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효과를 연구한 국외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용 시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Cochrane, Google scholar을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multi-sensory environment', 'snoezelen'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국외논문을 선정하였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지적장애, 정신분열증, 임산부를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3주에서 10개월로, 주 2~3회기의 중재가 대부분이였고, 회기별 중재시간은 30~60분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으로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삶의 질과 같은 사회적 요인, 인지적, 신체적인 영역에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중재로 사용된 다감각환경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외의 후각과 미각, 전정감각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었다. 결론 : 앞으로 국내에서는 다감각환경 중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대상군 특히, 아동에게 적용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적 :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효과를 연구한 국외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용 시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Cochrane, Google scholar을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multi-sensory environment', 'snoezelen'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국외논문을 선정하였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지적장애, 정신분열증, 임산부를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3주에서 10개월로, 주 2~3회기의 중재가 대부분이였고, 회기별 중재시간은 30~60분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으로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삶의 질과 같은 사회적 요인, 인지적, 신체적인 영역에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중재로 사용된 다감각환경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외의 후각과 미각, 전정감각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었다. 결론 : 앞으로 국내에서는 다감각환경 중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대상군 특히, 아동에게 적용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s of multisensory environment intervention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linical applications, and to aid South Korean research on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Methods : PubMed, Cochrane, and Google Scholar were used to search for papers...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s of multisensory environment intervention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linical applications, and to aid South Korean research on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Methods : PubMed, Cochrane, and Google Scholar were used to search for papers published from 2008 to 2018. The main search terms were "multisensory environment" and "snoezelen", a total of 10 foreign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 Results : Among the 10 papers, 6 included participants with dementia. The other studies examined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pregnant women. The study periods ranged from 3 weeks to 10 months. Most of the interventions included 2 or 3 sessions per week. The duration of each intervention session was 30 to 60 minut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social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and physical domains.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used for the interventions in the studies consisted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s, as well as additional olfactory and taste sensations, and vestibular sensations. Conclusion : In the future, the research should be applied to various target groups, especially children, who are interested in multisensory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 South Korea.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s of multisensory environment intervention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linical applications, and to aid South Korean research on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Methods : PubMed, Cochrane, and Google Scholar were used to search for papers published from 2008 to 2018. The main search terms were "multisensory environment" and "snoezelen", a total of 10 foreign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 Results : Among the 10 papers, 6 included participants with dementia. The other studies examined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pregnant women. The study periods ranged from 3 weeks to 10 months. Most of the interventions included 2 or 3 sessions per week. The duration of each intervention session was 30 to 60 minut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social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and physical domains.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used for the interventions in the studies consisted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s, as well as additional olfactory and taste sensations, and vestibular sensations. Conclusion : In the future, the research should be applied to various target groups, especially children, who are interested in multisensory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 South Kore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작업치료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는 아니지만, 국외에서는 다감각환경에 관한 연구가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최근 11년간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의 경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의 경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다감각환경을 중재로 실험연구를 한 10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이후부터 이루어진 국외의 다감각 환경 중 재연구 10편을 중심으로 연구방법, 중재내용 및 결과 등을 분석함으로 국내에 다감각 환경 중재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시도되었다.
제안 방법
비뚤림 위험 평가는 체계적인 오류로 인한 결과나 추정의 참값으로부터 벗어남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재 효과를 과소추정하거나 과다 추정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선정된 10편의 논문에 대한 비뚤림 위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대조군과 실험군 선정, 불완전한 자료, 자료 선택적 보고에서의 비뚤림 위험이 낮았으나 , 대상자와 관계자의 눈가림과 평가결과의 눈가림에서는 비뚤림 수준이 50% 이하로 나타났다.
최종 선정된 논문들을 연구자 2명이 독립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연구자 2명이 토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연구근거의 질적 수준에 따라 나누었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따라 정리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들을 연구자 2명이 독립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연구자 2명이 토의를 통해 결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연구근거의 질적 수준에 따라 나누었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따라 정리하였다.
선정 논문의 중재방법을 분석한 결과, 연구 기간이 주 또는 개월로 제시된 경우 최소 3주에서 최대 6개월, 회기로 제시된 경우 12회기와 20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회기로 제시된 논문 중, 다감각환경이 출산의 고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 주제의 특성상 연구기간 10개월 동안 단 1회기만을 연구하는 경우도 있었다.
