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 A Comparative Study Gender and Household Type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4, 2019년, pp.191 - 200  

박순미 (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계열) ,  문수열 (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gender and household type.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7,406 people who are 65 years and above.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노인 여가 관련 선행연구들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여가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인 영향력이나 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들의 세부 특성을 고려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및 참여하는 여가활동유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노인 집단 특성별(성별, 가구 유형)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집단 특성별 즉 성별, 가구유형별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각각 집단 간주요 영향 요인 차이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령 사회 노인의 삶의 질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선행 요인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 여가활동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에 노인들의 점차 길어지는 노년기를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노년기 삶에서 여가활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6][8][15], 정책적 관심이 필요한데, 노인의 여가활동은 노인의 사회적 접촉 기회를 증대시키며,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증을 예방할 수도 있고[11], 노년층의 특정한 여가활동은 재능 나눔, 자원봉사 등을 통해 사회적 공헌으로 이어지거나, 일자리와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활발한 여가활동을 통한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증진은 노인의 의료비 부담을 낮춰 사전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제가 될 수 있다[19].
노년층의 여가활동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Hwang[19]의 연구에 따르면 여가활동 부족형이 전체 노년층의 약 7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ang, et al.[1]연구에 따르면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 특성을 보면, 이들의 여가활동 내용은 주로 걷기 산책, 등산, 외식이나 유흥으로 대표되는 운동과 오락 활동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가족이나 친구 등과 같이 하는 여가활동보다는 혼자 여가활동을 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발한 여가활동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무엇인가? 특히 노년기 삶에서 여가활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6][8][15], 정책적 관심이 필요한데, 노인의 여가활동은 노인의 사회적 접촉 기회를 증대시키며,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증을 예방할 수도 있고[11], 노년층의 특정한 여가활동은 재능 나눔, 자원봉사 등을 통해 사회적 공헌으로 이어지거나, 일자리와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활발한 여가활동을 통한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 증진은 노인의 의료비 부담을 낮춰 사전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제가 될 수 있다[19]. 이뿐만 아니라 여가활동이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들을 찾아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N. Kang, H.J, Kim, Y.S. Kim(2017), Leisure Activity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2);184-215. 

  2. S.J. Kim, E.N. Kang(2017),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isure Facilities Utilization in Urban Elderly: Focusing on the Elderly Utilizing Leisure Facil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3);110-138. 

  3. Y.S. Kim, W.Y. Ha(2015), A Study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on the Suicide Ide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4);344-374. 

  4. H.J. Kim, E.N. Kang, H.W. Bae(2016), A Qualitative Study of the Types of Leisure Perceptions among Middle-aged Men in Retirement Transi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2);192-226. 

  5. J.H. Min(2013),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4);105-123. 

  6. H.J. Yoon(2016), .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 of Leisure and Aging Well in Older Korean Adults . Journal of Tourism&Leisure Research, Vol.28(7);201-221. 

  7. G.S. Lee, W.K. Lim(2012),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2(10); 291-306. 

  8. M.S. Lee, H.Y. Kang, C.W. Lee(2017), The Relationship among Serious Leisure,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Older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7, 56(1), 503-515. 

  9. Y.S. Lee(2011), The Effects of the Leisure Patter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enior-Focused on the aged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tion at Hansung University. 

  10. E.J. Lee, S.G. Bae, T.Y. Um(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on Attempted Suicide among the Elderly who lives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2);615-628. 

  11. J.W. Lee, G.H. Lim, H.R. Kim, Y.K. Bang, J.Y. Lee, M.L. Cho, D.J. Kim, Y.A. Yang(2014),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Depression and Leisure Activity of Elderly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1);65-73. 

  12. H.N, Lim(2010), The Effect of the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ental health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an, Vol.24(3);27-38. 

  13. J.C. An, W.K. Lim(2014), Effects of the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f the Rural Elderly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4(4);189-210. 

  14. Statistics Korea(2018), 2018 Statistics on the Aged. 

  15. I.K. Choi(2008),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ld's Leisure Activity Type. Ph.D.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16. C.K. Ha, H.S. Kim(2013),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Elderly People in attending the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Vol.37(1);1-12. 

  17. O.S. Hyun(2016),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Yangseo Pub, pp.428-430. 

  18. S.H. Hong, S.E. Kim(2016), Constraints to Participation in Senior Welfare Centers: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Regional Typ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4);125-156. 

  19. N.H. Hwang(2014), The Categorization of Leisure Activities for Older People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2);37-69. 

  20. Erick, V. I., & Koen, V. E.(2009), Leisure and social capital, Leisure Science, Vol.31(2);192-206. 

  21. Frey, B. S. & Stutzer, A.(2002). Happiness and economics. Princeton and Oxford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Fullagar, S.(2008), Leisure practives as counter-depressants: Emotion-work and emotion-play within women' recovery from depression, Leisure Sciences, Vol.30;35-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