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각(Codium fragile)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
Quality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odium fragile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2 no.3, 2019년, pp.224 - 231  

전은비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최만석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박신영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tioxida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10, 20, and 30% Codium fragile (Cf) during an 8-day fermentation period. The pH and acidity on day 0 were lower in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f (pH 3.55-3.65, acid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석류(Kim and Eun, 2012), 블루베리(Jeon and Lee, 2011) 등을 첨가하여 다양한 과채류의 막걸리가 연구되고 있는 반면에 해조류 등의 수산물을 이용한 막걸리의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막걸리의 풍미와 항산화 기능성을 더하기 위하여 청각을 비율별로 첨가하여 고유한 향미가 잘 배합된 막걸리를 제조하여 막걸리의 발효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주류로서 찹쌀과 맵쌀,고구마, 밀가루 등을 쪄서 전분질을 원료로 하고 발효제인 누룩과 물을 혼합하여 만드는 술이다. 막걸리의 명칭은 쌀과 누룩으로 빚어 그대로 막 걸러내어 만들었다 하여 붙어진 이름이며(Kim et al.
청각 추출물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 김치 맛을 돋우는 해조로 소개되어 있으며 고서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미루어 보아 오래 전부터 청각을 식용으로 이용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청각 추출물의 아크릴산(acrylic acid)은 유해균만을 억제하는 특이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베타카로틴(Kim et al., 2018) 함량이 풍부하여 암세포를 억제하고 면역작용의 증가, 항 응고 활성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작용, 구충성분이 있어 예전에는 회충약으로 쓰이기도 하였으며, 해열, 해독, 면역 활성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여러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유용 해조이다(Kim et al., 2006).
막걸리의 임상적 효능은 무엇인가? 또한 막걸리는 각종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활성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필요한 소화 효소 및 무기물을 원활하게 공급해준다. 특히 간 기능을 도와주는 acetylcholine과 필수아미노산 및 단백질, 비타민B등의 영양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알코올 함량이 낮아 인체에 부담이 없고 적당량을 섭취할 경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Shin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HK, Lee JY, Seo WT, Kim MK and Cho K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28-735. https://doi.org/10.9721/kjfst.2012.44.6.728. 

  2. Choi KW, Lee JK, Jo HJ, Lee KJ, Yoon JA, An JH and Chung KH.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lli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Lindley). J Korea Soc Food Sci Nutr 42, 975-982. https://doi.org/10.3746/jkfn.2013.42.6.975. 

  3. Jang DB. 2014. Isola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lcohol-tolerant Pediococcus aciilactict K3 and its application for Makgeolli. Master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https://doi.org/10.4014/kjmb.1308.08001. 

  4. Jeon MH and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5. Jeong JW, Park KJ, Kim MH and Kim D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 13, 329-336. 

  6. Jin TY, Lee WG, Lee IS and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ol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1-206. 

  7. Kang DH, Park EM, Kim JH, Yang JW, Kim JH and Kim MY. 2016.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J Life Sci 26, 1074-1081. https://doi.org/10.5352/jls.2016.26.9.1074. 

  8. Kang MS. 2017. Effect of Codium fragile and Enteromorpha linza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skin whitening. Master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9. Kim BH and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https://doi.org/10.9721/kjfst.2012.44.4.417. 

  10. Kim CA, Lee WG, Lee IS and Wang MH. 2008. Changes of phyt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 of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01-206. 

  11. Kim MS, Kim KM, Han DH, Ko KW and Kim SY. 2018. Antibacterial activity and other functions of Codium fragile and Chaenomeles sinensis extracts by extraction method.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33, 89-94. https://doi.org/10.7841/ksbbj.2018.33.2.89. 

  12. Kim SG, Kim EK, Yoon SG, Jo NJ, Jung SK, Kwon S, Chang YH and Jeong YH. 2011.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23-228. https://doi.org/10.3746/pnf.2013.18.3.203. 

  13. Kim YJ, Jung IS, Choi IS, Gal SW and Choi YJ. 2006.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from Codium fragile. J Life Sci 16, 788-793. https://doi.org/10.5352/jls.2006.16.5.788. 

  14. Lee DH, Kim JH and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Nutr 22, 606-611. 

  15. Lee DH, Park WJ, Lee BC, Lee JC, Lee DH and Lee JS. 2005.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9-794. 

  16.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HS, Hong SY and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https://doi.org/10.9721/kjfst.2011.43.2.206. 

  17. Molyneux P. 2004. The us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 (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6, 211-219. 

  18. Park BH and Cho HS. 2005. Effect of glue plant(Codium Fragil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ture 20, 508-515. 

  19. Park CS and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20. Park MJ, Kim HK, Choi KK, Koo BY and Lee SK. 2016.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aronia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27-35. https://doi.org/10.9721/kjfst.2016.48.1.27. 

  21. NTS (National Tax Service). 2010. Analysis of alcoholic beverages. NTS, Seoul, Korea. 40. 

  22. Shin JH, Choi DJ and Sung NJ. 2004. Nutritional properties of Yakju brewed with natural plants. Korean J Food Nutr 17, 18-24. 

  23. Shin MO, Kim MH and Bae SJ. 2010. The effect of Makgeolli on blood flow, serum lipid improvement and inhibition of ACE in vitro. J Life Sci 20, 710-716. https://doi.org/10.5352/jls.2010.20.5.710. 

  24. Yang HS and Eun JB. 2011.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38-445. https://doi.org/10.9721/kjfst.2011.43.4.4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