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원리와 방법 탐색: 비판적 인종 이론을 중심으로
Reconstructing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from a Critical Race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3 no.3, 2019년, pp.289 - 303  

김리나 (서울목운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에서 학교 수학 교육에서 인종 문제를 다룬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구성 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국내외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의 의미와 이를 주제로 한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의의와 방향을 도출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을 토대로 사회 정의를 위한 국내 수학 관련 연구를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기본 원리인 인종적 영속성 또는 인종 사실주의, 자유주의 비판, 교차성의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찾고 이를 수학 수업에서 논의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수학 교실 안에서 학생 스스로 차별의 요소를 자각하고 이를 해결하는 접근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그동안 수학 교육 연구에서 인종 문제가 다른 차별 요소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관점은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부분으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사점은 향후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ek for the purpose of social justice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ting of a critical race perspectives. This paper is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I analyzed literature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cu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박만구 외(2016)의 연구 목표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의 주제 소개와 적용 가능성 검토이기 때문에 각 수업 안에서 교사와 학생들 사이에 어떤 논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는 없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들이 소개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의 주제들을 중심으로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이 무엇이며 어떤 논의들을 포함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또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을 인종차 별의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분석의 틀이 되는 비판적 인종 이론에 대해 살펴본다. 이후 국내 연구들이 수학 수업에서 인종차별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 본 연구 목표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아니라 비판적 인종이론의 관점에서 사회 정의를 수학 수업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와 관련한 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인종문제와 관련한 수학 수업의 문제점들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 물론 이 장에서 논의하는 문헌 이외에도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실태를 보여주는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 목표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아니라 비판적 인종이론의 관점에서 사회 정의를 수학 수업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가와 관련한 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인종문제와 관련한 수학 수업의 문제점들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인종차별 문제의 해결을 위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역할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에서 선행연구를 분석 하면서 다음의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은 국내 연구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구현되고 있는가? 국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들은 비판적 인종 이론 관점에서 인종차별 문제를 다루고 있는가?
  •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Critical Race Theory)을 이론(Critical Race Theory)을 토대로 인종 문제를 다루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관련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의 기본 원리인 인종적 영속성과 인종적 사실주의, 자유주의, 교차성의 관점에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인종 문제와 관련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찾고 이를 수학 수업에서 논의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수학 교실 안에서 학생 스스로 차별의 요소를 자각하고 이를 해결하는 접근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의미 고찰을 바탕으로 국내의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 인종, 인종차별, 인종차별주의 문제를 접근하는 방식에 대해 집중하였다.
  • 첫 번째는 Freire 이론을 바탕으로 ‘수학적 지식’을 새롭게 규정하는 관점이고, 두 번째는 시민의 권리로서의 수학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관점을 이해하는 것보다 이를 어떻게 비판적으로 바라볼 것인가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을 토대로 기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 그러나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 평등과 인종 문제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주미경, 2009), 심지어 의도적으로 누락되어 있다(Martin, 2008).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을 바탕으로 국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 들을 살펴보았다. Larnellet, et al.
  • 또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다는 것을 감안하여, 문헌 분석 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 대한 각 연구자의 정의(定意)와 관점을 존중하여 별도의 적합성 분석은 실시하지 않았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수학 교육 연구에서 인종 문제가 일부 다문화 수학 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다문화 수학 교육에서 인종 문제를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장에서는 국내 연구물을 중심으로 관련 국외 연구물을 비교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 사회 정의를 위한 비판적 수학적 읽기 및 쓰기는 Paulo Freire(1970/1993)의 이론과 실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관점은 학생들과 함께 수학을 이용하여 사회 및 환경에 대해 비판적 평가를 진행하며 또는 반대로 사회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수학적 자료 개발을 목표로 한다. 두 번째 관점은 수학을 배울 수 있는 기회는 그 자체로 특권이 되기 때문에 수학 학습권은 시민의 권리라는 Moses(1994)의 관점을 토대로 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을 토대로 기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기존의 연구를 평가하기 위함이 아니라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과 관련한 연구에서 인종 차별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되어야 할 부분들을 점검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이 무엇이며 어떤 논의들을 포함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또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을 인종차 별의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분석의 틀이 되는 비판적 인종 이론에 대해 살펴본다.
  • 이후 국내 연구들이 수학 수업에서 인종차별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비판적 인종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 인종과 인종차별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관점을 이해하는 것보다 이를 어떻게 비판적으로 바라볼 것인가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을 토대로 기존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기존의 연구를 평가하기 위함이 아니라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과 관련한 연구에서 인종 차별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되어야 할 부분들을 점검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의 의미 고찰을 바탕으로 국내의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연구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에서 인종, 인종차별, 인종차별주의 문제를 접근하는 방식에 대해 집중하였다.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증가, 이주근로자 문제 등으로 국내의 인종차별에 대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학 교육은 이 문제를 더욱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박만구, 2019).

