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상담사의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 추천 양상과 관련 요인 분석
Occupational advice from vocational counselors for adults who stutter and associated facto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1 no.2, 2019년, pp.65 - 76  

박진 (가톨릭관동대학교 언어재활상담학과) ,  장혜경 (충남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신형탁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조남빈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박희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한국고용노동부에 수록된 31개의 직업군들을 바탕으로 말더듬 성인을 위한 직업 추천 양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69명의 직업상담사(실험조건 당 23명)로 하여금 말더듬 성인을 통해 생성된 세 가지 발화샘플(유창한 발화, 덜 심한 말더듬, 심한 말더듬) 중 하나를 듣고 제공된 척도질문지(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 척도, 직업 관련 교육 수준 척도, 직업 조언 척도, 의사소통 평정 척도, 의미 차이 평정 척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두 말더듬 상황에서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이 높은 직업군은 낮게 추천한 반면,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과 교육 수준 정도가 모두 낮은 직업군은 높게 추천되었다. 또한 의사소통 평정에 있어 실험조건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의미 차이 평정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 추천 정도와 관련해 직업 관련 말하기 요구량 인식 정도는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의사소통 평정은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의미 차이 평정에 있어서도 유의한 수준에서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장애인으로서 말더듬 성인이 직업과 관련해 상당한 역할 제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imarily examine perceptions about occupational suitability made by vocational counselors for adults who stutter and associated factors. A total of 69 vocational counsellors (23 per condition) took part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ordings related to three dif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창성장애란 무엇인가? 유창성장애는 말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을 말하며 말더듬이 대표적이다(Lee, 2010; Van Riper, 1982). 말더듬은 세 가지 관련 행동으로 나누어 정의될 수 있는데(Wingate, 1964), 첫째는 구어 표현에서 나타나는 유창성 단절로 짧은 말의 구성요소 즉, 말소리, 음절, 단어의 불수의적인 반복이나 말소리 연장과 막힘 등의 비운율적 발성이 자주 발생하거나 눈에 띄며 쉽게 통제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말더듬과 취업과의 연관성은 어떠한가? 이러한 ‘말의 문제’로 인해 44%는 말더듬 성인이 비교적 말(능력)이 크게 요구되지 않은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낫다고 답하였다. 152명의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Hurst & Cooper, 1983a)에서도 응답자의 78%가 말더듬이 취업에 실제적인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장애 중 하나라고 답하였다. 더 나아가 232명의 말더듬 성인을 대상으로 한 Klein & Hood(2004)의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70%가 말더듬이 취업이나 승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답하였으며, 40%는 만약 말을 더듬지 않았다면 다른 직업을 선택하였을 것이라고 답하였다.
개인과 사회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말더듬의 관련 행동들로 무엇이 있는가? 유창성장애는 말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을 말하며 말더듬이 대표적이다(Lee, 2010; Van Riper, 1982). 말더듬은 세 가지 관련 행동으로 나누어 정의될 수 있는데(Wingate, 1964), 첫째는 구어 표현에서 나타나는 유창성 단절로 짧은 말의 구성요소 즉, 말소리, 음절, 단어의 불수의적인 반복이나 말소리 연장과 막힘 등의 비운율적 발성이 자주 발생하거나 눈에 띄며 쉽게 통제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둘째로 때때로 말 기관과 연관된 (또는 연관되지 않은) 신체구조가 관여된 부수행동인 일명 탈출행동(예를 들어, 혀로 입술 핥기, 머리를 뒤로 젖히기, 손바닥으로 무릎치기)을 동반하기도 한다. 셋째로 자주 흥분과 긴장된 감정 상태에서부터 부끄러움이나 두려움, 공포와 같은 구체적이고 부정적인 감정 상태가 나타난다. 이러한 관련 행동들로 인한 수치심, 좌절감, 죄의식 등으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생각이나 느낌, 태도를 갖게 되면서 결국 개인과 사회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장애가 바로 말더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loodstein, O., & Bernstein Ratner, N. (2008). A handbook on stuttering (6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2. 10.1016/j.jfludis.2003.09.002 Gabel, R. M., Blood, G. W., Tellis, G. M., & Althouse, M. T. (2004). Measuring role entrapment of people who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9(1), 27-49. 10.1016/j.jfludis.2003.09.002 15026213 

  3. 10.1016/0094-730X(83)90018-9 Hurst, M. A., & Cooper, E. B. (1983a).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8(1), 13-27. 10.1016/0094-730X(83)90018-9 

  4. 10.1016/0094-730X(83)90017-7 Hurst, M. I., & Cooper, E. B. (1983b). Employer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8(1), 1-12. 10.1016/0094-730X(83)90017-7 

  5. 10.1044/1092-4388(2006/048) Ingham, R. J., Warner, A., Byrd, A., & Cotton, J. (2006). Speech effort measurement and stuttering: Investigating the chorus reading effec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9(3), 660-70. 10.1044/1092-4388(2006/048) 

  6. 10.15724/jslhd.2015.24.1.011 Jeon, H. S., & Jeon, H. E. (2015).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clusters in adults who stutter.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24(1), 135-144. 10.15724/jslhd.2015.24.1.011 

  7. Kim, H. H. (1996). Perceptual, acoustical, and physiological tools in ataxic dysarthria management: A case report. Proceedings of the 2nd Conference in The Korean Society of Phonetic Sciences and Speech Technology (pp. 68-71). 

  8. 10.1016/j.jfludis.2004.08.001 Klein, J. F., & Hood, S. B. (2004). The impact of stuttering on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9(4), 255-273. 10.1016/j.jfludis.2004.08.001 15639081 

  9.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5).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Retrieved from https://www.keis.or.kr/user/extra/main/2108/publication/publicationOnlyList/jsp/LayOutPage.do?categoryIdx=125&pubIdx=5191&column=&search=&spage=2#totalList 

  10. Lee, S. W. (2005). Fluency disorders. Seoul: Sigma Press. 

  11. 10.1016/j.jfludis.2011.11.005 Logan, K. J., & O’Connor, E. M. (2012).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advice for speakers who do and do not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7(1), 25-41. 10.1016/j.jfludis.2011.11.005 22325920 

  12. 10.13064/KSSS.2015.7.1.027 Park, J., Oh, S., Jun, J. P., & Kang, J. S. (2015).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on speech-related variables of adults who stutter.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1), 27-37. 10.13064/KSSS.2015.7.1.027 

  13. 10.2466/pms.100.2.421-431 Rami, M. K., Kalinowski, J., Rastatter, M. P., Holbert, D., & Allen, M. (2005). Choral reading with filtered speech: Effect on stuttering.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00(2), 421-431. 10.2466/pms.100.2.421-431 15974353 

  14. Riley, G. (1994). The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for adults and children (SSI-3) (3rd ed.). Austin, TX: PRO-ED. 

  15. Shim, H. S. (2000). A study on stereotypes of the Korean male adults who stutter.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5(1), 1-17. 

  16. Shim, H. S., Shin, M. J., & Lee, E. J. (2010). Paradise Fluency Assessment II (P-FA-I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17.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8. 10.1044/jshd.2904.484 Wingate, M. E. (1964). A standard definition of stuttering. 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29(4), 484-489. 10.1044/jshd.2904.484 14257050 

  19. 10.1044/jshr.1902.267 Woods, C. L., & Williams, D. E. (1976). Traits attributed to stuttering and normally fluent mal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9(2), 267-278. 10.1044/jshr.1902.267 979201 

  20. Yoo, K. S. (2017). Job competency development polic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9(2), 167-174.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