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쇄골 두개 이형성증 가족에서의 RUNX2 유전자 돌연변이
A Novel RUNX2 Mutation in a Korean Family with Cleidocranial Dysplasia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6 no.4, 2019년, pp.409 - 415  

이지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송지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신터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현홍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김영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이상훈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김종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정욱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쇄골 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질환으로, 두개골 간 봉합 지연, 쇄골의 이형성, 과잉치, 영구치 맹출 지연 등을 특징으로 한다. 경조직 형성 조절 인자인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의 돌연변이가 쇄골 두개 이형성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치아 맹출 지연이 관찰되는 쇄골 두개 이형성증 가계에서 분자유전학적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3세 여성 환자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진행하였고 RUNX2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대상자 모두에서 3번 exon 내의 단일 염기 결손 돌연변이(NM_001024630.4: c.357delC)를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frameshift가 발생하여 조기 종결 코돈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며[p.(Asn120Thrfs*24)], 이로 인한 RUNX2 단백질의 기능 손상이 해당 가계에서 나타난 영구치 맹출 지연의 병인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eidocranial dysplasia (CCD) is an autosomal-dominant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delayed closure of cranial sutures, defects in clavicle formation, supernumerary teeth, and delayed tooth eruption. Defects in the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a master regulator of bone formation,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수의 영구치 맹출 지연을 주소로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서 치료를 받아온 23세 여환으로서, 쇄골 두개 이형성증으로 의심되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유전검사를 위해서 의뢰되었다. 환자와 환자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구강 검사 및 방사선 사진 촬영을 진행하였고, 말초 혈액을 채취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특징적인 구강 내 소견을 가지는 한국인 쇄골 두개 이형성증 환자에서 RUNX2 유전자의 염기 서열 분석을 시행하여 병인을 규명하고, 그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특징적인 구강 내 표현형을 지니는 새로운 RUNX2의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RUNX2의 결함 부위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과의 비교와 임상 양상의 발현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는 쇄골 두개 이형성증의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쇄골 두개 이형성증의 유병률은 어떠한가? 쇄골 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질환으로, 2 - 3세 경에 나타나는 쇄골 부위의 무통성 종창을 비롯하여 쇄골의 형태 이상, 두개골 간 봉합 지연, 저신장, 상악의 열성장, 과잉치, 영구치 맹출 지연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질환은 0.0001%의 유병률을 보이며, 환자의 60 - 70%에서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 RUNX2 ) 유전자의 결함이 확인된다[1-3].
쇄골 두개 이형성증이란? 쇄골 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질환으로, 두개골 간 봉합 지연, 쇄골의 이형성, 과잉치, 영구치 맹출 지연 등을 특징으로 한다. 경조직 형성 조절 인자인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의 돌연변이가 쇄골 두개 이형성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쇄골 두개 이형성증의 유발 요인은 무엇인가? 쇄골 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상염색체 우성의 유전질환으로, 두개골 간 봉합 지연, 쇄골의 이형성, 과잉치, 영구치 맹출 지연 등을 특징으로 한다. 경조직 형성 조절 인자인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의 돌연변이가 쇄골 두개 이형성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치아 맹출 지연이 관찰되는 쇄골 두개 이형성증 가계에서 분자유전학적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undlos S : Cleidocranial dysplasia: clinical and molecular genetics. J Med Genet, 36:177-182, 1999. 

  2. Mundlos S, Otto F, Olsen BR, et al.: Mutations involving the transcription factor CBFA1 cause cleidocranial dysplasia. Cell , 89:773-779, 1997. 

  3. $GeneReviews^{(R)}$ : Cleidocranial Dysplasia Spectrum Disorder. Available from URL: https://www.ncbi.nlm.nih.gov/books/ NBK1513/ (Accessed on July 15, 2019). 

  4. Ogawa E, Maruyama M, Ito Y, et al.: PEBP2/PEA2 represents a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homologous to the products of the Drosophila runt gene and the human AML1 gene. Proc Natl Acad Sci U S A , 90:6859-6863, 1993. 

