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경험과 수용의도 : 네트워크 외부성을 중심으로
Consumer Experience and Adoption Intention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s: The Impact of Network Externalit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177 - 186  

장민흔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  이진명 (충남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효용 비용 및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이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경험 및 행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인지하고 있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28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양한 맥락에서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경험 수준이 확인되었고, 오락성, 정보성, 인간가치 상실, 적합성, 호환성이 소비자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적합성과 호환성을 높임으로써 네트워크 외부성 효과를 강화하는 것이 소비자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용을 촉진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채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의 타당성을 보다 정교하게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experience and behavior of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investigating the impact of benefits-cost factors and network externalities on consumers' adoption intention of IoT servic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고도화와 일상생활 전반으로의 빠른 확산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경험 및 인식의 수준을 확인하고, 효용·비용의 분석틀과 네트워크 외부성 이론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효용·비용 요인과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을 단계별로 투입하여 소비자의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다음의 세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효용·비용의 분석 틀과 네트워크 외부성 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사물인터넷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어떤 기대를 모으고 있는가?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기획과 개발은 포스트 스마트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시대의 핵심 영역으로 전망된다[9].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ICT 산업뿐만 아니라 전 산업 분야에 걸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 사물인터넷이 활용됨에 따라 상당한 경제적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10]. 미래창조과학부[11]는 사물인터넷 기본 계획에 따라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개인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인 사물인터넷 서비스’, 정부가 사회 문제 해결 및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 사물인터넷 서비스’, 기업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산업 사물인터넷 서비스’ 등으로 분류한 바 있다[11].
사물인터넷이란 무엇인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막대한 양의 정보를 교류하고 상호 작용하는 지능형 인프라”를 의미한다[6,7]. 또한,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정보기술 및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8].
소비자의 사물인터넷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어떤 의의가 있는가?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효용·비용의 분석 틀과 네트워크 외부성 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사물인터넷서비스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과 행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한 효용·비용의 분석틀에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을 확장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용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화된다. 또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수용을 촉진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한다는점에서 실무적으로 의의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H. S. Jun. (2014).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and its future direction. Local Information magazine, 85, 34-35. 

  2. Y. M. Kim & H. Y. Ryoo. (2017). User experience research paradigm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16(3), 19-29. DOI: 10.21195/jidr.2017.16.3.002 

  3. J. H. Park & H. Y. Ryoo. (2016). User value factors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11(2), 23-30. DOI: 10.17210/jhsk.2016.08.11.2.23 

  4. N. Cha, J. Hwang & S. Lee. (2019).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toward the public safety service using IoT. Innovation Studies, 14(1), 142-278. 

  5. J. M. Lee. (2018). The effects of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network externality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Internet primary bank.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9(4), 139-159. 

  6. Y. G. Hong, M. K. Shin & H. J. Kim. (2013). Internet of Things standardization trends. OSIA Standards & Technology Review, 26(2), 8-17. 

  7. K. S. Cha. (1997). Service company's human relationship management. Seoul: Dawang Publisher. 

  8. S. H. Lee, D. H. Shim & D. W. Lee. (2016). Actual cases of Internet of Thing on smart city industr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4), 65-70. DOI: 10.22156/CS4SMB.2016.6.4.065 

  9. J. K. Bae. (2017). A study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and deactivating factors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s: Focusing on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The e-Business Studies, 18(2), 289-300. DOI : 10.20462/TeBS.2017.04.18.2.289 

  10. M. S. Kim & J. J. Won. (2014). Current status of IoT-related value chain and market components. ICT & Media Policy, 26(8), 22-27. 

  11.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4). Internet of Things Basic Pl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y Committee. 

  12. D. Y. Joo & J. K. Kim. (2014). A plan to promote creative converge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 the era of super-connectedness. Seoul: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13. J. J. Won. (2014). A study on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promote the 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Law and Politics research, 14(4), 1835-1867. 

