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부적응 학생 대상 예비부모교육 수업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School-Maladjustment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3, 2019년, pp.117 - 134  

오은영 (중문중학교) ,  최새은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17차시 중 9차시를 일부 수정하여 제주도 일반계 고등학교 대안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10명에게 실시하였다. 예비부모교육의 참여는 관찰과 면담을 통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가족가치관의 긍정적 변화와 피임, 기초 돌봄, 자녀발달단계별 부모의 역할의 변화 필요성에 대한 정보획득,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여성가족부에서 개발한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은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과 올바른 양육환경에서 자라지 못한 경우가 많은 학교부적응 학생들에게 올바른 부모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어 개인에게는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사회적으로는 학대의 대물림을 방지하여 가정의 건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학교부적응 학생의 긍정적인 신념의 변화와 의사소통 및 감정조절 등의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은 학생의 학교생활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와 학교부적응 학생 예비부모교육 수업은 효과적인 학업중단예방 프로그램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school maladjusted students. To this purpose,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MOGEF) was applied to ten high-school maladjusted students in an alt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성인으로 가는 과도기로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급격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청소년기를 대부분 학교에서 보낸다.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의무교육의 범주에 들지 않는 고등학교 교육에서 자퇴, 퇴학, 제적, 유예 등의 사유로 학교생활을 중도에 그만둔 ‘학업 중단자’는 매우 취약하고 위기 상황에 있는 청소년들이라고 할 수 있다. 2016년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사유를 살펴보면 학업 및 대인관계 부적응, 학교폭력이나 학칙 위반으로 인한 퇴학, 제적 및 유예 등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학업중단이 대략 38%를 차지한다(Ministry of Education [MOE], 2016). 2016 전국 청소년 위기실태 및 위기 결과분석에 따르면 전체 청소년 중에서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청소년이 77만여 명에 이르고 있어 체계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교 부적응 학생들과 가정생활은 어떤 관계가 있나?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교육이 이뤄지는 1차적 교육의 장(場)인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 수행이 제일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학대나 방임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고, 부모와의 갈등이 크거나(Lim, 2013), 부모의 학업 및 정서적 지원이 약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15). 이와 같이 가정과 학교 환경은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한 곳에서 겪은 부정적인 경험이 청소년을 둘러싼 모든 환경에 대해 연쇄적으로 작용하여 부적응이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2016년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은 갈등적 부모-자녀 관계의 증가가 빚 어내는 심각한 아동학대 사건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 주목한 결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bbie, E. R. (2013).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2. Bae, E. S., & Kang, K. J. (2008).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in the residential care.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2(2), 173-190. 

  3. Byun, G. Y.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oup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adapted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4. Choi, B. Y. (2016, August 30). Statistics of educa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s://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204&opTypeN&boardSeq64173. 

  5. Choi, C. M. (2013). Development of pre-parental education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verification on juveniles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6. Choi, H. Y. (2012). Risk factors of adolescent school mal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7. Chung, O. B., & Chung, S. H. (2016). 예비부모교육 [Education for prospective parents]. Seoul: Hakjisa. 

  8. Han, S. C. (2011). A study on the non-adaptation of school and retirement from the middle school: Current situation and countermeasures. Journal of Adolescent Behavior Science, 16, 39-65. 

  9. Hwang, S. G., Kim, D. M., Kang, T. H., Son, J. H., & Kim, J. H. (2016). Analysis of the nationwide survey on youth risks and risk result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18(4), 47-70. 

  10. Jeon, M. K. (2016, December 1).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Sejong: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trieved from http://www.mogef.go.kr/kps/olb/kps_olb_s001d.do?midmda710&div1101&cdkps&bbtSn704395 

  11. Ji, S. Y. (2011). The development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 to reduce of youth mothers' learned helplessness in welfare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12. Jun, M., Lee, E. J., Yu, N. S., Wang, S.-S., & Choi, S. (2017). Effectivenes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4), 31-47. 

  13.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Statistical book of online survey youth health behavior, 298-305. 

  14.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18).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trategies and policy plans for underachievers in general high school, 10(3). 

  15. Kwon, D. Y., & Yoo, J. E.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havruta learning on pre-parent edu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5(1), 77-97. 

  16. Lee, H. K. (2009). The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 and school maladjust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Seoul, Korea. 

  17. Lee, B. H. (2007). A study of methods for prevention schoolwork discontinuer through alternative educatio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5(1), 69-89. 

  18. Lim, H. L. (2013).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9. Noh, H. Y., Cho, J. S., & Chae, J. H.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4), 161-193. 

  20. Park, M. Y. (2015).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maladjusted in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1. Ryu, B. R., & Shin, H. K. (2011). Going to school for school maladjusted pupils in vocational girls’ high schoo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9(2), 41-72. 

  22. Seo, K. L. (2017). A study on parenting experience of mothers with histories of childhood maltrea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Chung Nam, Korea. 

  23. Sim, U. B. (2015). A meta-analysis of school maladjustment : focused on related triggering variables and the protective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4. Sun, M. S. (2017). An analysis of school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maladjustm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