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자살태도측정도구의 요인구조 : 2013년 자살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Factor Structure of Attitudes Toward Suicide (ATTS) of Adults : Based on a Nationwide Survey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6 no.2, 2019년, pp.71 - 78  

홍민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종익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상욱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안용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uicide is a complex phenomenon not only caused by the individual's mental illness and economic situation, but also occurred in sociocultural contexts and relationships around the individual. Therefore, the attitudes, which include collective norms, thoughts and feelings of a popul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5를 기준으로 하였다. 마지 막으로 산출된 요인구조를 통해 성별, 연령별, 그리고 자살사 고와 시도력 유무에 따른 자살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성별 차이는 독립 t 검정을 사용하였고, 연령별 차이는 analysis of variance와 Bonferroni 방법을 통한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2013년에 시행된 자살실태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ATTS의 요인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얻어진 요인구조는 향후 국내외 자살에 대한 태도 연구 에서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가적 대표성이 있는 1500명 규모의 지역층화 추출 표본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ATTS 요인 구조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에 비해 높은 일반성을 갖는다. 또한 전 요인의 내적 신뢰도가 0.
  • 본 연구는 지역별 층화추출로 조사된 1500명의 대규모 표본을 바탕으로 시행된 국내 ATTS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연구이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가지의 요인을 밝혔으며 각요인은 합리적 이유가 있는 자살, 자살에 대한 부정적 시선, 예방가능한 자살, 탈출의 수단으로서 자살, 보편적 비밀인 자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본 연구는 2013년에 시행된 자살실태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ATTS의 요인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얻어진 요인구조는 향후 국내외 자살에 대한 태도 연구 에서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밝힌 5가지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지역별 층화추출로 조사된 1500명의 대규모 표본을 바탕으로 시행된 국내 ATTS 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연구이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가지의 요인을 밝혔으며 각요인은 합리적 이유가 있는 자살, 자살에 대한 부정적 시선, 예방가능한 자살, 탈출의 수단으로서 자살, 보편적 비밀인 자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요인구조를 통해 향후 국내외 자살에 대한 태도 연구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
예측가능성이란 무엇인가? 제3요인인 ‘예측가능성’은 자살사고를 가진 사람을 도와서 자살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렇게 도움을 주는 것은 인간의 의무이며 본인이 도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10요인 모델과 비교했을 때 자살은 예방 가능하다는 4번 Preventability 요인과, 예방을 할 준비가 되었다는 9번 Preparedness to prevent 요인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자살에 대해 가장 허용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요인축은 무엇인가? 제4요인인 ‘탈출의 수단’은 심각하고 치료할 수 없는 질병, 극심한 외로움으로 오랜 기간 고통받을 때 이로부터 탈출하는 수단으로서 자살이 이뤄지며, 또한 그렇게 이뤄진 자살은 정당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자살에 대해 가장 허용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요인축이라고 해석이며, 본 연구의 5개 요인 중 자살이 일종의 권리일 수 있다는 10요인 모델의 1번 Suicide as a right 요인의 항목이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White Book. Seoul: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2019. 

  2. OECD.Stat [homepage on the Internet]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updated 2019 Aug; cited 2019 Aug]. Available from: https://stats.oecd.org/. 

  3. Hyun KR, Lee SM, Choi KC, Lee SY, Kim JY. Analysis of Socioeconomic Costs of Major Disease for Priority Selec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Policy.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Policy Research Institute;2014. 

  4. Klonsky ED, May AM, Saffer BY. Suicide, suicide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Annu Rev Clin Psychol 2016;12:307-330. 

  5. Ingram E, Ellis JB. Attitudes toward suicidal behavi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Death Studies 1992;16:31-43. 

  6. Canetto SS. She died for love and he for glory: gender myths of suicidal behavior. Omega (Westport) 1993;26:1-17. 

  7. Neeleman J, Lewis G. Suicide, religion,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n ecological study in 26 countries, 1990.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99;53:204-210. 