촉각은 마사지, 담요, 인형, 물침대, 촉각보드로 제공되었고, 후각에서는 향의 종류만 달랐을 뿐, 아로마 분사기를 사용하였다. 기타감각에서 말린 음식이나 샤베트로 미각을, 흔들의자와 그네를 이용하여 전정감각을, 진동베게나 진동기를 통해 진동감각을 자극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문헌검색은 PubMed, Cochrane, Google scholar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검색어는 ‘Snoezelen’, ‘multisensory environment’로 하였으며, 분석 대상 논문의 선정기준 및 배제 기준은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논문검색 결과 총 21,82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는 PubMed에서 433편, Cochrane에서 390편, google scholar에서 20,997편을 수집하였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다감각 환경을 중재로 한 실험연구를 선별하였고,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위와 같은 논문검색 결과 총 21,82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는 PubMed에서 433편, Cochrane에서 390편, google scholar에서 20,997편을 수집하였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다감각 환경을 중재로 한 실험연구를 선별하였고,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또한 온라인에서 원문을 사용할 수 있고,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만을 선별하였다.
또한 연구에 대한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선정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연구자 2명이 토의를 하여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초기 검색된 논문은 21,820 편이였으나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된 논문은 10편이였다. 자세한 자료수집 절차는 Figure 1과 같다.
선정된 10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의학, 간호학, 심리학, 재활과 관련된 분야 등에서 다감각환경에 관한 중재연구가 이루어졌다.
다감각환경 중재에 참여한 대상자들을 분석한 결과,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한편은 치매의 종류 중 알츠하이머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4편의 연구들은 각각 자폐증을 포함한 지적장애, 암이나 질환에 걸린 환자, 만성 조현병 그리고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대부터 80대까지였으며, 성별은 여성으로만 이루어진 논문 2편, 남녀가 제시되지 않은 논문이 3편을 제외하고는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였다(Table 2).
논문에 제시된 다감각환경의 특성을 감각별로 분석한 결과, 10편의 모든 연구에서 시각과 청각을 사용하였다. 이 중 6편의 연구에서 모든 감각으로 방을 구성하였고, 나머지 연구에서는 촉각, 후각, 기타감각 중 몇 가지를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의 경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다감각환경을 중재로 실험연구를 한 10편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대상 연구들의 질적 수준은 무작위 실험 설계연구를 포함한 수준Ⅰ이 가장 높은 비율로 90% 차지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학습장애와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개발된 다감각환경은 최근 인지장애 및 행동장애를 동반하는 비가역 질환인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다(Lancioni, Cuvo, & O'reilly, 2002). 이를 반증하듯 본 연구의 선정된 논문 10편 중 6편에서 치매 노인을 대상자로 연구하였다.
이렇듯 다감각 환경에서의 활동들은 다양한 감각 기전을 통해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및 행동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때문에 선정된 10편의 연구에서 사용된 감각 도구들을 분석해 보았다. 중재는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및 기타감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었는데, 주로 시각과 청각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이전 많은 연구에서도 다감각환경 중재가 심리적인 이완을 통해 우울과 불안, 부정적인 행동들을 감소시킨다는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Dowling, Graf, Hibbard, & Luxenberg, 2007; Jackson, Sterling, Russell, & Templeton, 2003; Svansdottir & Snaedal, 2006; Van Weert, Van Dulmen, Spreeuwenberg, Ribbe, & Bensing, 2005). 한편 심리적인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CMAI, CSDD, HADS, RAID를 사용하였고, 행동적인 영역은 NPI-NH, MSW, MSWO와 같은 도구를 비롯해 Barthel index, AMPS와 같은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들도 사용되었다.
