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나무(Abies holophylla), 일본 전나무(A. firma, A. homolepis), 그리고 법정 보호 전나무의 잎 형태적 특성 및 엽록체 DNA 분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 Leaves and Analysis of Abies species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2, 2019년, pp.200 - 207  

안창호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최용의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한정연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곽유신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김세창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박찬우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전나무(Abies holophylla) 및 2종의 일본 전나무(A. firma 및 A. homolepis), 그리고 우리나라 법정 보호 전나무 간의 구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각 조사대상목의 잎 끝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A. holophylla는 뾰족한 형태를 보였고, 반면에 A. firma와 A. homolepis는 미요두(微凹頭) 형태를 보였다. 그리고 법정 보호 전나무의 잎 끝은 원두(圓頭) 형태를 보였다. 각각 전나무 종들 간의 잎 기공수를 비교한 결과, A. holophylla와 A. firma의 잎 기공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A. homolepis와 법정 보호 전나무의 잎 기공수는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였다. 엽록체 DNA 바코드(matK, atpF-atpH, rpoC2-rps2, rpoC1, psbA-trnH)를 이용하여 전나무 종간 유전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atpF-atpH와 psbA-trnH 영역에서 A. firma와 다른 전나무 종들 간의 분명한 염기서열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종명이 분명히 다른 한국 전나무(A. holophylla)와 일본 전나무(A. homolepis)간에 엽록체 염기 서열차이가 전혀 없으며, 또한 법정 보호 전나무와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들 종간의 유전적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identify Korean fir (Abies holophylla), momi fir (A. firma), and Nikko fir (A. homolepis), and other fir trees planted in South Korea that are protected by law.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edles from 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omolepis)의 유전적 차이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 종 동정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엽록체 DNA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전나무(A. holophylla) 및 일본 전나무 2종(A. firma 및 A. homolepis), 그리고 법정 보호 전나무의 수종 동정에도 유효한지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들 수종간 잎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여 엽록체 DNA 염기서열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나무 속의 분포 및 분화 특징은? 전나무 속(Abies)은 지리적으로 전 세계의 북반구에 약 48여 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으로 분화되어 있다(Lee, 1987). 우리나라에는 한국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구상나무(A.
A. holophylla 보존이 중요한 이유는? 하지만, A. holophylla는 IUCN(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적색목록 기준에 근거하여 ‘Near threatened’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멸종위기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유전자원에 대한 보존이 요구되는 수종이다(Katsuki et al., 2013).
본 연구의 결과로 한국 전나무의 엽록체 DNA 분석 결과는? homolepis는 구별할 수 없었다. 아울러, 엽록체 DNA 분석 결과 A. holophylla와 A. firma의 염기서열의 분명한 차이를 보였고, A. firma와 A. homolepis 간의 차이도 분명하였다. 전나무종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잎의 형태적 특성보다 엽록체 DNA 분석방법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A. holophylla, A. homolepis, 그리고 법정 보호 전나무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이 모두 일치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C.H., Kim, Y.S., Lim, S., Yi J.S. and Choi, Y.E. 2011.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and RAPD-derived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s (SCAR) marker development to identify Chinese and Korean ginseng.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5(18): 4487-4492. 

  2. Ahn, J.K. 1997. Needle characteristics and genetic variation of Abies holophylla popul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Isozyme.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 CBOL Plant Working Group. 2009. A DNA barcode for land plants. Proc Natl Acad Sci USA 106:12794-12797 

  4. Cho, H.J., Bae, K.H., Lee, C.S. and Lee, C.H.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vegetation of the Subalpine area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5): 372-379. 

  5. Cho, H.J., Bae. G.H., Park, S.G. and Lee, S.W. 2013. Korea Big Tree. Daejeon. Korea Green Promotion Agency. pp. 447. 

  6. Dorken, V.M. and Nimsch, H. 2018. A monograph of leaf characters in the genus Abies (Abietiodae, Pinaceae). Verlag Kessel, Germany. 

  7.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992. Illustrated woody plants of Korea. pp. 562. 

