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기반 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ask Training Using a Smart Glov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7 no.3, 2019년, pp.369 - 378  

고근범 (드림병원 재활치료센터) ,  문상현 (바른움직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ask training (VRBTT) using a smart glov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isease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the VRBTT grou...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기존의 임상에서의 일반적인 작업치료(standard occupational therapy)보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과 일상생활 수행에 얼마나 긍정적이며 효과적인지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기반 과제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함으로써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일반적인 작업치료와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기반 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상현실기반 과제 훈련을 적용한 집단에서 기존의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적용한 대조군보다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에 보다 높은 영향을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글러브이란 무엇인가? 스마트 글러브(smart glove)는 뇌졸중 환자의 손에 직접 착용하며,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각각의 게임을 통해 특정한 움직임과 관련된 과제들을 수행시켜 상지 기능 향상을 돕고, 게임을 통해 일상생활 활동을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며, 쉽게 숙지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동기부여를 한다(Shin et al., 2016).
뇌졸중 발생 후 편측 마비를 경험하는 환자의 비율은? 하지만 뇌졸중 발생 후 편측 마비를 경험하는 환자가 85% 이상이나 나타나며, 69% 이상이 상지 운동 장애를 경험한다(Kim et al., 2012).
웨어러블 장치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스마트 글러브와 같은 장치들이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을 사용하여 가상현실을 기반과제 훈련을 하면 단순하게 반복하는 전통적 재활 훈련과 다르게 게임 요소가 가미되어 환자가 지루하지 않고, 상호작용을 통해 이기고자 하는 욕구로 동기부여와 자아 만족도를 증가시킨다(Kim et al., 2014).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게임을 통해 환자들에게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며, 신체적, 정신적 활동의 병행으로 재미와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스트레스 해소 등 여러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Kim, 2014). 또한 Guidali 등(2011)의 연구에서 가상현실기반 과제 훈련 시스템의 적용이 상지 기능과 더불어 일상생활 수행 능력까지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국 가상현실을 적용하여 적합한 환경과 동작을 재현시켜 뇌졸중 환자에게 중재할 경우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o JA, Jang TY, Choi HS. A study on effect with RAPAEL smart gloves for hand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2015;7(2):21-26. 

  2.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1985;65(2):175-180. 

  3. Carregosa AA, Aguiar Dos Santos LR, Masruha MR, et al. Virtual rehabilitation through Nintendo Wii in poststroke patients: follow-up.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18;27(2):494-498. 

  4. Guidali M, Duschau-Wicke A, Broggi S, et al. A robotic system to tr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 virtual environment.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 Computing. 2011;49(10):1213-1223. 

  5. Howard MC.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7;70(1):317-327. 

  6. Jang YS. The effec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performance abilit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Korea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2012;2(2):10-18. 

  7. Jeon SY.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combine with real time feedback training on upper extremity and postural control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ahmy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7. 

  8. Ju ES, Bang YS, Hwang MJ, et al. The effects of BioVal program interven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 single subject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7;11(2):249-260. 

  9. Jung HY, Park BK, Shin HS,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1(3):283-297. 

  10. Jung JH, Cho YN, Chae SY. The effect of task-orient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11;15(4):231-253. 

  11. Kim EJ, Kim K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6;24(3):111-119. 

  12. Kim HH, Kim KM, Chang MY. Interventions to promote upper limb recovery in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2;20(1):129-145. 

  13. Kim HY. Rehabilitation and serious gam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4):69-73. 

  14. Kim YG. The effect on Korean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VREHAT) in balanc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brain injur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15;19(2):257-276. 

  15. Kwon JS. Effects of computer 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on clinical rehabilitation in Korea: a meta-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7):293-304. 

  16. Laver KE, George S, Thomas S, et al. Virtual reality for stroke rehabilit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11(1):1-183. 

  17. Lee MJ, Koo HM.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sitting balance training program on ability of sitting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2017;5(3):11-19. 

  18. Matthew Moses BA, Teasell R. Evidence-based review of stroke rehabilitation : 20 outcome measures in stroke rehabilitation, 18th ed. Canada. Evidence-Based Review of Stroke Rehabilitation. 2013. 

  19. Neopect. http://www.neofect.com/ko/product/rapael/. 2018. 

  20. Park CS, Park SW, Kim KM,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Wolf motor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04;12(2):49-60. 

  21. Perez-Marcos D, Chevalley O, Schmidlin T, et al. Increasing upper limb training intensity in chronic stroke using embodied virtual reality: a pilot study.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2017;14(1):119-132. 

  22. Shin JH, Kim MY, Lee JY, et al.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on distal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2016;13(1):17. 

  23. Singer B, Garcia-Vega J. The Fugl-Meyer upper extremity scale. Journal of Physiotherapy. 2017;63(1):53. 

  24. Yang NY, Park TH, Moon JH. Effectiveness of motion-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Joystim)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2018;12(1):10-19. 

  25. Yap HK, Kamaldin N, Lim JH, et al. A magnetic resonance compatible soft wearable robotic glove for hand rehabilitation and brain imaging.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2017;25(6):782-793. 

  26. Yap HK, Lim JH, Nasrallah F, et al. Design an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a soft robotic glove for hand function assistance in stroke survivors. Frontiers in neuroscience. 2017;11(1):1-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