성능/효과
이는 중재 효과를 과소추정하거나 과다 추정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선정된 10편의 논문에 대한 비뚤림 위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대조군과 실험군 선정, 불완전한 자료, 자료 선택적 보고에서의 비뚤림 위험이 낮았으나 , 대상자와 관계자의 눈가림과 평가결과의 눈가림에서는 비뚤림 수준이 50% 이하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다감각 환경 중재는 인지, 기분이나 감정 그리고 이상행동 중 특히 공격적인 행동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유의한 수준은 아니나 활력징후가 안정적으로 변하였고, 균형 감각이 개선되며, 일상생활활동에서도 점수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다감각 환경 중재는 인지, 기분이나 감정 그리고 이상행동 중 특히 공격적인 행동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유의한 수준은 아니나 활력징후가 안정적으로 변하였고, 균형 감각이 개선되며, 일상생활활동에서도 점수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더불어 출산 시, 일반분만을 하는 대조군 보다 통증에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유의한 수준은 아니나 활력징후가 안정적으로 변하였고, 균형 감각이 개선되며, 일상생활활동에서도 점수가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더불어 출산 시, 일반분만을 하는 대조군 보다 통증에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삶의 질을 평가한 연구에서 한 연구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결과를, 다른 연구에서는 삶의 질이 유의하게 좋아졌다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Table 3).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다감각환경을 중재로 실험연구를 한 10편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대상 연구들의 질적 수준은 무작위 실험 설계연구를 포함한 수준Ⅰ이 가장 높은 비율로 90% 차지하였다.
대상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으로 크게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및 행동적 변화가 측정되었고, 그 중 인지영역과 심리적 영역이 각각 4편의 논문에서 다루어지며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인지능력 측정은 4편의 모든 연구에서 MMSE를 사용하였고, 다감각 환경이 인지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Maseda et al, 2014; Safavi et al, 2013; Sanchez et al, 2016; Taher et al, 2015).
다감각 환경 중재는 심박동수, 혈압 및 근전도와 같은 신체적인 변화에서도 안정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머리와 눈의 움직임을 촉진시켜 내이의 전정 수용체의 신호를 제공하여 균형 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인다는 연구가 있었다(Klages et al.
이에 이상행동을 보이는 치매환자나 문제행동을 보이는 지적장애 또는 자폐증, ADHD 그리고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을 가진 환자 등을 대상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심리적, 행동적, 신체적 및 인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가 치매환자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아동에게 적용한 사례가 없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후속연구
이에 국내에서도 다감각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대상군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중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훈련자를 양성한다면 명확한 치료의 방향을 제시하고, 중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국내에서도 다감각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대상군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중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훈련자를 양성한다면 명확한 치료의 방향을 제시하고, 중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감각환경은 어떠한 반응을 이끌어내는가?
다감각환경은 빛, 소리, 촉감, 냄새 및 맛을 통해 감각을 자극하도록 고안된 환경에서 자극의 성격, 양, 배열 및 강도가제어되는 특수 설비가 갖추어진 공간을 의미한다(Lindsay, Pitcaithly, Geelen, Buntin, Brox-holme, & Ashby, 1997; Shapiro & Bacher, 2002). 이러한 공간 안에서 대상자 스스로가 기분 좋은 자극을 탐색하고, 좋아하는 감각을 찾아 편안함과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중재법이다. 이처럼 특정 기술 훈련이 필요하지 않고, 과제로 인한 스트레스나 실패가 없으며, 일정 수준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스노즐렌(Snoezelen)은 언제 처음 등장한 개념인가?
스노즐렌(Snoezelen)은 1970년대에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네덜란드 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 의해 처음으로 개념이 소개되었다(Hulsegge & Verheul, 1987; Shapiro & Bacher, 2002). 스노즐렌이라는 용어는‘냄새를 킁킁 맡다’라는 Sniff과 ‘기분 좋게 졸린다’의 Doze라는 두 네덜란드어의 합성어로 ‘기분 좋은 자극을 제공 한다'는 의미이다(Baker, Dowling, Wareing, Dawson, & Assey, 1997).
스노즐렌의 의미는 무엇인가?
스노즐렌(Snoezelen)은 1970년대에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네덜란드 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 의해 처음으로 개념이 소개되었다(Hulsegge & Verheul, 1987; Shapiro & Bacher, 2002). 스노즐렌이라는 용어는‘냄새를 킁킁 맡다’라는 Sniff과 ‘기분 좋게 졸린다’의 Doze라는 두 네덜란드어의 합성어로 ‘기분 좋은 자극을 제공 한다'는 의미이다(Baker, Dowling, Wareing, Dawson, & Assey, 1997). 현재스노즐렌은 다감각환경(multi-sensory environment), 다감각치료 등과 같은 용어로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