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년 전후 임용자의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핵심역량별 교육 필요도 및 세부주제별 교육필요도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Core Competency and Job Training Needs of New Employees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Appointed before 2008 and after 2009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4 no.2, 2019년, pp.38 - 46  

서인주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needs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before 2008 and after 2009. Methods: For the final analysis data on 1,905 public health centers and 1,521 public health practitioners were analyzed. The chi-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기준으로 1,905개 보건진료소에 근무하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2008년 이전 임용자와 2009년 이후 임용자의 현재와 향후 보건진료소 기능에 대한 인식과 향후 신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핵심 역량 교육필요도와 신규 직무교육의 필요도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그러나 기존 보건진료 전담공무원들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신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직무교육 내용이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9], 2009년 전후 임용자 기준으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핵심역량별 교육 필요도 및 세부주제별 교육필요도 비교 연구로 신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핵심 역량과 역량 강화를 위한 세부교육내용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는 관할 지역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역할 수행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진료소 도입으로 나타난 효과는? 보건진료소는 우리나라 일차보건의료의 시발점으로 의료 접근성이 어려운 농어촌 지역의 주민들의 의료전문가로 지역의 유일한 의료기관 역할을 담당해 왔다[1]. 보건진료소가 도입되었던 1981년에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 배치된 지역과 미배치 지역 간에 의료이용의 차이가 없었으나, 1990년대 들어 보건진료소가 배치된 지역 주민은 미배치 지역주민보다 의료 이용이 감소하였고, 홍역 등 예방접종률이 높고 나타나는 등 건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2]. 주민들은 진단, 치료 예방접종 이유로 보건진료소 방문 경험이 63%로 다른 지역보건의료기관 이용률에 비해 높은 이용률을 보임에 따라[2], 민간의료기관이 증가하는 의료환경 변화 속에서도 일차진료제공자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했다고 한다[3].
보건진료소의 기능 개편과 역할이 요구되는 이유는? 그러나 1981년부터 무의촌 지역의 일차보건의료서비스를 담당해온지 38년이 되는 보건진료소는 많은 경제, 사회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보건의료분야의 많은 변화로 보건진료소의 기능 개편과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4]. 이는 농어촌 지역이 도농복합 지역으로 전환되면서 인구 증가와 함께 다수의 민간의료기관이 진입한 지역으로 변화되거나, 농어촌 인접 지역에 민간의료기 관의 진출, 교통수단의 발달로 민간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과거에 비하여 크게 향상되었다[4]. 2016년 보건소 담당자를 대상으로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의 교통 발달 수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53.
보건진료소의 역할은? 보건진료소는 우리나라 일차보건의료의 시발점으로 의료 접근성이 어려운 농어촌 지역의 주민들의 의료전문가로 지역의 유일한 의료기관 역할을 담당해 왔다[1]. 보건진료소가 도입되었던 1981년에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이 배치된 지역과 미배치 지역 간에 의료이용의 차이가 없었으나, 1990년대 들어 보건진료소가 배치된 지역 주민은 미배치 지역주민보다 의료 이용이 감소하였고, 홍역 등 예방접종률이 높고 나타나는 등 건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춘미, 전경자. 보건진료원들이 지각하는 보건진료소 30년간의 활동경험과 성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2;23(1): 51-62.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1.51 

  2. 김창엽. 일차보건의료와 보건진료원제도. 1st ed.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417 p. 

  3. 김재용. 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공중보건의사 활용방안 개발. 건강증진기금 용역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1. 보고서 번호.: 2001-29. 

  4. 김태일, 김재일. 보건진료소 기능 개편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2):185-206. 

  5. 곽찬영, 임은실, 이경아, 김아린. 보건진료소 기능 재정립 및 건강증진사업 강화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16. 보고서 번호: 11-1352000-001831-01. 

  6. 임은실, 이경아, 김아린, 정수용. 보건진료소 건강증진사업 표준매뉴얼 및 전담공무원 직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18. 

  7. 양숙자, 신영학, 윤영희, 김지희, 안창영, 김점자 등. 보건분야 공무원 교육훈련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3):533-545. 

  8. 통계청. 2016년 농림어업조사 보고서Internet]. 대전: 한국 통계청. 2017[cited 2019 May 6].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 

  9. 김현경, 은영, 전경자, 소애영, 김희걸, 엄미란 등. 신규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인식한 직무역량과 교육요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4;25(2):85-96.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2.85 

  10. 보건진료원회. 보건진료원 30년. 대구: 말과글; 2011. 

  11. 정규숙. 간호사 국시 남자 합격자 2천명 시대 진입 올해 2134명 합격. 남자간호사 총 1만2676명. 간호신문. 2017. 02.10. 

  12. 보건진료소회. 연간 통계. 서울: 보건진료소회. 2007. 47 p. 

  13. 이상연. 대한민국 공무원 평균 스펙은?…평균연령 43세. 법률저널. 2019. 2. 27. 

  14. Hamrio AB. Role and policy of advanced practice nurse. 1st ed. Seoul: Hyunmoonsa; 2005. 615 p. 

  15.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Role and core competencies of nurse practitioners [Internet]. Seoul: Korea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3[cited 2019 December 7]. Available from: http://kabon.or.kr/kabon04/index03.php. 

  16. 윤석옥, 박정한, 정문숙. 보건진료원의 정규직화 전과 후의 보건진료원 활동 및 보건진료소 관리운영체계의 비교분석. 대한보건연구. 1994;20(1):70-92 

  17. 박정인.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직무분석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2014. 165 p. 

  18. American Academy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Family Nurse Practitioner (FNP). Austin: American Academy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2019[cited 2019 December 7]. Available from: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http://www.aanpcert.org/certs/fnp. 

  19. The council on linkages between academia and public health practice (2014). Core competencies for public health professionals, 2014.06. Available from: http://phf.org/corecompetencie. 

  20. The University of Iowa. DNP - Plans of Study. Iowa City: The University of Iowa. 2019[cited 2019 December 7]. Available from: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Certification Board, https://nursing.uiowa.edu/academic-programs/dnp/pla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