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성평등 관점에서 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남녀 삽화 연구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of Male and Female o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Gender Equality Perspective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2, 2019년, pp.137 - 153  

이은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과) ,  전미경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 고정관념에서 오는 성별 불평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 즉 젠더적 민감성과 더불어 젠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개선 및 보안하고자 가정 교과에서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양성평등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반면 2015 교육과정 개편이 새로이 있었으나 성 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교과서 분석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성평등 관점에 기반을 두고 기술 가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술·가정」 교과서 내 삽화가 학생들에게 균형적인 사회상을 제시한다는 교과서로서의 책임을 다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2개 출판사에서 발행한 검정교과서 「기술·가정 1」과 기술·가정 2」를 기준으로 총 24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삽화의 외형적 특징과 내용적 특징을 분석범주로 삼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판단해보자면 우리 교과서가 모든 면에서 성 평등적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부분적으로는 많은 개선이 있었지만 여전히 특정 성별에 편중되어 성 정형성이 잔재하고 있었으며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발적이며 능동적인 태도를 갖추고 비판의식을 함양한다는 성 평등교육의 목적을 이루기위해서는 여성과 남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협력하며 활약하는 균형적인 사회상을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과서 편집 시 성별의 처방적 고정관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 주의하고 편견 요소를 축소하여 양성평등 한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지속적인 점검 및 검토를 진행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textbooks to examine if their illustrations would be appropriate for students' balanced view of gender. To this end, the textbook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1 and 2' from 12 publishers (24 books in total) were analyzed fo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 역할을 강요하는 제도 및 사회적 분위기의 개선과 함께 성 불평등적 인식의 타파를 내재화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젠더갈등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성별 불평등이며 이것은 성 역할 고정관념에서 초래된 것이다. 남성과 여성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인식이 지배적일 때 성 역할 고정관념은 더욱 강화되며 그 결과 여성이 가정과 사회에서 실질적 평등을 실현하는데 한계로 작용한다(Walby, 2005). 남성이 해야 할 역할과 여성이 해야 할 역할에 대한 성 역할 고정관념이 사회 깊숙이 뿌리박혀 있는 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의식변화가 어렵고 따라서 어떠한 노력에도 양성평등적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Lee 외, 2017).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성 역할을 강요하는 제도 및 사회적 분위기의 개선과 함께 성 불평등적 인식의 타파를 내재화해야 한다.
젠더갈등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 젠더갈등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성별 불평등이며 이것은 성 역할 고정관념에서 초래된 것이다. 남성과 여성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인식이 지배적일 때 성 역할 고정관념은 더욱 강화되며 그 결과 여성이 가정과 사회에서 실질적 평등을 실현하는데 한계로 작용한다(Walby, 2005).
젠더 간의 대립구조가 나타난 사건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최근 우리사회는 전과 달리 젠더 간 갈등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2015년 ‘여성혐오를 혐오 한다’는 반(反)여성혐오 가치를 가진 ‘메갈리아’ 사이트가 생긴 이후 2016년 발생한 ‘강남역살인사건’(Lee, 2016), 2017년 유튜버 ‘갓건배 저격 사건’(Kim,2018), 2018년 ‘홍대 모델 몰카⋅유포 사건’(Son & Yoon, 2018), ‘미투 운동’(jeong, 2018.)은 젠더 간의 대립구조를 양산하며 우리 사회를 들썩이게 했고 이러한 일면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일련의 여성혐오와 이를 둘러싼 사건들은 지금 현재 젠더가 뜨겁게 이슈화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젠더갈등에 대한 건강한 논쟁의 과정이 사회의 통합과 건강성 회복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won, H. Y. (2018). The reinforcement gender-sensitivity ability for the teacher of high level gender-sensitive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2018 Spring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92-112. 

  2. Kim, M. J., & Yoo, T. M. (2004). Content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by units from the gender equity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6(4), 27-41. 

