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용매에 따른 ACTS002의 항산화 활성 및 지표성분의 함량 비교
Comparison betwee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ndex Content of ACTS002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0 no.3, 2019년, pp.331 - 342  

이대연 ((주) 더 포레) ,  심선형 (포레스트 요양병원) ,  김완수 (포레스트 요양병원) ,  이영우 ((주) 더 포레) ,  이인희 ((주) 더 포레)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amul-tang is commonly used to alleviate the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efficient method of extracting ACTS002 based on Samul-tang using the yiel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antioxidant assay. Methods: ACTS002 was extract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물탕을 기반으로 가미되어진 처방(ACTS002)을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동일한 처방이라도 추출법에 따라 유효성은 충분히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27 그에 대한 추출용매별 효능 및 지표성분을 비교하여 효율적인 추출법을 정립하고 표준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은 무엇인가? 사물탕 처방 약재 중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수치법에 따라 생지황, 건지황으로 나누며 특히 증숙하여 구중구포한 것을 숙지황이라 한다10. 지황에는 stigmasterol, campesterol, sitosterol, catalpol, manninotriose 등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11 숙지황의 경우에는 증숙하는 과정에서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가 생성되고 iridoid 배당체들이 분해되어 약리활성이 바뀐다.
지황의 성분들은 무엇이 있는가? 사물탕 처방 약재 중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수치법에 따라 생지황, 건지황으로 나누며 특히 증숙하여 구중구포한 것을 숙지황이라 한다10. 지황에는 stigmasterol, campesterol, sitosterol, catalpol, manninotriose 등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11 숙지황의 경우에는 증숙하는 과정에서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가 생성되고 iridoid 배당체들이 분해되어 약리활성이 바뀐다. 숙지황은 보혈의 효능이 있으며 생리불순, 발육부진, 치매 등에 처방된다12.
백작약(白芍藥, Paeonia lactifloraPallas)의 사용처와 작용은 무엇인가? 백작약은 monoterpene glucoside계열인 paeoniflorin및 albiflorin, 탄닌, 페놀산 등이 지표성분 및 유효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14. 전통적으로 진통, 복통,진경, 고혈압, 부인약 및 염증 치료제로 처방되어 왔으며 항혈전 작용15, 항산화 작용16, 항고지혈 작용17등이 보고되어 있다.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나 근경을 건조한 후 얇게 세절하여 사용된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linical Comparison with Drug Sensitivities by the Human Tumor Clonogenic Assay Kim 11 1989 

  2. In Vitro Chemosensitivity of Doxorubicin on Human Cancer Cell Lines Park 61 1990 

  3. Cell Culture of Human Colon Adenomas and Carcinomas Willson 2704 1987 

  4. Effects of Naetakcheonkeumsan and It's Gamypang on the Lymphocytes and Cancer cells Yang 44 2000 

  5. Analysis of Studies on Samul-tang for Fundamental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Kim 779 2009 

  6. Effects of A Constituent Herbs of Samul-tang on Antithrombosis and Antistress Cho 41 1999 

  7. Effect of Si-Wu-Tang and Si-Jun-Zi-Tang on the Survival of Jejunal Crypt Cells and Hematopoietic Cells in Irradiated Mice Kim 888 1998 

  8. Study on the Anticancer Effect of Samultang and Sagoonjatang with Semen Tiglii Extract on Human Cancer Cell Lines and Sarcoma 180 Lee 79 1994 

  9. Evaluation of the Immune-Stimulating Activity of Samul-tang,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Standardized by HPLC-PDA Seo 25 2011 

  10. 이종기, 서정미. 숙지황 제조과정에 따른 성분함량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3, no.10, 1748-1752.

  11.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Rehmannia Radix Preparata Concentrate Kim 814 2011 

  12. 송대식, 우관식, 성낙술, 김광엽, 정헌상, 이희봉. 열처리조건에 따른 숙지황의 품질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6, no.6, 773-778.

  13. Preventive Effects of Peony Root Extracts on Oxidative Stress, Thrombosis and Atherosclerosis Park 88 2009 

  14. TANAKA, Takashi, KATAOKA, Maki, TSUBOI, Nagisa, KOUNO, Isao. New Monoterpene Glycoside Esters and Phenolic Constituents of Paeoniae Radix, and Increase of Water Solubility of Proanthocyanidins in the Presence of Paeoniflorin..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vol.48, no.2, 201-207.

  15. Platelet Anti-Aggregation of Paeony Root Kang 215 1991 

  16.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Fraction for Several Korean Medicinal Plant Hot Water Extracts Kim 141 1997 

  17. Isolation of Hyperlipidemic Substances from Methanol Extract of Paeonia Radix Ro 55 1999 

  18.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Oh 373 2010 

  19. Kwak, Dong Hoon, Kim, Jin Kyeoung, Kim, Ji Yeoun, Jeong, Heun Young, Keum, Kyung Soo, Han, Sun Hee, Rho, Young Il, Woo, Won Hong, Jung, Kyu Yong, Choi, Bong Kyu, Choo, Young Kug. Anti-angiogenic activitie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Tabanus bovinu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81, no.3, 373-379.

  20.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nidium officinale Lee 330 2002 

  21. Kim, Jeong Min, Son, Dongwook, Lee, Pyeongjae, Lee, Kang Jin, Kim, Hocheol, Kim, Sun Yeou.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Inhibits Neuronal Cell Death by Reduction of Excessive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t Hippocampal Slice Cultures and Microglia Cells.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vol.92, no.1, 74-78.

  22. Choi, Hyang-Sook, Kim, Mie-Soon Lee, Sawamura, Masayoshi.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plant. Flavour and fragrance journal, vol.17, no.1, 49-53.

  23. Lee 2004 

  24.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Kim 957 2006 

  25. An Investigative Analysis of Preference and Uses for the Angelica gigas Nakai- Focused on the consumer in the Seoul and Kyunggido Area- Kim 783 2009 

  26. Liu, Shao-Ping. Protective effect ofangelica sinensispolysaccharide on experimental immunological colon injury in rat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WJG, vol.9, no.12, 2786-.

  27. 이대연, 최병선, 이인희, 김재현, 권필승. 산양산삼약침의 추출법 별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ol.39, no.3, 313-322.

  28. Chae 381 2002 

  29. Effect of Solvents and Some Extraction Conditions on Antioxidant Activity in Cinnamon Extracts Kim 204 1993 

  30. Survey on the Preference Formula for the Improvement of Oriental Herbal Medicine Insurance Kim 17 2009 

  31.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and Ingredient Content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Samchulkunbi-tang Jin 328 2012 

  32.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amultang Ingredient Extracts Choi 52 2008 

  33. The studies about cutting, processing and decokting methods of oriental medicinal plants II :Rehmanniae Radix Preparata Kim 115 1998 

  34. Experimental studies on Samultang and herbal compositions in Samultang Lim 409 1998 

  35. Effect of a Herb Mixture (HIM-1) on the Protection of the Hematopoietic-Immune System and Self-renewal Tissues against Radiation Damage Park 605 2005 

  36. Azuma, K., Nakayama, M., Koshio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47, no.10, 3963-3966.

  37. Lee, J., Chung, H., Chang, P.S., Lee, J.. Development of a method predicting the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oils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ood chemistry, vol.103, no.2, 662-66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