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대응 현황과 지식, 태도, 지지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Response to COVID-19, Knowledge, Attitudes, and Support of Local Public Health Care Practitioners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5 no.2, 2020년, pp.57 - 65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서인주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순구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status of dispatch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health care in response to COVID-19 according to location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the practitioners' knowledge, attitude and support related to COVID-19. Methods: Among the 193 practitioners surv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궁극적으로 코로나 19 대응 업무로 인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기존 보건진료소 운영 형태 및 서비스 제공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 재난안전관리체계 내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역할을검토하고자 한다.
  • 그러나 코로나 19 집단 발병 시 재난의료 전문 인력으로 공공보건 분야의 역할을 새롭게 담당함에 따라, 이로 인해 기존 보건진료소 업무는 코로나 19 감염병 대응 업무로 업무 공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지역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대응 현황, 지식, 태도 및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에 대한 지자체의 지원을 파악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코로나 19 대응 업무로 파견(출장) 경험이 있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근무 지역에 따른 코로나 19 대응 업무 수행시 지지도, 지식, 태도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설문지는 코로나 19라는 신종 감염병 출현으로 보건진료소 및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경험과 대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코로나 19 업무 대응을 위해 파견(출장) 경험이 있는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5명의 일대일 면담을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보건진료소장회와 농촌간호학회전문가 5명의 자문을 통하여 수정한 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거쳐, 삭제, 수정으로 최종 설문을 완성하였다.
  • 강화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중앙정부 외에 주민과 가까운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신종 감염병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의 확산을 저지하며, 주민의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민의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일차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보건소 업무 중 감염병 관리, 방역체계 관리, 현장업무 대응 등에 충분한 인력이 투입되도록 업무조정이 필요하며 정규인력의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감염병 예방관리 교육과 훈련을 체계화 ․ 지속화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홍채은. 재난관리 관점에서의 감염병 관련 소비자정책 대응과제. 소비자정책 동향. 2020;103:1-22. 

  2. 이경아, 임은실, 고영, 박일수. 코로나 19 대응 경과 정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20 11. 

  3. 현정희. 신종감염병 유행과 감염병 위기대응체계 구축. 한국건강증진개발원 Weekly Issue. 2017;21:1-8. 

  4. 나백주, 김동현. 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지방의료원과 보건소 중심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선진화 방안.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58(8):700-705. 

  5. Chapman K, Arbon P. Are nurses ready? disaster preparedness in the acute setting.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2008;11(3):135-144. 

  6.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Retrieved from Geneva Switzerland; 2009. 

  7. 한숙정, 조정민, 이영란, 천지영. Disaster preparedness of community health nurses. Crisisonomy. 2019;15(5):1-12.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9.15.5.1 

  8. 이정우. 국가트라우마센터 조사결과, 의료진 성취감 높지만 자살위험성 158명. The Public. 2020.09.30. 

  9. 김영신. 지역 보건진료소의 복지와 역할. 보건이슈 & 칼럼. 2017. 

  10. Halcomb E, Mclnnes S, Williams A, Ashley C, Jamnes S, Frenandez R et al. The experiences of primary healthcare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ustrali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20;52(5):1-11. https://doi.org/10.1111/jnu.12589 

  11. Park PG, Kim CH, Heo Y, Kim TS, Park CW, Kim CH. Out-of-hospital cohort treatment of Coronavirus disease 2019 patients with mild symptoms in Korea: An Experience from a Single Community Treatment Center.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0;35(13):1-6. https://doi.org/10.3346/jkms.2020.35.e140 

  12. 질병관리청. COVID-19 국내현황[Internet]. 오송: 질병관리청. 2020 [cited 2020 November 8]. Available from: https://corona-out.netlify.app/ 

  13. 엄대현, 김장섭, 이해우, 이소희. 메르스의 유행이 의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확진자 발생 병원 근무 여부, 메르스 진료 참여 여부에 따른 비교.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7;56 (1):28-34. https://doi.org/10.4306/jknpa.2017.56.1.28 

  14. Bernard H, Fischer R, Mikolajczyk RT, Kretzschmar M, Wildner M. Nurses' contacts and potential for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2009; 15(9):1438-1444. 

  15. Corley A, Hammond NE, Fraser JF. The experiences of health care workers employed in an Australian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H1N1 Influenza pandemic of 2009: A phenomenolog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7(5):577-585. 

  16. Choi SO, Cho KW.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the prevention and response to MERS after the 2015 and 2018 MERS outbreaks. Crisisonomy. 2019;15(1):149-177.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9.15.1.149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015 MERS outbreak in the Republic of Korea: Learning from MERS. 

  18. 구효훈.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에 투입된 간호사 피로도 요인-메르스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2017. 66 p. 

  19. Choi SO, Cho KW. Reforming national response governance for prevention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us diseases after the 2015 MERS outbreak in Korea. Crisisonomy. 2017;13(10):1-21.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7.13.10.1 

  20. 지연주. 간호사의 메르스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교육요구도 및 수행도 [석사학위논문].[전북]: 우석대학교; 2018. 53 p. 

  21. 최정실, 최주순, 박승미. 일개 도시 지역거점병원 간호사의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 2009;15(3):85-94. 

  22. 박정숙, 임은식, 서인주, 장순양. 감염병 집단발병 지역 의료인력(간호인력) 관리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20 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