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신부 가마덮개의 특성과 양식 변천
Characteristics of Bridal Palanquin Covers and Changes in Styl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2, 2023년, pp.80 - 98  

박윤미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오준석 ((주)싱크피플)

초록

조선 말기에 혼례를 마치고 신부가 시댁으로 가면서 가마를 타고 가는데 그 때 가마 위에 벽사의 뜻이 담긴 호피를 덮는 풍습이 있었다. 상류층을 중심으로 호피나 표피를 사용했으나 서민들 사이에서는 호랑이무늬를 그린 모포를 덮었다. 그 모포는 호탄자, 호구, 호구욕 등으로 불리었다. 신부 가마덮개가 처음 사용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대략 19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성행하다 점차 사라졌는데 신식혼례의 등장으로 신부의 가마가 필요 없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호랑이무늬 모포는 신부 가마 위에 덮는 것뿐만 아니라 상 위에 덮거나 바닥에 깔기도 하였는데 모두 혼인식에 사용되었다. 호랑이무늬 모포 9점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 겉감과 안감의 경사는 무명실, 위사에는 모사(毛絲)가 사용되었다. 겉감의 위사에 사용된 모사는 2종류인데 중국의 비미종 양모와 중국 허베이성 카펫용 염소모로 밝혀졌다. 러시아에서 '호랑이 그린 무늬의 담요'가 수입되었다는 것과 중국에서 모물을 사들인 후 우리나라에서 깔개를 만들었다는 내용, 그리고 여러 기법의 모깔개를 제작했다는 사료를 고려해보면 중국과 러시아 등지에서 완제품으로 수입하기도 했고 국내에서 생산하기도 했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물 조사한 호랑이무늬 모포 13점의 겉감은 직물의 조직과 실꼬임 방향에 따라 6종류가 있으며 안감은 3종류, 그리고 가선은 4종류로 분류되었다. 안감과 겉감은 한 폭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직물의 폭이 최소 135cm의 광폭으로 직조하였다. 호랑이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은 공판화 기법이다. 빨간색 겉감 위에 호랑이 몸통과 꼬리의 도안을 대고 흰색을 칠한 후 호랑이의 바탕색인 노란색과 얼룩무늬인 갈색, 검은색의 순서로 칠한다. 호랑이무늬는 조금씩 달라서 여러 공방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호탄자의 무늬는 호피처럼 엎드린 상태로 그렸는데 서 있는 자세도 생겨나고 호랑이무늬는 작아지면서 가장자리에 화려한 꽃무늬를 그려 넣었다. 이같이 호탄자는 무늬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는 변천을 겪다가 가마덮개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면서 점차 사라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남아 있는 호랑이무늬 모포 중 수입품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과 당시 유행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여러 생산지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the bride would ride a palanquin when she went to live with her in-laws, it was a custom to cover the palanquin with tiger skin to ward off misfortunes that may come her way. The higher classes used tiger skin or leopard skin for this purpose, but the common people h...

주제어

표/그림 (24)

참고문헌 (32)

  1. 「고려사(高麗史)」 

  2. 「태종실록(太宗實錄)」 

  3.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4. 「일본서기(日本書紀)」 

  5. 경운박물관, 2016, 「조선철을 아시나요 일본에 전래된 조선 카페트」.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독일 함부르크민족학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pp.133, 675. 

  7. 김혜란, 2016, 「우리나라의 깔개와 휘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옥표.이충구 역주, 2014, 「증보사례편람 역주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pp.27~29. 

  9. 박윤미, 2000, 「朝鮮後期 傳統 毛?의 製織에 관한 硏究」, 「아시아民族造形學報」 제1집, pp.141~153. 

  10. 박윤미.오준석, 2018, 「조선 말기 이후 첨모직 깔개에 관한 연구」, 「문화재」 51(4), pp.84~107. 

  11. 박순지.이춘계, 1994, 「고대부터 고려까지 모피물에 관한 고찰」, 「복식」 22, 한국복식학회, pp.193~204. 

  12.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pp.54~59. 

  13. 심연옥, 2016,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을 통해 본 조선시대 카페트의 조형과 표현기법」, 「한국전통문화연구」 18, pp.147~179. 

  14. 오준석, 2005, 「천연섬유와 모피 식별법」, 「천연섬유와 모피 식별 아틀라스」, 국립민속박물관, pp.6~25. 

  15. 이춘계.박순지, 1996, 「조선시대의 피물에 관한 고찰」, 「服飾」 29, pp.197~208. 

  16. 조풍연 해설, 1992, 「사진으로 보는 朝鮮時代 속 생활과 풍속」, 서문당, p.179. 

  17. KOTITI, 2013, 카펫용 양모종, KOTITI Webzine 섬유소재 해설, 13(19). 

  1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자료조사실, 1984, 「(國譯)韓國誌」, 최선, 김병린 공역, 韓國精神文化硏究院. p.150. 

  19. 今村?, 1914, 「朝鮮風俗集 全」, 斯道館, p.60. 

  20. 竹之?一昭, ?村章, 福永重治, 向久保健?, ?森康宏, 2015, 「正倉院?物特別調査 毛材質調査報告」, 「正倉院紀要」, pp.1~112. 

  21. 광주일보 2018년 3월 15일 기사. 

  22. 대한매일신보 1906년 5월 3일 2면 기사. 

  23. 대한매일신보 1908년 12월 11일 1면 기사. 

  24. 대한매일신보 1909년 11월 16일 3면 광고. 

  25. 동아일보 1938년 6월 21일 6면 경제기사. 

  26. 동아일보 1967년 3월 21일 3면 기사. 

  27. 조선일보 1931. 10. 11 4면 기사. 

  28. 조선일보 1936년 1월 12일 2면 경제기사. 

  29.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30.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사전,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 

  31.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검색, https://www.nfm.go.kr. 

  3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