가설 설정

  • 2. 자유주의 비판의 관점에서: 학습자들의 정체성은 지켜지고 있는가?

  • 자유주의는 사회 제도의 개선을 바탕으로 점진적인 사회의 변화(incremental change)를 모색한다((DeCuir, & Dixson, 2004). 즉, 자유주의는 인종차별과 관련한 사회 제도를 수정하면 자연스럽게 사회 내 인종차별이 사라질 거라고 가정한다. 자유주의에서 주장하는 점진적 변화는 겉으로는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기득권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Jett, 20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판적 인종 이론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인종 이론(Critical Race Theory)을 이론(Critical Race Theory)을 토대로 인종 문제를 다루는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교육 관련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비판적 인종 이론은 사회 구조와 권력, 인종(人種)의 관계 규명을 목표로 하는 이론 체계이다(Delgado, & Stefancic, 2001). 비판적 인종 이론은 시민의 권리와 인종 문제들을 경제, 역사, 문화, 집단과 개인의 가치, 그리고 무의식적과 정서적 반응과 같은 관점에서 분석한다(Delgadoet al.
비판적 인종 이론은 어떤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가? , 2001). 비판적 인종 이론은 인종적 영속성(racial permanence) 또는 인종적 사실주의(racial realism), 이해 수렴(interest convergence),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critique of liberalism), 교차성 (intersectionality) 및 소수자의 입장 대변하기(counter-storytelling) 등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2)
Bell에 따르면 인종적 사실주의는 사회적 고정관념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하는데, 어떠한 예를 들고 있으며 근거는 무엇인가? Bell(1991)에 따르면 인종적 사실주의는 우리 사회는 각 인종과 관련한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한 특정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으며, 인종차별은 단순히 피부색이나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이 아닌 이러한 사회적 고정 관념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미국인에게 편의점의 강도는 어떤 인종일 까에 대해 묻는다면 대다수는 흑인일 거라고 추측한다. 이는 흑인이 미국 전체 인구의 13% 정도를 구성하지만 흑인들이 미국 전체 범죄의 약 50%를 저지른다는 통계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주숙, 박만구. (2015).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409-434. 

  2. 박만구. (2018).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1), 47-67. 

  3. 박만구, 최성이, 김주숙. (2016). 초등수학에서 인문학 기반 융합수업-사회 정의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6(3), 389-398. 

  4. 장윤영, 고상숙. (2009). 다문화권 학생들의 초등수학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8(4), 419-442. 

  5. 주미경. (2009). 민족지학적 수학과 다문화적 수학교육. 학교수학, 11(4), 625-642. 

  6. 최성이, 이종희. (2017). 민주시민의식함양을 위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사회 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3), 415-441. 

  7. Apple, M. W (1992). Do the standards go far enough? Power, policy, and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3(5),412-431. 

  8. Apple, M. W (2014). On being"race critical." In A. D. Reid, E. P. Hart, & M. A. Peters (Eds.), A companion to research in education (pp. 263-265). Dordrecht, NL: Springer. 

  9. Bishop, A. J. (1988). Mathematics education in its cultural contex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9(2), 179-191. 

  10. Bell, D. A. (1992). Faces at the bottom of the well: The permanence of racism. New York, NY : Basic Books. 

  11. Bell, D. (1991). Racial realism. Conn. L. Rev., 24, 363. 

  12. Boaler, J. (2006). How a detracked mathematics approach promoted respect, responsibility, and high achievement. Theory into Practice, 45(1), 40-46. 

  13. Brown, R. (2009). Teaching for social justice: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udent agency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literacy practices of a Mathematics classroom.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l2(3), 171-185. 

  14. Crenshaw, K. W.(1991).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Stanford Law Review, 43(6), 1241-1299. 

  15. DeCuir, J.T., & Dixson, A. D. (2004)."So when it comes out, they aren't surprised that it is there": Using critical race theory as a tool of analysis of race and racism in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33(5), 26-31. 

