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시 자생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 구조 및 동태
Floristic Composi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ies in Daegu City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2, 2019년, pp.168 - 176  

김준수 (자연과숲연구소) ,  조준희 (자연과숲연구소) ,  김학윤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전공) ,  조현제 (자연과숲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구광역시에 자생하고 있는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과 구조 그리고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8년 7월에 자생 임분 3곳을 선정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외에서 수집된 식생 및 매목조사 정보를 바탕으로 종조성에 의한 군락 유형을 구분하고 그 유형별 계층구조, 구성 종의 상대 중요치, 생활형 조성, 종다양성, 그리고 개체군 구조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군락 유형은 참느릅나무-좀목형아군락, 광대싸리아군락, 그리고 사위질빵군락 등 3개 유형이 구분되고 그 식생단위체계는 1개 군락군, 2개 군락, 그리고 2개 아군락으로 정리되었다. 계층구조는 교목층의 높은 식피율(85% 이상)에 비하여 초본층은 10%이하로 매우 낮은 경향이었다. 구성종의 상대중요치(MIV)는 교목층 94.3, 아교목층 81.6, 관목층 75.5, 그리고 초본층 60.0으로 모든 식생 층위에서 모감주나무가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H')는 군락 유형 간 큰 차이가 있었는데 사위질빵군락(2.062)이 광대싸리아군락(0.547)에 비해 약 4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생활형 조성의 중심체계(휴면형-지하기관형-산포기관형-생육형)는 전체적으로 '$MM-R_5-D_4{\cdot}D_2-e$'로 나타났으나 군락 유형 간에는 산포기관형에 있어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모감주나무군락의 개체군 구조는 3개 군락 유형에서 모두 어린 개체의 밀도가 높고 크기가 큰 개체의 밀도가 낮은 역J자형의 모양을 나타내고 현재의 하층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 중 모감주나무 개체군을 대체할 만한 식물종이 없으므로 지속적 유지가 가능한 개체군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floristic composi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ies, which are native to Daegu, South Korea,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2018 using phytosociological and complete enumeration methods. Based on information on vegetati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시에 자생하는 모감주나무군락을 대상으로 종조성과 구조, 그리고 개체군 특성 등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내륙 하천형 모감주나무군락의 보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 1997). 본 연구는 이런 점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내륙형 모감주나무군락의 체계적 보전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서 모감주나무가 집단으로 자생하고 있는 3개 지소를 선정하여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적 군락유형과 계층구조 그리고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였다. 군락유형 구분종은 참느릅나무, 좀목형, 광대싸리, 사위질빵 등 대부분 암극지의 지표종들이었으며 계층구조는 군락유형간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입지특성상 대개 관목층과 초본층의 식피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군락이란 무엇인가? 식물군락은 동일 장소에서 종의 단위성과 개별성을 가지고 함께 생활하는 식물집단을 가리키는 편의적인 식생단위로서, 그 크기와 범위에 대한 특별한 규정은 없으며, 대개 같은 입지에서는 상관, 구조, 조성 등이 비슷한 군락이 어느 정도 재현성을 갖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생태학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산림생태계의 생물학적 정보를 체계화하거나 생태적 관리 및 보전 계획 수립을 기초 단위로서 널리 활용하고 있다(Bennun et al.
군락유형간 식생층위간 식피율에 있어 크고 작은 차이는 무엇인가? 그 결과 군락유형간 식생층위간 식피율에 있어서는 크고 작은 차이가 있었지만 대개 4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었다. 교목층 식피율은 3개 군락유형 모두 평균 85% 이상으로 아주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목층 이하는 군락유형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내곡동 군락과 검단동 군락의 경우는 초본층의 식피율이 10% 이하로 아주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열악한 입지환경과 아울러 교목층의 높은 식피율에 기인한 피음효과와 인위적 간섭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었다(Lee et al., 1993).
군락유형별로 중요치는 어떠하게 나타났는가? 0으로 나타나 자생지의 물리적 훼손이나 인위적 간섭이 없는 한 모감주나무의 절대적인 우세 경향이 지속될 것으로 생각되었다(Table 2). 군락유형별로는 군락유형 Ⅰ-A-1의 경우 교목층 중요치는 모감주나무가 88.8로 단연 높게 나타났으며, 쉬나무와 가죽나무는 모두 5.6으로 아주 낮게 나타났고, 아교목층 중요치는 모감주나무가 6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까시나무와 팽나무가 모두 19.2로 나타났다. 관목층 중요치는 모감주나무가 76.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좀목형과 참느릅나무가 모두 11.2, 그리고 나머지 종들은 대개 0.5%이하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초본층 중요치는 모감주나무가 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ponen, A., Moilanen, A. and Ferrier, S. 2008. A successful community­level strategy for conservation prioritization. Journal of Applied Ecology 45: 1436-1445. 

