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한 체간조절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Contro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based Training Program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172 - 179  

박삼호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병수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명모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기반을 이용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아급성기 뇌졸중환자 30명을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n=15)과 대조군(n=15)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6주간 주 3회, 1회당 30분씩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기능 향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중재 전 후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균형능력과 상지기능(FMUE), 체간 장애척도(TIS)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5), 두 그룹 간 차이는 버그균형척도(BBS), 일어나 걷기(TUG), 체간 장애척도(TIS)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 프로그램은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유익한 운동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game based training on balance and upper limb func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Thirty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s(n=15) and control groups(n=15) applying virtual reality g...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선행연구에선 주로 만성 뇌졸중환자에게 하지기능 및 균형증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에 대한 상지기능과 균형능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16].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재활 훈련에 있어 흥미 및 참여율을 높여 훈련의 효과성이 규명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한 체간조절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 훈련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상현실기반 훈련프로그램이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가상현실 기반 게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중재전후의 균형능력 및 상지기능의 모든 항목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가상현실을 통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 게임훈련 프로그램은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유익한 운동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아급성기 뇌졸중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가상 현실기반 게임 훈련을 이용한 아급성 뇌졸중환자의 체간 조절훈련이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된 대조 실험연구이며, 가상현실 기반 게임훈련프로 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을 측정하였다. 균형능력은 버그균형척도(BBS), 일어나 앉기검사(TUG),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검사(m-FRT)로 평가하였으며, 상지기능과 체간조절 능력은 푸글-메이어 상지 평가 (FMUE)와 체간장애척도(TIS)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혈관의 경색이나 출혈에 의한 신경학적인 장애를 보이는 뇌혈관 질환으로, 손상된 부위와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감각손상과 근력약화를 보인다[1]. 뇌졸중 환자는 마비된 쪽보다는 건측 만을 사용함으로 인해 마비된 상하지의 근력 약화가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비대칭적인 신체 균형과 체중이동, 경직 및 과 긴장증으로 인한 수의적인 움직임 결함 등이 나타난다[2].
뇌졸중으로 인해 약화된 근력은 어떠한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뇌졸중으로 인해 약화된 근력은 일상생활과 기능적인 활동에 대하여 제한을 초래하며[6], 근수축 능력과 타이밍, 강도를 조절하는 협응 능력의 저하로 인해 근 동원순서에 장애를 발생한다고 하였다[7]. 이로 인해 체간근육들의 작용으로 인한 체간조절은 균형능력 향상과 신체의 안정성, 운동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8].
뇌졸중 환자들의 동기부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가상현실은 시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받고, 이로 인하여 효과적인 운동 조절을 할 수 있게 되며, 즐기면서 과제 수행을 할 수 있어 치료에 대한 흥미와 강한 동기부여를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14]. 또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가상현실은 적합한 형태의 환경과 활동을 재현시켜 시지각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그리고 균형 및 보행 등 재활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B. O'Sullivan. & T. J. Schmitz. (1994). Physical rehabilitation: ssessment and treatment: FA Davis.a 

  2. F. M. Campbell, A. M. Ashburn, R. M. Pickering & M. Burnett. (2001). Head and pelvic movements during a dynamic reaching task in sitt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is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12), 1655-1660. 

  3. C. M. Dean, E. F. Channon & J. M. Hall. (2007). Sitting training early after stroke improves sitting ability and quality and carries over to standing up but not to walking: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53(2), 97-102. 

  4. A. Shumway-Cook. & M. H. Woollacott. (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L. Wolfson, R. Whipple, C. A. Derby, P. Amerman & L. Nashner. (1994). Gender differences in the balance of healthy elderly as demonstrated by dynamic posturography. Journal of Gerontology, 49(4), M160-M167. 

  6. L. Ada., S. Dorsch & C. G. Canning. (2006). Strengthening interventions increase strength and improve activ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52(4), 241-248. 

  7. C. J. Newsam & L. L. Baker. (2004). Effect of an electric stimulation facilitation program on quadriceps motor unit recruitment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12), 2040-2045. 

  8. W. J. Hwang, M. K. Cho & Y. Chung. (2015). Relationship between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of the trunk, dual tasks and physical performance with chronic stroke survivors: a pilot test.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4(1), 44-48. 