  16. de Freitas, E. (2008).Troubling teacher identity: Preparing mathematics teachers to teach for diversity. Teaching Education, 19(1), 43-55. 

  17. Delgado, R., & Stefancic, J. (2001). Critical race theory: An introduction. New York, NY: New York University Press. 

  18. Ernest, P. (1991).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United Kingdom: Routledge Falmer. 

  19. Frankenstein, M. (1983).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application of Paulo Freire's epistemology. Journal of Education, 315-339. 

  20. Freire, P. (1970/1993).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NY: Continuum. 

  21. Freire, P., D'Ambrosio, U., & do Carmo Mendonca, M. (1997). A conversation with Paulo Freire.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7, 7-10. 

  22. Gregson, S. A. (2013). Negotiating social justice teaching: One full-time teacher's practice viewed from the trench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4(1), 164-198. 

  23. Gutstein, E. (2006). Reading and writing the world with mathematics: Toward a pedagogy for social justice. NewYork, NY: Routledge 

  24. Gutierrez, R. (2013).The sociopolitical turn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4(1), 37-68. 

  25. Howard, T. C., & Reynolds, R. (2013). Examining Black male identity through a raced, classed, and gendered lens. In M. Lynn, & A. D. Dixson, (Eds.), Handbook of critical race theory in education (pp. 232-247). New York, NY: Routledge. 

  26. Jett, C. C. (2012). Critical race theory interwoven with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Urban Mathematics Education, 5(1), 21-30. 

  27. Ladson-Billings, G. (1999). Chapter 7: Preparing teachers for diverse student populations: A critical race theory perspective. Review if Educational Research, 24, 211-247. 

  28. Ladson-Billings, G. (2013). Critical race theory-What it is not! In M. Lynn, &A. D. Dixson (Eds.), Handbook of critical race theory in education (pp. 34-47). New York, NY: Routledge. 

  29. Ladson-Billings, G. (2014). What it means to be critical: Beyond rhetorical toward action. In A,D. Reid, E.P. Hart,& M.A. Peters (Eds.),A companion to research ineducation(pp,259-261). Dordrecht, NL: Springer. 

  30. Ladson-Billings, G., &Tate, W. (1995). Toward a critical race theory in education. Teachers College Record, 97(1), 47-68. 

  31. Larnell, G. V., Bullock, E. C., & Jett, C. C. (2016). Re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from a critical race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 196(1), 19-29. 

  32. Leonardo, Z. (2014). Dialectics of race criticality: Studies in racial stratification and education. In A. D. Reid, E. P.Hart, & M. A. Peters(Eds.), A companion to research in education (pp. 247-257). Dordrecht, NL: Springer. 

  33. Martin, D. B. (2003). Hidden assumptions and unaddressed questions in Mathematics for All rhetoric. The Mathematics Educator, 13(2), 7-21. 

  34. Martin, D. B. (2008). E(race)ing race from a national conversation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he National Mathematics Advisory Panel as white institutional space. The Montana Mathematics Enthusiast, 5(2&3), 387-398. 

  35. Mills, C. W. (1997). The racial contract.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36. Moses, R. P. (1994). Remarks on the struggle for citizenship and math/ science literacy.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I3(1), 107-111. 

  37. Moses, R. P.,&Cobb, C. E. (2001). Radical equations: Math literacy and civil rights. Boston, MA: Beacon Press. 

  3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9. Nickson, M. (1994). The culture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An unknown quantity?. In Cultural perspectives on the mathematics classroom (pp. 7-35). Springer, Dordrecht. 

  40. Parker, L., & Lynn, M. (2002). What's race got to do with it? Critical race theory's conflicts with and connections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Qualitative Inquiry, 8(1),7-22. 

  41. Polya. G. (1945). How to solve i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2. Powell, A., & Brantlinger, A. (2008). A pluralistic view of critical mathematics. In J. F.Matos, P.Valero, & K.Yasukawa (Eds.),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ciety Conference (pp. 424-433). Lisbon, PT: Centro de Investigas:ao em Educas:ao, Universidade de Lisboa-Department of Education, Learning, and Philosophy,Aalborg University. 

  43. Schoenfeld, A. H. (2004). The math wars. Educational Policy, 18(1), 253-286. 

  44. Solorzano, D. G., & Yosso,T. J. (2002). A critical race counterstory of race, racism, and affirmative action. Equity &.. Excellence in Education, 35(2),155-168. 

  45. Wager, A. A., & Stinson, D. W (Eds.). (2012).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Conversations with educator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