  3. Kim, J. B. (2006). Investigation on enhancing the efficacy of textbook policy in Korea.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26(2), 21-64. 

  4. Kim, Y. -J., Lee, S. -H., & Son, S. -H. (2014).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representa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2), 31-49. 

  5. Kim, J. S. (2018). 'BJ 갓건배 저격사건' 분석 논문 등장 "다양한 연대로 여성혐오 대응해야" ['BJ gat geonbae incident' Analysis paper appear]. Seoul Economic. Retrieved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1S3IUCNZP7 

  6. Lee, H. J. (2005). An analysis of gender role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7. Lee, C.-S., & Wang, S. -S. (1999). The strategies for exploration of teaching-learning models and assessment materials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2(1), 825-840. 

  8. Lee, C. S. (2001). A study on the intention of textbook writing and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of woodworking in practical arts subjec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3), 143-160. 

  9. Lim, E. J., Lee, S. S. (2004). The effects of practical arts teaching-learning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on gender role attitud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7(4), 61-74. 

  10. Lee, H. Y. (2009). A study on the way the korean textbooks describe female charac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Lee, C. -S. (2011). Illustrations analysis of technology contents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of the revised curriculum 2007.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2), 195-213. 

  12. Lee, C. -S. (2015). Key concepts of 'world of technology' domain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 subject based on amended curriculum in 2009. Journal of New Paradigm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15(1). 49-67. 

  13. Lee, M. J. (2016). '강남역 묻지마' 살인사건, 온.오프라인서 추모 물결 이어져 [Murder crime of gangnam station].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from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6/05/360025/ 

  14. Lee, S. J., & Lee, S. M. (2017). Do women’s attitude to domestic works and self-perception of social norms enforce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Using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Journal of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58, 5-36. 

  15. Lee, S. J. (2017). An analysis study on the contents of occupation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Education Association, 36(6), 1-18. 

  16.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 Sejong: Author. 

  17. Park, G. R., Lee, Y. S., & Jeon, G. Y. (2001). Modern family education. Seoul: Hak Jisa. 

  18. Park, C. G., & Kim, G. S. (2017).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2009 elementary schools integrated textbook illustrations analysis from the multi-cultural of view.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27(1), 115-140. 

  19. Park, H. C. (2016). Feminism is not a choice but a matter of s urvival. Han Gyeorye. Retrieved from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65793. 

  20. Son, U. S., & Yoon, M. J. (2018). Hidden camera crime at hongik university. Moon Hwa Ilbo. Retrieved from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81301071221302001 

  21. Jeong, H. S., & Jeong, G. A. (1998). Analysis to textbook and operating the 6th curriculum on the viewpoint of gender-sensitive.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lnstitute. 

  22. Jeong, H. S. (2001). The gender equali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7, 5-22. 

  23. Jang, M. G. (2008).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and learner awarenes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ender equality.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24. Jeong, H. J. (2018). 여성들은 매일 미투를 외친다 [The women shout 'me, too']. The Hankyoreh 21. Retrieved from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45035.html 

  25. Choi, Y. -S., Yoon, I. -K. (2008).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otos and illustrations in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based on a gender equity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 85-100. 

  26. Hong, H. J. (2015). Does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responsive budgeting contribute to gender equ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7. Wang, S. S. (2001). Analysis and discussion on chapters related to home management in the seventh edition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Korea, 14(3). 127-142. 

  28. Walby, S. (2005). Gender mainstreaming: productive tensions in theory and practice. Social Politics- : International Studies in Gender, State & Society, 12(3), 321-343. 

  29. Wang, Y. -B., Yang, J. -H., & Han, H. -J. (2018). An analysis of gender inequalit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f China.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search, 38, 129-151. 

  30. Yang, C. H., Park, J. -S., Kim, Y. -J., & Noh, T. H. (2014). An analysis of gender-role stereotype in the illustration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2). 210-2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