  14. K. B. Kim & H. J. Cho. (2017). A study on the regulation improvement measures for activation of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29-35. DOI : 10.15207/JKCS.2017.8.5.029 

  15. S. H. Lee & D. W. Lee. (2016). A study on u-health fusion field based on Internet of Th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19-24. DOI : 10.15207/JKCS.2016.7.4.019 

  16. B. T. Kim. (2015). UX design utilization system research for improvement of user satisfaction in object Internet environments: Focus on beacon. Journal of Digital Design, 15(2), 649-660. DOI :10.17280/jdd.2015.15.2.061 

  17. H. R. Kim, S. P. Hong & S. M. Park. (2016). A study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guideline: Through research case study analysis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Journal of Security Engineering, 13(2), 155-168. DOI: 10.14257/jse.2016.04.08 

  18. A. R. Lee, S. M. Son, H. J. Kim & B. S. Kim. (2016). Improving personal data protection in IoT environ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6(4), 995-1012. DOI: 10.13089/jkiisc.2016.26.4.995 

  19. J. H. Um & J. K. Park. (2015). A study on the interaction paradigm shift in environment of Internet of Things focusing on smart devices.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19, 471-487. DOI: 10.17548/ksaf.2015.03.19.471 

  20. J. S. Kim. (2015). Design of business reference model and technical reference model for IoT services in the smar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Business Studies, 16(4), 119-139. DOI: 10.15719/geba.16.4.201508.119 

  21. J. Y. Lee, H. S. Choi & W. S. Rhee. (2015). Development of the web-based participation IoT service brokering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2), 40-57. DOI: 10.5392/jkca.2015.15.02.040 

  22. S. M. Chung, J. H. Choi & J. W. Park. (2016). Design of software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Io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7), 1342-1354. DOI: 10.6109/JKIICE.2016.20.7.1342 

  23. D. H. Lee, S. M. Cho & J. H. Whang. (2013).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a mobile RFID: Focused on the technology area of mobile RFID.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1), 67-85. DOI: 10.21219/JITAM.2013.20.1.067 

  24. J. K. Lee, J. H. Kang, Y. S. Ahn, M. J. Oh & H. B. Kim. (2014).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usage intention of wearable device Adoption of the early users through TAM: Focusing on the smart watch. Journal of the Korea IT Service, 16(1), 507-510. 

  25. J. W. Lee, J. H. Choi & J. W. Park. (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individual and device characteristics affecting user's intention to use smart watch.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2(11), 201-214. DOI: 10.14801/kitr.2014.12.11.201 

  26. Y. H. Kim. (2016). A study on adoption of IoT smart home service: Based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value-based adoption model. Doctoral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27. J. W. Jung. (2018).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factors affecting of smart home IoT services. Master's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Seoul. 

  28. N. J. Cha, J. S. Hwang & S. E. Lee. (2019).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toward the public safety service using IoT. Journal of the Korea Innovation Studies, 14(1), 243-278. 

  29. P. S. Ring & A. H. Van. (1994). Developmental processes of cooperativ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1), 90-118. DOI: 10.5465/amr.1994.9410122009 

  30. M. L. Katz & C. Shapiro. (1985). Network externalities, competition, and compatibility.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5(3), 424-44. 

  31. H. R. Cho, M. H. Lee & S. K. Lim. (2017). Analysis of marketing channel competition under network externality.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40(1), 105-113. DOI: 10.11627/jkise.2017.40.1.105 

  32. K. Y. Lin & H. P. Lu. (2011). Why people use social networking sites: An empirical study integrating network externalities and motivation theor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3), 1152-1161. DOI: 110.1016/j.chb.2010.12.009 

  33. E. M. Rogers. (1983). Diffusion of innovations. New York: FreePress. 

  34. J. W. Kang & K. Y. Nam. (2014). The effects of individual motivation factors and network externalities on satisfaction in restaurant information sharing on SN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8(8), 203-225. 

  35. J. M. Lee, M. J. Jung, J. R. Lee, Y. E. Kim & C. Y. An. (2019). Consumer perception and adoption intention of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 Non-users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0(2), 193-213. 

  36. M. M. Tsang, S. C. Ho & T. P. Liang. (2004).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8(3), 65-78. DOI: 10.1080/10864415.2004.11044301 

  37. Y. Chang, X. Dong & W. Sun. (2014).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of Thing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2(2), 321-330. DOI: 10.2224/sbp.2014.42.2.321 

  38. J. M. Lee, M. Y. Sim, M. S. Kang, H. G. Kang, J. A. Jang & D. Kim. (2019).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technology based self servic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0(1), 69-92. 

  39. C. L. Hsu & J. C. C. Lin. (2016). An empirical examination of consumer adoption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s: Network externalities and concern for information privacy perspectiv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2, 516-527. DOI: 10.1016/j.chb.2016.04.0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