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표는 측방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의 분석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소급성 확보와 측정값의 불확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이용해 소아에서 교정치료를 위한 계측값의 참고 표준을 얻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6세에서 13세 사이 환아 중 1급 부정교합으로 진단 받은 환아 10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소급성 확보를 위해 방사선 촬영이 가능한 phantom 장비를 제작하였으며, 현재 사용중인 계측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phantom 장비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소프트웨어의 교정값을 계산하였다. 불확도 계산을 위해 100명의 측방두부방사선영상 계측값과 반복측정에 의한 불확도와(A형 불확도) 최소분해능과 두부의 위치에 의한 불확도를(B형 불확도)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합성표준불확도를 얻었으며 최종적으로 확장불확도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현재 사용중인 측방두부방사선사진 계측 프로그램이 높은 정확성과 신뢰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정값을 이용하여 계측값을 교정하였으며, 6 - 13세 한국인 소아에서의 교정계측치의 불확도를 계산하여 1급 부정교합 환아의 교정계측값의 95% 신뢰도를 가지는 분포범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traceability of the software used to analyze lateral cephalometry and to calculate the uncertainty of the measurements.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obtaining standard references for measurement values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chi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측방두부계측방사선사진의 분석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소급성을 확보하고 계측치의 불확도를 계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해 소아에서 교정치료를 위한 계측값의 참조표준을 얻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측방두부계측방사선사진의 분석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소급성을 확보하고 계측치의 불확도를 계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해 소아에서 교정치료를 위한 계측값의 참조표준을 얻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불확도는 A형 불확도와 B형 불확도로 분류된다. A형 표준불 확도는 반복 측정값의 빈도 분포에 근거한 확률밀도함수에서 구하는 반면, B형 표준불확도는 기존의 정보 또는 문헌을 통해 측정값이 가질 수 있는 확률밀도함수를 가정하여 구한다[1].
  • 하지만 일반적으로 정밀측정에서는 측정량이 어떠한 분포를 가지는지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고, 입력량의 한계값(a) 만 추정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그 구간 내에서는 입력량이 존재할 확률이 같다고 가정하여 균등 분포(uniform dis-tribution) 즉, 직사각형(rectangular) 분포를 가정한다[1]. 입력량이 한계값이 a인 균등 분포를 따를 때 이 확률 분포의 표준편차를 식을 통해 유도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는 B형 표준불확도가 된다[1].
  • 이론적으로 angulation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은 각도의 정도와는 무관하게 일정할 것을 가정하여 확률분포로 직사각형 분포를 가정하였고, 이를 통해 측정되는 길이와 각도에 대한 B형 불확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급성이란? 하지만 이러한 분석프로그램을 통해 계산된 계측값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소급성을 확보한 상태로, 불확도를 고려하여 계측치를 계산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소급성(Traceability)이란 “모든 불확도가 명확히 기술되고 끊어지지 않는 비교의 연결 고리를 통하여, 명확한 기준(국가 또는 국제표준)에 연관시킬 수 있는 표준 값이나 측정결과의 특성”으로 정의된다[1]. 측정장비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 측정장비, 일차 표준과 비교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확인 받는 것이 필수적이다.
불확도란? 이를 위해 근래에 는 불확도의 개념이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불확도 (Uncertainty)는 “측정량 값을 합리적으로 추정한 값들의 분산특 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정의되며 측정량의 최선의 추정값뿐만 아니라 추정값 범위의 신뢰 정도를 의미한다[1]. 즉, 측정결과의 불확도란 여러 번 측정을 하였을 때 측정값이 분포하는 범위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념이다.
불확도의 개념이 도입된 이유는? 물리량에 대한 측정 결과를 보고할 때는 그 값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어떤 정량적인 값을 함께 나타내어야 한다. 이를 통해 측정 결과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그 결과의 신뢰도를 평가 할 수 있고, 다른 측정 결과나 표준과 비교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래에 는 불확도의 개념이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ureau international des Poids et Mesures : Evaluation of measurement data -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JCGM 100:2008 (GUM 1995 with minor corrections). Available from URL: http://www.bipm.org/utils/common/documents/jcgm/JCGM_100_2008_E.pdf (Accessed on June 28, 2017) 

  2. Woon CS : Model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J Korea Saf Manag Sci , 9:145-156, 2007. 

  3. Taverniers I, De Loose M, Van Bockstaele E : Trends in quality in the analytical laboratory. I. Traceability and measurement uncertainty of analytical results. Trends Analyt Chem , 23:480-490, 2004. 

  4. Squara P, Imhoff M, Cecconi M : Metrology in Medicine: From Measurements to Decision, with Specific Reference to Anesthesia and Intensive Care. Anesth Analg , 120:66-75, 2015. 

  5. Broadbent BH : A new X-ra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orthodontia: the introduction of cephalometric radiography. Angle Orthod , 51:93-114, 1931. 

  6. Downs WB : Variations in facial relationships: Their significance in treatment and prognosi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 34:812-840, 1948. 

  7. Chen YJ, Chen SK, Yao JC, Chang HF :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landmark identification on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in traditional versus digitized cephalometry. Angle Orthod , 74:155-161, 2004. 

  8. Baskin H, Cisneros G : A comparison of two computer cephalometric programs. J Clin Orthod , 31:231-233, 1997. 

  9. Gotfredsen E, Kragskov J, Wenzel A :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raniofacial analysis from monitor-displayed digital images. Dentomaxillofac Radiol , 28:123-126, 1999. 

  10. Yu SH, Nahm DS, Baek SH : Reliability of landmark identification on monitor-displayed lateral cephalometric imag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 133:7901-7906, 2008. 

  11. Power G, Breckon J, Sherriff M, McDonald F : Dolphin Imaging Software: an analysis of the accuracy of cephalometric digitization and orthognathic prediction. Int J Oral Maxillofac Surg , 34:619-626, 2005. 

  12. Park CY, Park KT : Facemask Effects in Two Types of Intraoral Appliances : Bonded Expander vs. Hyrax.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2:45-52, 2015. 

  13. Park SH, Kim YJ, Jang KT, et al . : The Simple Regression Model of Gonial Angles : Comparison between Panoramic Radiographs and Lateral Cephalograms.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4:129-137, 2017. 

  14. Sandler PJ : Reproducibility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Br J Orthod , 15:105-110, 1988. 

  15. AlBarakati S, Kula K, Ghoneima A :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a comparison of conventional and digital methods. Dentomaxillofac Radiol, 41:11-17, 2012. 

  16. Santoro M, Jarjoura K, Cangialosi TJ : Accuracy of digital and analogue cephalometric measurements assessed with the sandwich techniqu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9:345-351, 2006. 

  17. Farooq MU, Khan MA, Rahman MA, et al . :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Digitalized Cephalometric Analysis in Comparison with Manual Cephalometric Analysis. J Clin Diagn Res , 10:20-23, 2016. 

  18. Leonardi R, Giordano D, Maiorana F, Spampinato C : Automatic cephalometric analysis: a systematic review. Angle Orthod , 78:145-151, 2008. 

  19. Cohen A : Uncertainty in cephalometrics. Br J Orthod , 11:44-48, 1984. 

  20. Ahlqvist J, Eliasson S, Welander U : The effect of projection errors on cephalometric length measurements. Eur J Orthod , 8:141-148, 1986. 

  21. Hiroshi N, Kenji N, Yoshida Y, Kikuuchi M : Orthodontic diagnosis in bioprogressive therapy, 1st ed., Rocky Mountain Morita Co., 45-54,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