  8. Ghimire, B., Lee, C., Yang, J. and Heo, K. 2015. Comparative leaf anatomy of some species of Abies and Picea (Pinaceae). Acta Botanica Brasilica 29(3): 346-353. 

  9. Higgins, D.G., Bleasby, A.J. and Fuchs, R. 1992. CLUSTAL V: improved software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Computer applications in the biosciences 8(2): 189-191. 

  10. Kim, I.S. and Hyun, J.O. 1999. Genetic variation in the natural population of Abies holophylla Max. based on RAPD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3): 408-418. 

  11. Kim, S.H., Lee, S.Y., Cho, S.M., Hong, C.Y., Park, M.J. and Choi I.G. 2016. Evaluation on Anti-fungal Activity and Synergy Effects of Essential Oil and Their Constituents from Abies holophyll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3-123. 

  12. Kim, Y.M., Hong, K.N., Lee, J.W. and Yang, B.H. 2014. Genetic variation of Abies holophylla popul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ISSR marke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2): 182-188. 

  13. Kormutak, A., Vookova, B., Ziegenhagen, B., Kwon, H.Y. and Hong, Y.P. 2004. Chloroplast DNA variation in some representatives of the Asian, North American and mediterranean Firs (Abies spp). Silvae Genetica 53(3): 99-104. 

  14. Lacourse, T., Beer, K.W. and Hoffman, E.H. 2016. Identification of conifer stomata in pollen samples from western North America.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232: 140-150. 

  15. Lee, S.W., Yang, B.H., Han, S.D., Song, J.H. and Lee, J.J. 2008. Genetic varia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Abies nephrolepis Max. in South Korea. Annual Forest Science 65(302): 1-7. 

  16. Lee, T.B. 1987. Dendrology. Hyangmoon Pub. Co. Seoul. Korea. pp. 331. 

  17. Lee, J.H. and Hong, S.K.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Abies holophylla and Abies koreana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Abies holophylla and Abies koreana.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9(4): 372-377. 

  18. Li, W., Chen, C., Bai, G., Li, B., Chen, H., Zhou, Y. and Li, S. 2018.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Abies chensiensis (Pinaceae: Abietoideae), an endangered species endemic to China. Mitochondrial DNA. 3(2): 984-985. 

  19. Park, C.W., Jeong, M.A. and Lee, Y.H. 2015. A Study on Reasons for Planting Abies holophylla by Imperial Japan in Korean templ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4): 50-61. 

  20. Park, C.W., Jeong, M.A. and Lee, Y.H. 2017. The Study on Abies holophylla by Japan and Korea in temple, public sites and the historic sites for Anti-Japan Fighter.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1): 87-99. 

  21. Parks, M., Cronn, R. and Liston, A. 2009. Increasing phylogenetic resolution at low taxonomic levels using massively parallel sequencing of chloroplast genomes. BMC Biology. 7:84. 

  22. Semerikova, S.A. and Semerikov, V.L. 2014.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genus Abies (Pinaceae)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chloroplast DNA. Russian Journal of Genetics. 50: 7-19. 

  23. Shao, Y.Z., Hu, J.T., Fan, P.Z., Liu, Y.Y. and Wang, Y.H. 2018.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Abies beshanzuensis, a highly endangered fir species from south China. 3(2): 921-922. 

  24. Suyama, Y., Yoshimaru, H. and Tsumura, Y. 2000. Molecular phylogenetic position of Japanese Abies (Pin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6: 271-277. 

  25. Uehara, K.N. 1959. An Arboretum Dictionary. Ariakeshowbou. pp. 1300. 

  26. Yi, D.K., Choi, K., Joo, M., Yang, J.C., Mustafina, F.U., Han, J.S., Son, D.C., Chang, K.S., Shin, C.H. and Lee, Y.M. 2016.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Abies nephrolepis (Pinaceae: Abietoideae).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9: 245-249. 

  27. Yi, D.K., Yang, J.C., So, S., Joo, M., Kim, D.K., Shin, C.H., Lee, Y.M. and Choi, K. 2016. The complete plastid genome sequence of Abies koreana (Pinaceae: Abietoideae). Mitochondrial DNA. 27(4): 2351-2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