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릉 전나무 식재기록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lanting Records of Needle Fir in Gwangneung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2, 2019년, pp.11 - 19  

김은경 (국립수목원) ,  이해주 (국립수목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문헌을 통하여 광릉 전나무 식재의 사적 근거를 밝히고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일성록(日省錄)" 등의 식재기록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와 산림생태조사 및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현재 광릉 전나무의 수령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능제는 가장 보수적인 체제로 광릉 조성 과정 중 식재는 전례에 따라 이루어졌을 것이다. 건원릉을 시작으로 능침수목 식재기록을 통하여 소나무, 잣나무, 버드나무가 식재되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선후기 능침 작벌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조 22년 무오년 수교가 반포되었으며, 이후 봄 가을로 정기 식재가 이루어졌다. 정조 23년 기록을 통하여 조성 및 관리 연한이 오래된 9개 능을 대상으로 식재 주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광릉에는 잣나무와 잡목이 식재되었다. 셋째, 무오년 수교가 고종 치세 31년간 지켜지고 있으며, 예조별단을 통해 구체적인 식재 수종, 식재 장소, 식재 주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종 22년부터 25년까지 4년간 광릉에는 지속적으로 전나무가 식재되었으며 잣나무를 식재한 곳은 광릉이 유일하였다. 넷째,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수령 파악이 가능했으며, 현존 광릉 전나무 식재 시기는 철종 10년 이후부터 고종 연간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records of planting time of Gwangneung needle firs referring to the historical literatures, the A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Seungjeongwonilgi(承政院日記: Journal of the Royal Secretaria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광릉 관리 과정에서 전나무 식재에 관련된 기록을 고찰을 통하여 개별 왕릉 수목 연구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선왕릉의 역사경관림 관리에 사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나무란 무엇인가? 전나무(Abies holophylla)는 소나무과(Pinaceae) 전나무속 (Abies)에 속하는 침엽수로서 해발 1,000~1,400m 심산의 산 중턱, 산기슭 및 산골짜기의 비옥한 땅에 분포하는 상록 침엽교목으로 도시의 풍치수 및 가로수로 널리 식재되고 있다[1][2].
광릉의 위치와 면적은? 광릉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 부평리 산 99-2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040,399m2 로[23], 1468년 조성된 세조의 능과 1483년 승하한 정희왕후의 능침(陵寢)을 말한다. 광릉을 포함 한 주변 지역은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광릉은 핵심지역에 해당한다.
광릉 조성 과정에서 다른 능과의 차이점은? 고종 치세 동안 봄·가을 식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고종 22년부터 25년까지 예조별단의 내용을 통해 살펴보았다. 광릉 은 다른 능과 달리 수목 희소처 외에 특정 장소에 대한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식재수종으로는 소나무가 아닌 전나무, 잣나무였다. 구체적인 장소와 수종 지정을 통하여 지속적인 식재가 이어져 전나무, 잣나무의 후계목 또한 서식 가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