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청소년의 알레르기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 흡연, 음주에 관한 융합적 연구: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A Convergence Study of Obesity, Smoking, Drinking influencing Allergy Disease in Adolescents: Based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6, 2019년, pp.347 - 353  

임소연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5년)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청소년의 알레르기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 흡연, 음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만 12세에서 18세 청소년 535명이었고, Rao-Scott $x^2$.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천식 진단율 5.4%, 아토피피부염 진단율 15.5%, 알레르기비염 진단율 22.8%순으로, 비만, 흡연, 음주 여부에 따른 천식,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진단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알레르기 진단의 위험을 높이는 변수로 천식은 비만, 아토피피부염은 음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받은 청소년에게 질 높은 삶을 중재하기 위한 차별화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만, 흡연, 음주와 관련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obesity, smoking, drinking affected allergy disease in Korean adolescents using the raw data of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2015). Study data on 535 Korean adolescents classified 12 to 18 years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3차 년도(2015 년)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만 12세에서 18세까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 흡연, 음주에 관한 관련성을 파악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고, 이는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받은 청소년의 질 높은 삶을 위한 청소년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차별화된 중재 전략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본다.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3차 년도(2015년) 원시 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만 12세에서 18세까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 흡연 음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3차년도 (2015년)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만 12세에서 18세까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 음주, 흡연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 시기에 알레르기 질환과 비만, 흡연 음주 등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이에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5년)의 원시 자료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비만, 흡연, 음주에 관한 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여 차별화된 청소년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질환이란?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외부 환경오염은 해마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주원인이다. 만성질환인 알레르기 질환은 신체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에 대한 우리 신체가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알레르기 행진이라 지칭하는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비염이 대표적이다[1]. 주로 알레르기 질환은 아동 시기부터 발생하여 청소년 시기를 거쳐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질환을 동반하여 발생할 수 있을 뿐더러[2], 예방과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므로 [3] 지속적으로 역학조사와 위험인자를 연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소년 시기의 만성질환인 알레르기 질환과 비만, 흡연, 음주의 융합적 관련 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연구로는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요인[1],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받은 청소년의 정신건강[13], 알레르기 질환의 중증도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14] 등 주로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알레르기 질환의 위험요인과 관련된 연구는 미미하다. 그러므로 청소년 시기의 만성질환인 알레르기 질환과 비만, 흡연, 음주의 융합적 관련 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알레르기 질환의 주원인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외부 환경오염은 해마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주원인이다. 만성질환인 알레르기 질환은 신체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에 대한 우리 신체가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알레르기 행진이라 지칭하는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비염이 대표적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H. Park. (2016). Factors influencing allergy related disease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6), 596-606. DOI :10.5392/JKCA.2016.16.03.596. 

  2. M. H. Jun, J. W. Kweon & Y. J. Kim. (2016). A Study on prevalence of allergy disease and hom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5B), 2497-2509. 

  3. S. Y. Lee, I. H. Moon & Y. J. Lee. (2017). A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nd management of allergic disease children of child-care teacher; atopic dermatitis, asthma, allergic rhinit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37-48. 

  4. Y. S. Ha, J. Y. Lee, H. S. Kim, Y. H. Park, S. Y. Moon, S. J. Kim, J. E. Bae, J. E. Lee, J. A. Oh, S. Y. Yim & H. Y. Kim. (2018). Children health nursing (4th ed), Seoul: shinkwang pub (in Korean). 

  5. M. H. Park. (2018). The relation between health behavior and asthm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101-109. 

  6. J. Y. Han & H. S. Park. (2016).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and its rel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Using data from the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a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1), 155-168. 

  7. OECD. (2015). OECD Health Statistics 2015, Paris : OECD. http://www.oecd. org//health-system/Tableof-Content-Metadata-OECD-Health-Statistics-2015. 

  8. W. K. Kim. (2014).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in Korean male and female youth.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9(3), 191-210. DOI : 10.18205/kpa.2014.19.3.001. 

  9. J. Stang. & M. Story. (2006) Guideline for Adolescent Nutrition Service, Minneapolis ; MN. 

  10. M. H. Jung, J. S. Lee & H. S. Jung. (2016).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obesity of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9(1), 11-21. 

  11. Y. J. Lee. (2016). daily smoking girls's tobacco use, health behavior and family factors: analysis of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377-384. 

  12. J. C. Suris, P. A. Michaud, C. Akre & S. A. Sawyer. (2008). Health risk behaviors in adolescents with chronic conditions, Pediatrics, 122(5), 1113-1118. 

  13. J. H. Kim. (2015).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using data from the 2014 Korean youth's risk behavior web-based study,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8(2), 79-88. 

  14. J. W. Wang, E. Y. Kim, S. J. Park, J. H. Lee & K. H. Rhim. (2016). Effect of allergy related disease on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7(3), 11-25. 

  15. S. Y. Yim & M. H. Park. (2017). Comparison of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quit attempts in adolescent smokers according to amount of smoking, The Korea Contents Society, 17(7), 622-633. DOI : 10.5392/JKCA.2017.17.07.622. 

  16. N. L. Shin, S. M. Yu, K. N. Kim, S. Y. Lee, Y. G. Lee, H. B. Kim, B. S. Kim, S. J. Hong, J. H. Kim & S. Y. Lee. (2009). The relation of overweigh to asthma and other allergic diseases in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4), 269-276. 

  17. I. S. Park & H. K. Yun. (2017). Asthma worsening factor of adolescent asthma patients in korea-associated with intake of antioxidant foo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297-304. 

  18. M. S. Ruchit Shah & Y. Yang. (2015). Health and economic burden of obesity in elderly individuals with asthma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18(3), 186-191. 

  19. K. H. Kim, B. Y. Chum & G. H. Kwon. (2018). Effect of health behaviors related to chronic diseases in city work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17-24. 

  20. C. Y. Choi. (2015).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ith atopic dermatitis, Studies on Korean Youth, 26(1), 111-114. 

  21. H. J. Kim, M. A. Han, S. H. Kim, S. M. Park, Jung, Park, S. Y. Rue & S. Y. Choi. (2014). Associations between cigarette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lifetime diagnosis of atopic dermatitis in Korean boys and girls: the eigh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Mother Child Health, 18.(2), 175-185. DOI : 10.21896/jksmch.2014.18.2.175. 

  22. H. J. Koo, S. M. Lee, S. P. Lee & E. A. Han. (2014).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asthma, allergy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among adolescents in Incheon, south Korea,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4), 249-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