  2. Austin, M.P. 1976. On non-linear species response models in ordination. Vegetatio 33: 33-41. 

  3. Ayzik, S. 1997. Red data book of plant communities in the former USSR. Unit of Vegetation Science, Lancaster University. pp. 69. 

  4. Barbour, M.G., Burk, J.H., Pitts, W.D., Gilliam, F.S. and Schwartz, M.W. 1999. Terrestrial plant ecology. 3nd ed. The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mpany. Menlo Park, California, USA, pp. 649. 

  5. Bennun, L., Brooks, T.M., Darwall, W., Fishpool, L.D.C., Foster, M., Knox, D., Langhammer, P., Matiku, P., Radford, E., Salaman, P., Sechrest, W., Smith, M.L., Spector, S. and Tordoff, A. 2004. Key Biodiversity Areas as Site Conservation Targets. BioScience 54(12): 1110-1118. 

  6. Berg, C. Abdank, A., Isermann, M., Jansen, F., Timmermann, T. and Dengler, J. 2014. Red Lists and conservation prioritization of plant communities - a methodological framework. Applied Vegetation Science 17 : 504-515. 

  7. Braun-Blanquet, J. 1964. Pflanw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USA, pp. 865. 

  8.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Iowa, USA, pp. 288. 

  9. California Native Plant Society. 2011. Guidelines for Mapping Rare Vegetation. pp. 8. 

  10. Cho, K.T., Kim, H.K., Sung, C.H. and You, Y.H. 2017. Customize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hrough the Actual Conditions Survey of Natural Monuments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Proceedings of the 2017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2): 86. 

  11. Curtis, J.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12.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Ulmer, Stuttgart. pp. 136. 

  13. Hill, M.O. 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N.Y.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USA. pp. 50. 

  14. Kim, H.J., Lee, Y.H., Jung, M.Y. and Kim, T.S. 2009. Management Guidelines and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Anmyeondo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Proceedings of the 2009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2): 40-44. 

  15. Kim, J.H., Park, J.M., Jung, K.S. and Ri, C.U. 2005. DECORANA and TWINSPAN Aided Analysis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1): 9-18. 

  16. Korea Forest Service. 2018.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kpni/index.do.(2019.2.6.)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Climatological data. http://www.kma.go.kr (2018. 2.). 

  18.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19. Lee, C.S., Kim, H.E., park, H.S., Kang, S.J. and Cho, H.J. 1993. Structure and Maintenance Mechanism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Korean Journal of Ecological Sciences 16(4): 377-395. 

  20. Lee, S.W., Kim, S.C., Kim, W.W., Han, S.D. and Yim, K.B. 1997.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vegetation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populations of a rare tree species,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Journal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86(2): 167-176. 

  21. Mu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Jersey, USA. pp. 547. 

  22. NACS-J and WWF Japan 1996. Red Data Book of Plant Communities in Japan. Abokkusha, Yokohama. pp. 1344.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23. Numata, M. 1947. Ecological judgement of grassland condition and trend: I. Judgement by biological spectra. Grassland Science 11: 20-33 (in Japanese with English summary). 

  24. Paal, J. 1998. Rare and threatened plant communities of Estonia. Biodivers. Conservation 41: 11-37. 

  25. Raunkiaer, C., Egerton, F. N., Gilbert, C. H. and Fausboll.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Clarendon Press, Oxford. 632 pp. 

  26. Ren, H., Zhang, Q., Lu, H., Liu, H., Guo, Q., Wang, J., Jian, S. and Bao, H. 2012. Wild Plant Species with Extremely Small Populations Requir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in China. AMBIO 41: 913-917. 

  27. Riecken, U., Finck, P., Raths, U., Schroder, E. and Ssymank, A. 2009. German Red Data Book on endangered habitats (short version). Federal Agency for Nature Conservation. pp. 17. 

  28.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Illinois, USA. pp. 144. 

  29. Son, S.G., Shin, C.H., Lee, J.J., Yoo, S.K., Kim, G,C. and Byun, K.O. 1999. Survey the inland natural growth population of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 with Woraksan as the central figure -. Proceedings of the 1999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1999: 118-121. 

  30. Song, H.K., Park, G.S., Lee, M.J. and Ji, Y.U. 2000. The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in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ies of Anmyondo and Gunhung-Myon, Taean-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1): 69-75. 

  31. Vermont Agency of Natural Resources. 2004. Guidelines for the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State-Significant Natural Communities. Guidelines by ANR Lands Stewardship Team. pp. 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