  5. Ducy P, Karsenty G : Two distinct osteoblast-specific cisacting elements control expression of a mouse osteocalcin gene. Mol Cell Biol , 15:1858-1869, 1995. 

  6. Ducy P, Zhang R, Karsenty G, et al.: Osf2/Cbfa1: a transcriptional activator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Cell , 89:747-754, 1997. 

  7. Jimenez MJ, Balbin M, Lopez-Otin C, et al.: Collagenase 3 is a target of Cbfa1, a transcription factor of the runt gene family involved in bone formation. Mol Cellular Biol , 19:4431-4442, 1999. 

  8. Dhamija S, Krebsbach PH : Role of Cbfa1 in ameloblastin gene transcription. J Biol Chem , 276:35159-35164, 2001. 

  9. Zheng Q, Zhou G, Lee B, et al.: Type X collagen gene regulation by Runx2 contributes directly to its hypertrophic chondrocyte-specific expression in vivo. J Cell Biol , 162:833-842, 2003. 

  10. Jaruga, A, Hordyjewska E, Kandzierski G, Tylzanowski P : Cleidocranial dysplasia and RUNX2-clinical phenotypegenotype correlation. Clin Genet , 90:393-402, 2016. 

  11. Heinrich J, Bsoul S, Abboud S, et al. : CSF-1, RANKL and OPG regulate osteoclastogenesis during murine tooth eruption. Arch Oral Biol , 50:897-908, 2005. 

  12. Thirunavukkarasu K, Halladay DL, Onyia JE, et al.: The osteoblast-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Cbfa1 contributes to the expression of osteoprotegerin, a potent inhibitor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J Biol Chem , 275:25163-25172, 2000. 

  13. Kitazawa R, Kitazawa S, Maeda S : Promoter structure of mouse RANKL/TRANCE/OPGL/ODF gene. Biochim Biophys Acta , 1445:134-141, 1999. 

  14. Dorotheou D, Gkantidis N, Kitraki E, et al.: Tooth eruption: altered gene expression in the dental follicle of patients with cleidocranial dysplasia. Orthod Craniofac Res , 16:20-27, 2013. 

  15. Yoda S, Suda N, Ohyama K, et al. : Delayed tooth eruption and suppressed osteoclast number in the eruption pathway of heterozygous Runx2/Cbfa1 knockout mice. Arch Oral Biol , 49:435-442, 2004. 

  16. Camilleri S, McDonald F : Runx2 and dental development. Eur J Oral Sci , 114:361-373, 2006. 

  17. Ishii K, Nielsen IL, Vargervik K : Characteristics of jaw growth in cleidocranial dysplasia. Cleft Palate Craniofac J , 35:161-166, 1998. 

  18. Jensen BL, Kreiborg S : Development of the dentition in cleidocranial dysplasia. J Oral Pathol Med , 19:89-93, 1990. 

  19. Wang XP, Aberg T, Thesleff I, et al.: Runx2 (Cbfa1) inhibits Shh signaling in the lower but not upper molars of mouse embryos and prevents the budding of putative successional teeth. J Dent Res , 84:138-143, 2005. 

  20. Cobourne MT, Hardcastle Z, Sharpe PT : Sonic hedgehog regulates epithelial proliferation and cell survival in the developing tooth germ. J Dent Res , 80:1974-1979, 2001. 

  21. Lukinmaa PL, Jensen BL, Kreiborg S, et al. :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teeth and peridental tissues in cleidocranial dysplasia imply increased activity of odontogenic epithelium and abnormal bone remodeling. J Craniofac Genet Dev Biol, 15:212-221, 1995. 

  22. Jensen BL, Kreiborg S : Dental treatment strategies in cleidocranial dysplasia. Br Dent J, 172:243-247, 1992. 

  23. Lou Y, Javed A, Stein JL, et al.: A Runx2 threshold for the cleidocranial dysplasia phenotype. Hum Mol Genet , 18:556-568, 2009. 

  24. Zhou, G, Chen, Y, Lee B, et al.: CBFA1 mutation analysis and functional correlation with phenotypic variability in cleidocranial dysplasia. Hum Mol Genet , 8:2311-2316,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