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건강행태가 현재 알레르기 질환 유병에 미치는 영향: 제15차(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15th(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3 no.2, 2020년, pp.125 - 138  

김현옥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 the prevalence of current allergic disea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57,303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Data were analyzed using Rao-Scott χ2 test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hile c...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다양한 건강행태가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을 포괄하는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건강행태가 알레르기 질환 유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포괄적인 인식을 제공하고 알레르기 질환을 유병하고 있는 중 · 고등학교 청소년을 위한 학교건강증진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 기전은 무엇인가? 알레르기 질환은 시간이 갈수록 만성화되는 경향이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아동과 청소년은 천식 · 알레르기 비염까지 걸리게 되는 알레르기 행진 양상을 보인다[1]. 알레르기 질환은 대기오염, 환경오염, 생활 방식의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서구화된 식생활, 집 먼지 진드기, 꽃가루 등 알레르기 항원에 대해 인체 면역계가 과민하게 반응함으로써 피부, 기관지, 코, 위장관 등에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 비염 등이 대표적이다[2].
알레르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건강행태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흡연[8,9], 음주경험[10-13], 신체활동[1,14], 음식섭취[15], 비만([16], 약물사용[17]과 스트레스[18-20], 수면[21,22], 우울[18,23], 자살생각[18]과 같은 정신건강 관련 건강행태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건강행태가 알레르기 질환 유병과 관련이 있거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들은 청소년건강행태 조사[3,5]에서 포함하고 있는 건강행태의 여러 영역 중 한 두 개 영역과 알레르기 질환 유병과 관련성을 검증하거나 몇 개의 영역 중 일부 변수만을 선택하여 천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중 하나의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련성을 보고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알레르기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 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을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학교 보건 사업계획을 수립하는데 한계가 있다.
천식이란? 천식은 기도의 염증과 과민성으로 인한 기침, 가래, 쌕쌕거림, 호흡곤란이 동반되고,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과 피부손상을 동반하며, 알레르기 비염은 콧물, 재채기, 코 가려움증, 코 막힘, 알레르기 결막염을 동반하여 청소년의 학교활동이나 일상생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주요 질환이다[2]. 알레르기 질환으로 인한 중 · 고등학교 청소년의 학교 결석률은 천식이 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ang KA, Kim SJ, Kim HO, Lee MN, Gu JA, Kim KN, et al. Child-adolescence health nursing II. 2nd ed. Paju: Koonja Publishers; 2020. p. 552-578.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hat is allergic disease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ited 2020 February 29].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gallery.es?mida20503010000&bid0002&actview&list_no136489 

  3. Korea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1th (2015)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statistics [Internet]. Cheongju: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cited 2020 February 29].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yhs/home.jsp 

  4. Blaiss MS. Pediatric allergic rhinitis: physical and mental complications. Allergy and Asthma Proceedings. 2008;29(1):1-6. https://doi.org/10.2500/aap2008.29.3072 

  5. Korea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5th (2019)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statistics [Internet]. Cheongju: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cited 2020 May 14].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yhs/home.jsp 

  6. Seo SH. Guideline for allergic disease in Korea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cited 2020 February 28].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board.es?mida20602010000&bid0034&actview&list_no12745 

  7.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health law [Internet].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Government complex, Korea law information center; 2007 [cited 2020 June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2079# 

  8. Popovic GS. Allergic diseases and smoking. Acta Medica Croatica. 2011;65(2):141-146. 

  9. Mlinaric A, Popovic GS, Nadalin S, Skurla B, Munivrana H, Milosevic M. Passive smoking and respiratory allergies in adolescents. European Review for Medical and Pharmacological Sciences. 2011;15:973-977. 

  10. Kim BH, Kim HR. Socioeconom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allergic disease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14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9;20(8):494-502. https://doi.org/10.5762/KAIS.2019.20.8.494 

  11. Criqui MH, Seibles JA, Hamburger RN, Coughlin SS, Gabriel S. Epidemiology of immunoglobulin E levels in a defined population. Annals of Allergy. 1990;64:308-313. 