  9. B. French, L. H. Thomas, J. Coupe, N. E. McMahon, L. Connell, J. Harrison & C. L. Watkins. (2016). Repetitive task training for improving functional ability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10. B. M. Quaney, J. He, G. Timberlake, K. Dodd & C. Carr. (2010). Visuomotor training improves stroke-related ipsilesional upper extremity impairment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4(1), 52-61. 

  11. S. M. Michaelsen, R. Dannenbaum & M. F. Levin. (2006). Task-specific training with trunk restraint on arm recovery in stroke: randomized control trial. Stroke, 37(1), 186-192. 

  12. S. J. Page. P. Levine & A. C. Leonard. (2005).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19(1), 27-32. 

  13. J. E. Deutsch, A. S. Merians, S. Adamovich, H. Poizner & G. C. Burdea.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improve hand use and gait of individuals post-stroke.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2(3-5), 371-386. 

  14. R. B. Rosenberg-Kima & A. Sadeh. (2010). Attention, response inhibition, and face-information processing in children: The role of task characteristics, age, and gender. Child Neuropsychology, 16(4), 388-404. 

  15. G. C. Burdea. (2003). Virtual rehabilitation-benefits and challenges. Methods of information in medicine, 42(05), 519-523. 

  16. S. J. Lee & M. H. Chun. (2014). Combin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therapy for upper extremity training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5(3), 431-438. 

  17. S. Downs, J. Marquez & P. Chiarelli. (2013). The Berg Balance Scale has high intra-and inter-rater reliability but absolute reliability varies across the scal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hysiotherapy, 59(2), 93-99. 

  18. M. Katz-Leurer, I. Fisher, M. Neeb, I. Schwartz & E. Carmeli.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at the sub-acute stage post-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1(3), 243-248. 

  19. D. Podsiadlo & S. Richardson. (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2), 142-148. 

  20. A. R. Fugl-Meyer, L. Jaasko, I. Leyman, S. Olsson & S. Steglind. (1975).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7(1), 13-31. 

  21. H. Kim, J. Her, J. Ko, D. S. Park. J. H. Woo, Y. You & Y. Choi. (2012). Reliability, concurrent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for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4(9), 893-899. 

  22. G. Verheyden, A. Nieuwboer, A. Van de Winckel & W. De Weerdt. (2007). Clinical tools to measur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rehabilitation, 21(5), 387-394. 

  23. Y. R. Yang, Y. H. Chen, H. C. Chang, R. C. Chan, S. H. Wei & R. Y. Wang. (2015). Effects of interactive visual feedback training on post-stroke pusher syndrom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29(10), 987-993. 

  24. G. I. Yatar & S. A. Yildirim. (2015). Wii Fit balance training or progressive balanc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4), 1145-1151. 

  25. A. L. Betker, A. Desai, C. Nett., N. Kapadia & T. Szturm. (2007). Game-based exercises for dynamic short-sitting balance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chronic spinal cord and traumatic brain injuries. Physical therapy, 87(10), 1389-1398. 

  26. G. S. Sim. & H. S. Jeon. (2017).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Wii Balance Games and Mirror Self-Balancing Exercises on Knee Joint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24(1), 30-40. 

  27. G. Saposnik, R. Teasell, M. Mamdani, J. Hall, W. McIlroy, D. Cheung & M. Bayley. (2010).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using Wii gaming technology in stroke rehabilitation: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and proof of principle. Stroke, 41(7), 1477-1484. 

  28. T. Ikai, T. Kamikubo, I. Takehara, M. Nishi & S. Miyano. (2003).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2(6), 463-469. 

  29. S. H. You, S. H. Jang, Y. H. Kim, M. Hallett, S. H. Ahn, Y. H. Kwon & M. Y. Lee. (2005). Virtual reality-induced cortical reorganization and associated locomotor recovery in chronic stroke: an experimenter-blind randomized study. Stroke, 36(6), 1166-1171. 

  30. G. J. Lehman, T. Gordon, J. Langley, P. Pemrose & S. Tregaskis. (2005). Replacing a Swiss ball for an exercise bench causes variable changes i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upper limb strength exercises. Dynamic Medicine, 4(1), 6. 

  31. S. H. Yu & S. D. Park. (2013).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strength exercise on muscle activity and trunk impairment scal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9(3), 362. 

  32. G. B. Song & E. C. Park. (2016).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and Virtual reality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balance ability,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1(1), 115-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