Gershon. (2018). Digital media and innovation: Management and design strategies in communication. Sage. 

  7. S. Seol. (2011). Technological innovation. Beopmunsa. 

  8. OECD. (2005). Oslo manual: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novation data. Paris : OECD 

  9. P. Stoneman. (2010). Soft innovation: economics, product aesthetics, and the creative indus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0. L. Jaaniste. (2009). Placing the creative sector within innovation: The full gamut. Innovation: Management, Policy & Practice, 11(2), 215-229. 

  11. V. Bleyen, S. Lindmark, H. Ranaivoson & P. Ballon. (2014). A typology of media innovations: Insights from an exploratory study. The Journal of Media Innovations, 1(1), 28-51. 

  12. Y. Yoo, H. Kim, S. Lee, J. Jeong, W. Ji, Y. Cheon & M. Choi. (2014). The coming hyper- connected society and our future. Hanwool Academy. 

  13. S. Moon, Y. Park, S. Sohn, C. Kim, H. Kang, J. Oh, H. Kim, W. Jeong & J. Shin. (2015). Internet evolution and the changing socio-economic paradigm: Focusing on IoT. KISDI. 

  14. TCS. (2015). Internet of Things: The complete reimaginative force. TCS Global Trend Study. 

  15. D. Cha, S. Han, S. Na, D. Lee, H. Kim, H. Yoon, J. Lee, Y. Cho & J. Park. (2018). Forward 2019: Reading the future. Seoul : Hans Media. 

  16. A. Afuah. (2014). Business Model Innovation: Concepts, Analysis, and Cases.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