  8. Domino G. Cross-Cultural Attitudes Towards Suicide: The SOQ and A Personal Odyssey. Arch Suicide Res 2005;9:107-122. 

  9. Limbacher M, Domino G.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attempters, contemplators, and nonattempters. Omega (Westport) 1986;16:325-334. 

  10. Arnautovska U, Grad OT. Attitudes toward suicide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Crisis 2010;31:22-29. 

  11. Kodaka M, Inagaki M, Yamada M.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Japanese pharmacists participating in the Board Certified Psychiatric Pharmacy Specialist Seminar. Crisis 2013;34:420-427. 

  12. Lee SU, Jeon M, Park JI. A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in South Korea. Crisis 2019;40:27-35. 

  13. Jeon HJ, Park JH, Shim EJ. Permissive attitude toward suicide and future intent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depression: results from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J Nerv Ment Dis 2013;201:286-291. 

  14. Kodaka M, Inagaki M, Postuvan V, Yamada M. Explor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worker attitudes toward suicide. Int J Soc Psychiatry 2013;59:452-459. 

  15. Domino G.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Mexican American and Anglo youth. Hisp J Behav Sci 1981;3:385-395. 

  16. Domino G, Takahashi Y. Attitudes toward suicide in Japanese and American medical students. Suicide Life Threat Behav 1991 Winter;21:345-359. 

  17. Domino G, Macgregor JC, Hannah MT. Collegiate attitudes toward suicide: New Zealand and United States. Omega (Westport) 1989;19:351-364. 

  18. Domino G, Groth M. Attitudes toward suicide: German and US nationals. Omega (Westport) 1997;35:309-319. 

  19. Renberg ES, Hjelmeland H, Koposov R. Building model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based on data from general population surveys in Sweden, Norway, and Russia.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8;38:661-675. 

  20. Park CHK, Kim B, Lee SS, Ha K, Baek C-J, Shin M-S,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permissive attitudes toward suicide: an analysis of cross-national survey in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Korean J Biol Psychiatry 2016;23:157-165. 

  2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13 National Survey on Suicid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4. 

  22. Lee KE. An examin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ttitudes Towards Suicide (ATTS) on youth in South Korea [dissertation]. Seoul: The Graduate School of Nursing and Health Profession, Chung-Ang University;2016. 

  23. Kim Y, Lee SI, Kim H, Lee A, Mun KS, Kim SG, et al. Variables affecting to attitudes towards suicide among general adult population in the city of Buche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6;55:376-385. 

  24. Park JI, Kim YJ. Factor Structure of Korean Version of Attitudes Toward Suicide (ATTS-20).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4;42:91-113. 

  25. Kim B, Jung KJ, Lee SU, Sea J, Kim EY, Kim SH, et al. The Korea National Suicide Survey (KNSS) : rationale and design.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1-6. 

  26. Renberg ES, Jacobsson L.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on attitudes towards suicide (ATTS) and its application in a Swedish population.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3 Spring;33:52-64. 

  27. Kodaka M, Postuvan V, Inagaki M, Yamada M. A systematic review of scales that measure attitudes toward suicide. Int J Soc Psychiatry 2010;57:338-361. 

  28. Costello AB, Osborne JW.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 assess res eval 2005;10:1-9. 

  29. Mofidi N, Ghazinour M, Salander-Renberg E, Richter J. Attitudes towards suicide among Kurdish people in Iran.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08;43:291-298. 

  30. Shin KM, Cho SM, Hong CH, Park KS, Shin YM, Lim KY, et al. Suicide among the elderly and associated factors in South Korea. Aging Ment Health 2013;17:109-114. 

  31. Lee SC. Socio-economic factors of elderly suicide.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010;26:1-19. 

  32. Myers D, Twenge JM. Behavior and attitudes. In: Myers D, Twenge JM, editors. Social Psychology. 12th ed. New York, NY: McGraw-Hill;2016. p.97-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