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육성 조와 기장 품종의 영양성분 특성
Nutritional Compositions of Varieties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Developed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4 no.2, 2019년, pp.137 - 143  

최지명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도연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최명은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송석보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박장환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 ,  고지연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조 8 품종과 기장 4 품종의 영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조 품종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함량은 73.90~77.58%, 6.39~9.57%, 3.69~4.24% 범위로 나타났고, 기장은 73.40~75.61%, 9.74~12.06%, 2.83~3.40%로 나타나 조가 기장보다 단백질 함량은 낮고, 지방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와 기장의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은 단아메(조), 금실찰(기장)이고, 지방 함량이 높은 품종은 조황메(조), 만홍찰(기장)이었다. 전체 다량 무기질 함량은 조가 기장보다 높고, 측정 무기질 중 K 함량이 가장 높았다. 조 품종 중에서 경관 1호의 Ca, K 함량이 가장 높았고, 경관 2호는 Mg 함량이 높았다. 기장은 품종 간에 Ca 함량이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조, 기장 모두 leucine, phenylalanine, valine이 가장 높았으며, 조가 기장 보다 단백질 함량이 낮은 반면에 전체적인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경관1호(조), 황실찰(기장)이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이었다. 조와 기장 모두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에서 육성된 조, 기장 품종에 대한 영양성분에 관련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신품종 육성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and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were not the major cereal crops in Korea. Although, they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ir nutritional excellence. This study focused on nutritional composition of Korean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varieties. The p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등의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된바 있으나 국내육성 품종들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와 기장의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 하고, 신품종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지금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조 및 기장의 주요 품종을 대상으로 영양성분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조 8 품종과 기장 4 품종의 영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조 품종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함량은 7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장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기장은 도정하면 조와 모양이 비슷 하지만 조보다 알곡이 굵고, 엽초에 흰털이 있다. 기장은 쌀에 비해 소화율이 다소 낮으나 다른 밀렛류에 비해 단백질 및 무기질 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주로 찰성을 띄는 품종들이 개발되었다(Ha & Lee 2001;Lee et al., 2017; Park et al.
조와 기장은 무엇인가? , 2013). 조와 기장은 아시아, 아프리카 및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쌀과 밀이 등장하기 훨씬 이전인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의 주식으로 이용되어온 작물이다(Ravindran, 1991). 또한 다양한 기후 조건에도 재배가 가능 할뿐만 아니라 다른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고온 및 건조한 조건 등에서도 적응성이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Singh & Adedeji, 2017; Zhu 2014).
조와 기장을 재배할 때 나타나는 장점은? 조와 기장은 아시아, 아프리카 및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쌀과 밀이 등장하기 훨씬 이전인 신석기 시대부터 인류의 주식으로 이용되어온 작물이다(Ravindran, 1991). 또한 다양한 기후 조건에도 재배가 가능 할뿐만 아니라 다른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하는 고온 및 건조한 조건 등에서도 적응성이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Singh & Adedeji, 2017; Zhu 2014).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밀렛류의 약 90%는 개발도상국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영양 공급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물이다(Devisett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handari, S. R. and Y. S. Lee. 2013. The contents of phytosterols, squalene, and vitamin E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of Korean landrace Setaria italica and Sorghum bicolor seeds. Korean J. Plant Res. 26 : 663-672. 

  2. Cho, Y. S,, Y. N. Kim, S. Y. Kim, J. B. Kim, H. W. Kim, S. N. Kim, S. Y. Kim, H. J. Park, and J. H. Kim. 2011.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grain after milling. Korean J. Environ. Agric. 30 : 409-413. 

  3. Devisetti, R., S. N. Yadahally, and S. Bhattacharya. 2014. Nutrients and antinutrients in foxtail and proso millet milled fractions: Evaluation of their flour functionality. LWT - Food Sci. Tech. 59 : 889-895. 

  4. FAO. 1995. Sorghum and millets in human nutrition. Rome: FAO. 

  5. Ha, Y. D. and S. P. Lee.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 187-192. 

  6. Kim, M. T., J. H. Seo, H. S. Cho, K. Y. Seong, J. K. Lee, S. P. Eom, W. T. Jeon, J. Y. Lee. 2007. Annul variation of soil properties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J. Crop. Sci. 52 : 370-374. 

  7. Kim, N. S. and Y. J. Nam. 1989.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millet starch dispers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 742-748. 

  8. Kim, N. S., H. M. Seog, Y. J., and Nam. 198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millet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 245-249. 

  9. Kim, S. M., Q. Zhang, X. Z. Yu, S. T. Yoon, S. J. Ji, and J. B. Kim. 2010. Fatty acid composition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seeds collected in South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 405-408. 

  10. Lee, K. H, H. J. Kim, M. J. Kim, J. Y. Ko, S. K. Lee, H. Y. Park, E. Y. Sim, D. H. Cho, S. K. Oh, and K. S. Woo. 201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cooked rice-added foxtail millet according to cooking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8 : 442-445. 

  11. Lorenz, K. and W. Dilsaver. 1980. Proso millets, milling characteristics, proximate compositions, nutritive value of flours. Cereal Chem. 57 : 16-20. 

  12. Muthamilarasan, M., A, Dhaka, R. Yadav, and M. Prasad. 2016. Exploration of millet models for developing nutrient rich graminaceous crops. Plant Sci. 242 : 89-97. 

  13. Park, S. A., M. A. Choi, and M. L. Kim. 2015.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vo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 : 791-805. 

  14. Ravindran, G. 1991. Studies on millets: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and phytate and oxalate contents. Food Chem. 39 : 99-107. 

  15. Saleh, A. S. M., Q. Zhang, J. Chen, and Q. Shen. 2013. Millet grains: Nutritional quality, processing,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Comprehensive Reviews in Food Science and Food Safety 12 : 281-295. 

  16. Shahidi, F. and A. Chandrasekara. 2013. Millet grain phenolics and their role in disease risk reduction and health promotion: A review. J. Functional Foods 5 : 570-581. 

  17. Singh, M. and A. A. Adedeji. 2017. Characterization of hydrothermal and acid modified proso millet starch. LWT- Food Sci. Technol. 79 : 21-26. 

  18. Wagenmakers, A. J. 1992. Amino acid metabolism, muscular fatigue and muscle wasting. Speculations on adaptations at high altitute. Int. J. Sport Med. 11 : S101-S113. 

  19. Zhu, F. 2014. Structur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uses of millet starch. Food Res. Int. 64 : 200-2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