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박승무원 선내작업 안전보건활동 기초 실태조사
A Basic Survey on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ivities of Seafarer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5 no.4, 2019년, pp.448 - 456  

김재호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초록

본 연구는 선원들의 안전보건활동 실태조사를 통하여 선내 재해예방과 안전보건활동 대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6개월 이내 승선경험이 있는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원들의 안전보건활동 수준은 평균 68.82점이었으며, 작업장 정리정돈이 76.08점으로 가장 높았고, 안전보건관리체계가 62.78점으로 가장 낮았다. 안전보건활동 수준 차이 검증결과 해상직원이 육상직원보다 높았고, 고학력자가 저학력자에 비해 높았다(p<0.01). 외항이 내항보다 높았으며, 특수화물선이 다른 선종보다 높았다(p<0.01). 선박의 크기는 대형선이 소형선에 비해 높았으며, 선령이 5년 미만 선박종사자에서 가장 높았다(p<0.01). 따라서 선원의 안전보건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개인 및 직무특성과 선박의 특성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안전보건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선내 안전보건활동의 활성화 등 선원들의 재해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선내 안전보건 활동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shipboard disaster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and health of seafarers by using a survey on the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of seafarer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37 people who have worked on a ship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선박내의 장비와 설비를 운용하고, 노동을 수행하는 선박승무원에게 안전보건활동 수준이 낮으면 선박에서 안전사고는 줄어 들 수 없기 때문에 선원 들의 안전보건관련 활동수준을 향상시키는 일은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원들을 대상으로 산업재해 예방 측면에서 선박승무원들의 안전보건활동 실태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선내 재해본질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선내 재해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안전보건교육 방법과 선내 작업장 안전보건 향상 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원들의 안전보건활동 실태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선내 안전보건교육 방법과 선내 안전보건 대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조사대상자는 선원재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수강하는 선원들 가운데 최근 6개월 이내 승선경력이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 이상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재해 예방을 위한 선원들의 안전보건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 중 가장 기초적이고 효과적인 안전보건교육을 비롯한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선박승원무원들의 해상노동 가운데 직면하게 되는 위험과 재해는 자연력에 의한 것과 선원 자신의 미숙련 또는 실수에 기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선박의 작업에 발생되는 각종 재해는 인명과 재산에 대한 직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경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해상안전의 1차적 목적은 인명과 재산의 보호에 있으며, 이러한 안전도의 향상은 사업주에게도 직접적이 이익이 된다고 할 것이다.
  • 선박의 작업에 발생되는 각종 재해는 인명과 재산에 대한 직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경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해상안전의 1차적 목적은 인명과 재산의 보호에 있으며, 이러한 안전도의 향상은 사업주에게도 직접적이 이익이 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의 재해선원 지원체계구축 연구(KOSWEC, 2017)에 따르면 선박승무원의 재해 발생 현황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4년 3731건을 정점으로 2015년 3132건, 2016년 2611건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박의 작업에 발생되는각종 재해로 인해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선박승원무원들의 해상노동 가운데 직면하게 되는 위험과 재해는 자연력에 의한 것과 선원 자신의 미숙련 또는 실수에 기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선박의 작업에 발생되는각종 재해는 인명과 재산에 대한 직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경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해상안전의 1차적 목적은인명과 재산의 보호에 있으며, 이러한 안전도의 향상은 사업주에게도 직접적이 이익이 된다고 할 것이다.
선원의 안전보건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01). 따라서 선원의 안전보건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개인 및 직무특성과 선박의 특성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안전보건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선내 안전보건활동의 활성화 등 선원들의 재해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선내 안전보건 활동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사업주의 안전보건경영활동 수준이 사업장의 안전보건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연구(Kim, 2016; Lee, 2011)에서 사업장의 안전보건수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 사업주의 안전보건경영활동 수준이라고 주장 한바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근로자들이 사업주의 일반적이 안전보건경영활동 수준에 의해매우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경영층이 안전보건활동 가치를 최우선으로 인식하고 선사나 선박내에 널리 안전보건활동을 우선적인 가치로 선언하는 것을 선두로 하여 관리 감독자들이 사업장에 그 방침을 확대및 보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H. Y. (2013),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System for Shipping Company by Imitation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x26; Safety, Vol. 19, No. 4, pp. 366-374. 

  2. Kim, K. M. (2016), Factors Effect on Safety Culture Activities in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Focus on 2012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Trends Survey, graduate school public health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3. Kim, K. S. and K. Y. Lee (2014), The Comparison of Activitie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mong Sub-Sectors of Manufacturing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5, pp. 136-145. 

  4. Kim, W. B. and N. G. Seo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Safety Culture between Foreign Corporations and Domestic Corporations, Korea Occupational Safety &#xFF06; Health Agency Research report, p. 21, p. 126. 

  5. KOSHA (2012), Statistics Resources, Korea occupational safety &#x26; health agency. 

  6. KOSWEC (2017), Statistics Resources, Korea Seafare’s Welfare &#x26; Employed Center. 

  7. Lee, K. J. and K. S. Song (2013),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x26; Science, Vol. 15, No. 3, pp. 71-81. 

  8. Lee, K. Y. (2011), The effect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on perception of the Level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Korean manufacturing enterprises, Korea Social Polucy Review, Vol. 18, No. 4, pp. 79-111. 

  9. Lee, M. S. and K. O. Park (2006), Workplace safety education and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32, No. 1, pp. 75-83. 

  10. Lee, O. Y. (2001), Investigation of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for reduction of marine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of Seafar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Marine Forum, pp. 251-287. 

  11. MEL (2017), Statistics Resource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2. MOF (2017), Statistics Resource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3. Nam, K. M.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ments of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Establishments, Dept. of Safet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4. Shin, S. M. , Y. U. Lee, J. W. Kim, H. I. Jung and H. S. Lim (2017),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Field Work ability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Research report, pp. 8-9. 

  15. Song, J. S. , H. S. Choi, J. C. Seo, Y. Kwak, Y. S. Park, S. A. Kim and Y. Y. Yoon (2005), The Present St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Prevention on East Side of Korea Fis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Engineering, Vol. 8, No. 2, pp. 78-82. 

  16. Uh, K. G. , W. M. Gal, S. H. Lee, M. S. Lee, S. K. Kim and K. H. Cho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Safety and Health Culture, Korea occupational safety &#x26; health agency. 

  17. Yoo, S. I. and Y. S. Kim (2000),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Korea and Survey on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of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Vol. 20, No. 1, pp. 451-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