  12. Gonzalez-Quintela A, Dominguez-Santalla MJ, Perez LF, Lojo S, Vidal C. Serum levels of soluble CD30 and total IgE in alcoholics. Allergology International. 2002;51:33-37. https://doi.org/10.1046/j.1440-1592.2002.00245.x 

  13. Gonzalez-Quintela A, Vidal C, Gude F, Tome S, Lojo S, Lorenzo MJ, et al. Increased serum IgE in alcohol abusers. Clinical Experimental Allergy. 1995;25:756-764. https://doi.org/10.1111/j.1365-2222.1995.tb00014.x 

  14. Kwak YS. The scientific analysis of physical anaphylaxis and FDEIAn. Exercise Science. 2015;24(3):217-224. https://doi.org/10.15857/ksep.2015.24.3.217 

  15.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Food allergy [Internet]. Bethesda: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vailable from: https://medlineplus.gov/foodallergy.html. 

  16. Jung HM, Hwang MY, Shin CY, Kim SL, Yoon CH, Seo UK. Correlations between obesity and allergic rhiniti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6):1099-1104. 

  17. Han JY, Park HS.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nd its rel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using data from the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6;27(1):1551-1568. https://doi.org/10.7465/jkdi.2016.27.1.155 

  18. Kim JH.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susing data from the 2014 Korean youth's risk behavior webbased stud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5;28(2):79-88. https://doi.org/10.15434/kssh.2015.28.2.79 

  19. Chang YS. Stress and allergy.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6;14:293-297. 

  20. Dave ND, Xiang L, Rehm KE, Marshall GD. Stress and allergic diseases. Immunol Aller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11;31(1):55-68. https://doi.org/10.1016/j.iac.2010.09.009 

  21. Choi JH, Nam GE, Kim DH, Lee JY, Han KD, Cho JH.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in young adults. Asian Pacific Journal of Allergy and Immunology. 2017;35(3):150-155. https://doi.org/10.12932/AP0772 

  22. Kim HJ. Factors influencing sleep satisfa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allergic rhiniti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9;32(3):175-183. https://doi.org/10.15434/kssh.2019.32.3.175 

  23. Yun MJ. Factors related to asthma in Korean adults: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6.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9;31(3):259-268. https://doi.org/10.7475/kjan.2019.31.3.259 

  2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child and youth growth char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cited 2020 July 1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8/sub08_01.do 

  25. Park MR, Kim JH, Kim JW, Han MA. Association of allergic diseases with cigarette smoking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5;5(suppl3):S634-S640. 

  26. Vidal C, Armisen M, Dominguez-Santalla MJ, Gude F, Lojo S, Gonzalez-Quintela A. Influence of alcohol consumption on serum immunoglobulin E levels in atopic and nonatopic adults.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002;26(1):59-64. https://doi.org/10.1111/j.1530-0277.2002.tb02432.x 

  27. Chen YC, Hsu WH, Sun CM, Liu CH. A case of aquagenic urticaria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Dermatologica Sinica. 2018;36(3):146-148. https://doi.org/10.1016/j.dsi.2017.12.003 

  28. Lee HG, Lee AY, Lee YS. A case of aquagenic urticaria.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1990;28:456-458. 

  29. Choi SY, Jo GH, Lee BH, Chun YH, Bang SY, Lee HG, et 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problem behavior diagnosis and counseling treatment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harmful drugs.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3 November. Report No.:11-1383000-000440-0. 

  30. Park JH. Quantitative research: sample size, sampling [Internet].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cited 2020 July 27]. Available from: http://www.snu-dhpm.ac.kr/pds/files/%BF%AC%B1%B8%B9%E6%B9%FD%B7%D0_050414.pdf.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